초보 김장 하기v4 (전자저울 주의사항)
본문
1.
저는 김장 할 때 eLiquid Recipe Manager Lite 라는 무료 어플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담용 김장 어플은 대부분 비슷한 구조구요.
이걸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어플을 까시고 실행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옵니다.
여러 메뉴가 있는데, Create Quick Recipe를 선택합니다.
2.
아래의 화면이 나오는데요.
복잡하게 보이지만 간단합니다.
Check if recipe is Nicotine Free : 니코틴 없는 무니코틴 액상을 만들 때, 체크 하시면 니코틴 관련 입력 항목이 비활성화 됩니다.
Nicotine Base Type (mg/ml) : 김장할려고 가지고 계신 니코틴의 농도가 ml 당 몇 mg 짜리냐? 입니다.
순도 99.9의 퓨어니코틴이라면 니코틴 농도는 999mg 인데, 그냥 계산하기 편하게 1,000mg로 봅니다.
이 퓨어니코틴 상태로 김장에 바로 쓰는건 위험하기 때문에 반드시 희석을 해서 농도를 낮춰야 합니다.
예로 퓨어니코틴 농도 1,000mg 짜리 10ml 용량을 가지고 계시다면
PG 90ml에 혼합하면 ml 당 100mg 짜리 100ml 용량의 희석니코틴이 만들어 집니다.
마찬가지로, 1,000mg 짜리 50ml를 가지고 계시다면,
PG 450ml 에 혼합하면 1ml 당 100mg 농도의 500ml 용량의 희석 니코틴이 만들어집니다.
[ 희석 공식 (퓨어니코틴 용량 ml X 농도 mg / 목표 농도 mg) - 니코틴 용량 ml = 희석에 필요한 PG의 양 ml ]
이 설명에서는 ml 당 100mg로 희석된 니코틴이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 입력칸에는 바로 니코틴의 ml 당 농도인 100 을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니코틴 농도는 구입한 니코틴 용기에 표기 돼 있으니 꼭 확인 하세요.
오프라인 전담가게에서 파는 24mg/2ml 가
1ml 당 24mg 의 희석니코틴인지, 1ml 당 12mg 를 말하는 것인지 후자가 맞겠죠?)
Nicotine Base Type : 니코틴이 PG에 희석 된거냐? VG에 희석 된거냐? 입니다.
본인이 직접 VG에 희석한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희석 니코틴은 기본이 PG 기반입니다.
그러니, PG를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본인이 직접 희석할 때, 니코틴 희석은 PG를 권장합니다.
만약, VG에 희석해서 냉동 보관하게 되면 젤라틴 형태가 되어서 사용시 녹이는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Target Nicotion Amount (mg/ml) : 지금 만드는 김장을 몇 짜리 니코틴 농도로 만들거냐? 입니다.
보통 전자담배의 기성 액상 니코틴 농도는 0, 3, 6, 12, 18mg 등으로 생산됩니다.
우리는 사용하는 무화기에 맞는 농도를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무화기 종류에 따라 흡입하는 빈도, 흡입 깊이의 차이로 인체에 흡수되는 니코틴의 양이 다릅니다.
- RDA, RDTA 등의 드리퍼류와 서브옴 탱크류 등 폐호흡에는 3mg 농도가 적당
- eGo(카토마이저) 같은 스타터 킷은 6mg 또는, 12mg 농도가 적당
- RBA, RTA, MTL, 기성코일 탱크 등 입호흡에는 6mg 농도가 적당
(니코틴 농도가 자신에게 너무 낮으면 흡입 빈도가 올라가므로 액상의 섭취가 증가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무리하게 너무 낮은 니코틴 농도로 피우는 것이 꼭 좋은 것은 아닙니다.
연초 피듯이 전담을 하기 위해선 적정한 니코틴 농도로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쉽게말해서, 연초처럼 잠깐씩 니코틴 보충을 해주고 말아야지 마냥 손에 들고 흡입하는건 좋은 것이 아닙니다.)
이 설명에서는 6mg를 목표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Amount To Create (ml) : 만들려는 액상의 총 양을 정합니다. 여기서는 100ml 용량의 액상을 만든다고 가정 해 보죠.
[다음은 향료의 비율을 정하게 됩니다.]
: 향료는 1종류만 쓰는 레시피도 있고, 2가지, 3가지에서 많게는 열 종류가 넘어갈 수도 있는데요.
그래서 아래 입력칸들은 1번 향료, 2번 향료... 이렇게 번호가 있습니다.
만약 향료 1가지만 쓰는 레시피라면 1번 향료 칸에만 원하는 비율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 설명에서는 향료 2가지를 넣는 레시피라고 가정 해 보죠.
Amount of Flavoring 1 (%) : 1번 향료의 비율을 정하는 입력칸 입니다. 액상의 전체 용량에서 1번 향료를 몇 퍼센트 넣고 싶냐? 입니다.
이 설명에서는 5%로 가정 해 보죠.
Flavoring 1 Base Type : 1번 향료는 PG에 희석된 향료냐? VG에 희석된 향료냐? 입니다.
대부분의 향료도 희석 니코틴과 마찬가지로 PG 기반입니다. PG를 선택해 줍니다.
Amount of Flavoring 2 (%) : 2번 향료의 비율입니다. 이것도 5%라고 가정하고 5 입력.
Flavoring 1 Base Type : 마찬가지로 PG 선택
3.
Water/Alcohol counts as part of : 입력하지 말고 무시 하시면 됩니다.
PG to VG Ratio : 중요한 부분입니다. PG와 VG를 몇 대 몇의 비율로 할 것이냐?
저의 경우 pg 6 : vg 4 비율로 여태 김장했습니다. 이 설명에선 6:4로 해 보겠습니다.
(여러분들에게는 pg 4: vg 6 정도로 PG의 비율을 VG 보다 낮게 하는 걸 추천합니다.
이때, 향료의 비율을 10%~15% 정도 높여 주세요. VG가 많으면 맛이 밍밍해 지기 때문에 향료을 조금 올려주게 됩니다.)
(전세계 인구 중 60% 이상이 PG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그 증상은 피부트러블, 가슴 답답함, 얼굴에 홍조 등 발열 증상, 입안이나 피부 등이 건조해짐, 속(위) 쓰림 등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을 대처할 때는 기본적으로 물을 많이 드시는게 좋구요. 또, 김장 할 때, PG의 비율을 줄이는게 좋겠습니다.
사실 시간이 지나면서 몸이 받아들이면서 사라지기도 하는 증상들이지만, 보다 건강한 전담 생활을 오래 할 거라면 PG를 줄여야겠습니다.
저도 pg 6 : vg 4 비율로 여태 김장 했지만, 앞으로는 pg 4 : vg 6의 비율로 김장 할 계획입니다.
4.
이상으로 모든 입력이 끝났습니다. Calculate Recipe 버튼을 누르면 아래의 내용처럼 결과 화면이 나옵니다.
표 아래에는 액상의 총 용량과 목표로 했던 니코틴 농도가 표시 돼 있고,
표 속을 보면,
Nicotine Base : 6ml (120방울)
PG : 44ml (880방울)
VG : 40ml (800방울)
1번 향료 : 5ml (100방울)
2번 향료 : 5ml (100방울)
이렇게 넣어야 할 각각의 용량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옆 부분의 방울의 수는, 방울도 비교적 정확하지만 이것은 용기가 같아야 하고, 구멍의 구경도 똑같아야 맞는 것이지
각 용기들의 생김새나 구멍의 크기가 다르면 맞지가 않기 때문에 방울의 수로 김장을 해선 안됩니다.)
5.
다음으로는 위의 어플에서 계산한 각 용량을 정확히 넣어 김장 해야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선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1) 전자저울을 추천합니다.
0.01g 단위로 측정이 되는 저울이여 하고, 최대 500g 까지 측정 가능하면 충분 하고, TARE 버튼이 있는 제품이여야 합니다.
TARE 나, T 라는 버튼이 있는 것을 사시구요.
가격대는 1만원 내외의 싼 것도 충분한데요. 가급적 평이 좋은 상품을 선택하십시오.
직구를 한다면 LB-501 이라는 제품을 추천하고, 중국쪽의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구입한다면 7달러 짜리라도 평이 좋다면 쓸만 할 겁니다.
국내에서 구입 할 때도 사람들이 신뢰하는 제품으로 사시기 바랍니다.
(2) 전자저울에 올릴 믹스용 용기는
ㄱ. 중탕을 하겠다면 주둥이가 넓은 유리 재질 추천하구요.
(보르미올리 피도 500ml 밀폐유리용기를 추천합니다. 2,500원) + 액상보관용기로 옮길 때는 깔때기가 있어야 합니다.
ㄴ. 중탕 없이 교반만 하겠다면 액상 보관용 용기를 바로 저울에 올려 사용하시면 됩니다.
(3) 각 재료의 적정 용량을 뽑아 믹스용 용기에 투입할려면 주사기도 필요합니다.
저는 약국에서 개당 100원에 샀던 기억이 있구요. 바늘은 필요가 없습니다.
바늘을 쓰게 되면 구경이 작아 향료들은 뽑아내기도 어렵고, 특정 향료는 바늘 속에서 굳어 버리고, VG는 뽑아지지 않습니다.
(스포이드나 피펫도 있겠지만 사용 후 청소가 불편하고, 일회용을 쓰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구요.)
사실 익숙해지면, 그냥 들이부으면서도 정확한 양을 넣기도 합니다. 물론, 초보자 분들은 따라해선 안되구요.
(4) 완성된 액상을 보관할 용기는
100ml or, 200ml or, 250ml 의 HDPE 재질의 뾰족캡이 장착 가능한 용기를 추천합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100ml 짜리가 가장 나은거 같습니다.
물론, 유리가 좋지만, 깨질 위험성을 생각하시는 분은 HDPE 재질이 훌륭한 대안이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희석 니코틴 보관 용기로도 HDPE 재질을 권장 합니다.
니코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상이 변하며 독특한 냄새와 후춧가루 맛을 내기도 합니다.
이러한 변질을 늦추기 위해선 직사광선, 기타의 광원, 열로 부터 차단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냉장고 또는 냉동실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관할 때, 희석된 니코틴이 담긴 용기를 락앤락 같은 플라스틱 용기에 넣어 이중 밀폐하여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유리재질일 경우 깨질 위험성, HDPE 재질이라면 뚜껑 쪽에서 혹시모를 누수를 생각해서 말입니다.
냉동실에 보관해도 얼지 않고 액체 상태로 보존됩니다.
PG와 VG는 방부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퓨어니코틴 상태로 보관하는 것 보다 희석해서 보관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단, VG에 희석된 니코틴은 젤라틴 형태로 변하기에 사용시 예열 과정이 필요하지만,
PG에 희석된 니코틴은 냉동실에서 꺼내서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니코틴 희석을 PG로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https://www.nicvape.com/Nicotine-Safety)
HDPE 재질의 뾰족 공병은 보통 소스 공병(용기)으로 검색하면 파는 곳을 찾을 수 있습니다.
(PET 재질의 공병을 가지고 계시다면 이것도 액상 보관용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링크의 자료에 다르면
PET 재질의 용기는 세척을 잘해야 한다고 합니다. PET가 세균번식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https://www.cyclopsvapor.com/blog/fan-question-is-it-safe-to-store-eliquid-in-plastic-bottles/
또, 이 자료에서는 액상 보관에 안전한(재사용, 장기보관) 플라스틱 용기로는 HDPE, LDPE 재질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물론 확실한 연구자료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이 두 재질의 특성이 액상 보관에 안전하다 간주한다고 합니다.
또, PC재질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데 특정 향료에 의해 화학 반응으로 용해 되면서 비스페놀a가 발생한다네요.
노출되면 성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고 하니 무화기 경통이 PC재질인건 특히 피하십시오.
유리 경통으로 바꿀 수 있다면 바꿔야 하고, 경통 재질 변경을 할 수 없는 무화기라면 구입을 자제하는게 좋겠습니다.
도구에 대한 설명과, 몇가지 참고 사항은 이만 정리하고,
혹시 집에 초음파 세척기가 있다면, 초음파 세척기로도 교반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십시오.
(노파심에 드리는 말씀입니다. 일상적으로 음식 등에 사용되는 형태의 음료 병을 쓰게 되면 가족이나 누군가가 마셔 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이런 형태의 병은 사용하지 마시고, 용기에는 경고, 독극물 같은 위험표시를 해놔야 합니다.)
6.
김장을 한 번 할 때, 얼마나 하는 것이 좋은가?
특별히 나눔 대상이 있으시다면 그만큼의 용량을 하시는 것이고,
본인이 드실 액상은 한 번 할 때 80ml 가 적정 분량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액상보관 용기를 100ml HDPE 용기를 추천드렸는데요. 교반 없이 바로 김장하면, 80ml를 김장하시면 좋습니다.
20ml 정도의 용기의 여유 공간을 남겨둬야 손으로 흔들면서 교반 할 때 잘 섞입니다.
너무 많이 김장을 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향이 약해지고 맛이 변합니다.
숙성을 통해 좋은 맛을 내기도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것은 장기적인 시간을 뜻하는건 아닙니다.
김장 후 2년 지난 액상이 맛이 좋을리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특정 기한이 넘어버리면 무슨 맛이지 모를 맛이 나게 됩니다.
대중없이 김장을 하면 돈 낭비가 됩니다.
기기의 가격은 당장 체감 되지만, 김장의 가격은 왠지 싸게 느낄 때가 많은데요.
과하게 김장을 해서 버리는 일이 발생하면 김장도 꽤 돈이 들어간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됩니다.
김장을 한 번 할 때, 가급적 절대 많은 용량을 담그지 마시길 권합니다.
7.
다음은 각 재료의 ml 당 무게를 알아 보겠습니다.
ml 당 무게를 보통 1g 로 보지만, 이것은 100ml 미만의 작은 양을 김장할 때는 괜찮지만 더 많은 양을 김장 할 때는
정확하게 하는게 좋겠습니다.
각 김장 재료의 ml 당 무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reddit.com/r/DIY_eJuice/comments/2iq3km/botboy141_guide_to_mixing_by_weight/)
- PG의 중량 : ml 당 1.038g (향료도 ml 당 1.038g로 취급하면 됩니다.)
- VG의 중량 : ml 당 1.26g
퓨어 니코틴의 중량 : ml 당 1.01g
PG 기반 니코틴 농도 10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5g
PG 기반 니코틴 농도 6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632g
PG 기반 니코틴 농도 5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66g
PG 기반 니코틴 농도 48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6656g
PG 기반 니코틴 농도 36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6992g
PG 기반 니코틴 농도 24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037328g
VG 기반 니코틴 농도 10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35g
VG 기반 니코틴 농도 6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45g
VG 기반 니코틴 농도 50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475g
VG 기반 니코틴 농도 48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48g
VG 기반 니코틴 농도 36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51g
VG 기반 니코틴 농도 24mg인 경우의 중량 : ml 당 1.254g
이 기준을 따라 어플 설명하면서 위에 나왔던 결과를 대입 해 보죠.
- PG 기반 니코틴 농도 100mg인 경우는 ml 당 1.035g 이므로, 6ml * 1.035 = 6.21g
- PG는 ml 당 1.038g 이므로, 44ml * 1.038 = 45.67g
- VG는 ml 당 1.26g 이므로, 40ml * 1.26 = 50.4g
- 1번 향료, 향료는 PG와 같은 1.038g 이므로, 5ml * 1.038 = 5.19g (VG의 비율이 PG 보다 높은 경우에는 향료를 10%~15% 더 넣으세요
- 2번 향료, 향료는 PG와 같은 1.038g 이므로, 5ml * 1.038 = 5.19g 5.19g를 넣어야 하는 상황이라면, 5.71~5.97g를 넣으면 되겠죠.)
(향료 마다 중량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PG로 통일하는 이유는 우리가 그걸 다 알 수도 없고, 향료를 만든 사람도 모를 수 있습니다.
머리 아프니까 알아서도 안되고, 알 필요도 없습니다. 소수점 세 자리는 반올림 합니다.)
이로써, 필요한 자료는 모두 정리가 됐습니다.
8.
김장의 순서와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것 또한, 앞의 어플 설명하면서 나왔던 결과 값을 가지고 설명하겠습니다.
1. 전자 저울을 켭니다.
2. 전자 저울에 비이커(믹스용 용기) 또는, 액상보관 용기를 올린 후, TARE 버튼을 누릅니다.
(비어커를 올린 상태에서 TARE 버튼을 누르면, 비어커의 무게는 표시되지 않고, 저울의 중량은 0으로 표시됩니다.
TARE 기능은 기존 물체의 무게를 숨겨 주고, 저울의 중량을 0으로 만들어 주는데요. 그래서, 유동적으로
다음 단계에 투입 할 대상의 중량을 우리가 시각적으로 다시 0 부터 ~ 목표치 까지 눈으로 확인하면서 투입케 해 줍니다.)
3. 앞에서 TARE 버튼을 눌렀기 때문에 비어커의 중량은 숨겨진 상태이고, 저울에 표시된 중량은 0 이라는게 이해 되시죠.
그럼, 100mg 농도의 희석 니코틴을 바늘 없는 주사기로 적당량을 뽑은 후,
저울의 중량을 확인 하면서 6.21g에 도달할 때까지 비이커에 살짝 살짝 조금씩 투입하면 되겠습니다.
중량 표시가 6.21g 에 도달하면 TARE 버튼을 눌러 표시 중량이 '0'이 되도록 합니다.
(니코틴을 가장 먼저 투입하는 이유는 나중에 교반 할 때 니코틴이 제일 밑바닥에 있는게 섞기 쉽습니다.
또, 위험한 물질이라 먼저 투입 한 후, 니코틴 관련 용품은 바로 정리정돈 해 버리는게 안전합니다.
또, 김장 중에 저울 배터리 부족으로 측정 이상이 발생 했을 때, 스펙에 한참 못 미치는 낮은 무게만 측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니코틴 투입을 나중에 하게 되면 중량 측정이 잘 안되므로, 과도한 니코틴을 투입하는 일이 발생하게 됩니다.)
4. 다음은 VG입니다. 앞서 니코틴을 뽑았던 주사기 말고,다른 주사기로
50.4g 만큼 비이커에 투입 한 후, 마찬가지로 TARE 버튼을 누릅니다.
5. 다음은 PG입니다. 45.67g 만큼 비이커에 투입 한 후, 마찬가지로 TARE 버튼을 누릅니다.
6. 다음은 1번 향료 입니다. 5.19g 만큼 비이커에 투입 한 후, 마찬가지로 TARE 버튼을 누릅니다.
7. 다음은 2번 향료입니다. 5.19 만큼 비이커에 투입 한 후, 마찬가지로 TARE 버튼을 누릅니다.
8. 마지막으로 믹스용기의 완성된 김장을 액상 보관 용기에 모두 넣은 후, 뚜껑을 잘 잠궈 놓고, 한쪽 편에 놓습니다.
김장을 하기 위해 늘어놓았던 도구들을 잘 정리정돈 합니다.
정리정돈이 끝난 후, 액상 보관 용기를 신나게 흔들면서 교반 합니다.
9.
전자 저울 사용시 주의사항 입니다. (이 점을 알려드리고자 이 글을 게시하였습니다.)
김장을 하기 전에 전자 저울이 정상 작동하는 지 체크 하세요.
방법은 100원 짜리 동전 하나의 무게가 보통 5.42g 입니다.
저울에 100원 한 개를 올리고, -> TARE 버튼 클릭 -> 동전 또 하나를 그 위에 올리고, -> TARE 버튼 클릭 -> 또 올리고 .....반복
만약 400ml 용량의 김장을 한다 하면, 이 무게를 대강 400g라고 한다면,
100원 짜리 동전 74개를 가지고 테스트 해 보면 됩니다.
하나씩 올리면서 TARE 누르는 테스트가 시간이 걸려서 싫다면, 동전 74개를 한꺼번에 올려서 74 * 5.42 = 약 401.08g 중량이
나오는지 확인하고 하세요.
전자 저울에는 보통 AA건전지 2개가 들어가는데요.
정상작동하기에 배터리가 부족한지를 우리는 모릅니다.
부족 해도, 저울은 켜지고, 일정 부분까지는 중량 측정이 되거든요. 그 일정 부분을 넘어가면 측정이 제대로 안되는 것입니다.
예를들면, 500g까지 측정이 되는 저울인데, 배터리가 부족하게 되면 80g 까지만 정상 측정되고,
그 이상은 엉터리 측정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에네루프 배터리를 권합니다. 이 배터리는 충전을 해서 재사용이 되기 때문에
김장할 때, 무조건 완충한 배터리로 저울을 사용한다면 이런 문제는 피할 수 있습니다.
이걸 못할 때는 위에 말씀드린 100원짜리 동전 테스트를 꼭 하시고 김장 하시는걸 권합니다.
댓글 17건
짬뽕곱빼기님의 댓글

|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
에네루프 충전지 AA , AAA 파나소닉걸로 사려고 하는데요 우리의 허준 충전기로 충전할수 있지요? |
sins님의 댓글

|
@짬뽕곱빼기네 VC4로 에네루프 충전 잘 됩니다. |
짬뽕곱빼기님의 댓글

|
@sins조언 고맙습니다 ^^ |
sins님의 댓글

|
@짬뽕곱빼기별말씀을요^^ |
봉순사랑님의 댓글

|
방대하며 좋은 정보 나눔에 감사드리며
ㅊ ㅜ ㅊ ㅓ ㄴ |
sins님의 댓글

|
@봉순사랑봉순님에게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플래티넘님의 댓글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ㅊㅊ |
sins님의 댓글

|
@플래티넘니코틴 구하기 편할 때가 아니다 보니 ㅎㅎ 큰 도움은 안되겠지만 참고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멍멍아밥묵자님의 댓글

![]() |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눈금으로 김장하기 짱나서 저울하나 질렀는데. VG무게는 어떻하나 궁금했는데,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멍멍아밥묵자메스실린더 등으로 하는 것도 좋지만 그래도 저울이 편합니다. 잘 구입하셨네요. |
여포사랑님의 댓글

|
주옥같은글 감사합니다.스크랩^^ |
sins님의 댓글

|
@여포사랑ㅎㅎ 감사합니다. |
다마스커스님의 댓글

|
아이폰은 없군요 ㅜ |
2sleek님의 댓글

![]() |
감사합니다 |
야리스타님의 댓글

|
감사합니다 |
뜡이님의 댓글

|
좋은글 감사합니당~ |
일일님의 댓글

![]() |
정말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