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 200은 w모드에서 옴락기능이 없는건가요?
본문
rx200 쓰다가 dna도 한번 써보고 싶어서 륄로 dna200을 구매해서 키성코일(0.5옴)으로 지금 베이핑하는 중인데
w모드로 처음에 0.5옴으로 인식후 파이어 눌리고 3-4차레 연타로 베이핑하면 실시간으로 0.5~0.58옴까지 올라갑니다 ㅋ
그리고 몃분이나 몃십초뒤 카토가 식은 다음에 다시 파이어 눌러보면 0.5~0.53옴 정도로 떨어져 있고 다시 파이어 눌려서 베이핑하면 0.58옴정도까지
올라가네요(일부러 파이어 눌리면서 액정보면 오르락 옴과 v가 오르락 내리락합니다)
파이어 눌릴때마다 옴이 0.5~0.58까지 자동으로 오르락 내리락하는데 이게 dna칩의 특성인가요? 은근히 거슬리네요 ㅋ
w모드에선 옴고정이 안되는건지요?
그리고 rx200은 파이어 눌리면 액정에 파이어한 시간이(s)나오는데 dna200은 v가 한번에 안올라가고 옴변화에 따라서 서서히 오르고 내리는거로
나오는데 정상적인 거겠죠?
아참 카토는 트리툰2고 코일은 신형 기성코일 0.5옴짜리입니다
추천 0
댓글 12건
KAIJI님의 댓글

|
옴락으로 해도 그런가요?
+ 버튼 / 퐈야버튼 인가...락상태에서 하면 인가...됩니다...한번해보세융... |
경산맨님의 댓글

|
@KAIJI이제 모드기를 받아서 사용법을 잘모르겟어요 ㅠㅠ
리뷰 계시판봐도 w모드일때의 옴락설정은 안나오더군요 파이어연파 5번해서 잠구고나서 +버튼/파이어버튼 눌리면 w모드에도 옴락이 걸리는건가요? |
아지야님의 댓글

|
파이야 5연타로 락거시고. 파야랑 + 같이 누르면 옴락 걸려요. 카이지님 댓글 정확합니답. 그리고 볼트가 올라가는 것도 정상입니다. |
아지야님의 댓글

|
|
경산맨님의 댓글

|
@아지야저렇게 하니깐 액정상 옴옆에 잠금표시가 생기고 분명 잠긴거 같은데도 베이핑하면
파이어시 다시 0.5옴에서~0.56옴 정도까지 올라가고 몃초뒤에 다시 파이어눌리니 0.5~0.52옴으로 내려와 있습니다 자계에 엠클 쓰시는분이 이문제로 고민하다가 옴락 걸었는데도 w모드에서는 고정이 안된다는 글을 올리셧든데... dna200도 역시나 안되는거 같네요 ㅠㅠ 옴락이라는거는 온도모드 일때만 적용되나본데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
아지야님의 댓글

|
|
경산맨님의 댓글

|
@아지야rx200 쓸때는 파이어 눌리면 옴이 올라가서 내려오지를 않더군요(rx200은 옴감지를 실시간으로 못하더군요)
그래서 방열판 때내고 다시 하니깐 고정이 되든데.. dna200은 방열판 여부와 관계없이 파이어시 일단 올라가네요 ㅋ 그래도 다행인건 dna200은 rx200과 틀리게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내려오더군요(조금더 발전??한 형태 인거 같네요) |
아지야님의 댓글

|
|
VladyMist님의 댓글

|
쓰시는 기성코일이 스테인리스 와이어인가요? |
경산맨님의 댓글

|
@VladyMist아니요 클랩튼 와이어 코일입니다 |
VladyMist님의 댓글

|
@경산맨클랩튼도 와이어 종류에 따라 옴 널뛰기를 합니다. 예를들어 흔히들 칸탈와이어에 ni80 으로 감아서 클랩튼을 만드는데 ni80이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이 올라갑니다. 그래서 옴이 뛸수도 있어요 |
경산맨님의 댓글

|
@VladyMist아 그렇군요
0.5옴에서 연타 짧게하면 0.53옴정도까지 올라가고 5-6초길게하면 0.56까지도 올라가는데 파이어 스톱하면 다시 0.51~2옴까지 내려왔다가 조금 식으면 다시0.5옴으로 복귀하네요 ㅎ rx200쓸때는 한번 올라가면 옴이 안내려와서 짜증이였는데 dna200은 일단 반응이 실시간으로 내려와줘서 만족합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