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발 배터리 심플 발열문제
본문
지인이 구매한 심플모드 가 서브탱크사용할땐문제가없는데 파이어버튼도 안눌리게세워놧는데 데린저꽃아놓으니 저번에도 배터리발열되면서 무지뜨겁고 그을려서 버렷는데 이번에또 뜨거워져서 꺼내보니 배터리 에서 탄내살짝나고 사진처럼됫네요.. 똥꼬도확인하고 다확인햇는데 뭐가문제일까요..?
세팅은 듀얼 0.3옴에 배터리한발 타고
이번사건이 싱글 0.45옴 이네요
세팅은 듀얼 0.3옴에 배터리한발 타고
이번사건이 싱글 0.45옴 이네요
추천 3
댓글 20건
DAMDAN님의 댓글

|
데린저 똥꼬 사진도 같이 첨부 해주시면! 좋겠네용!+ㅁ+ |
젊어서노세님의 댓글

|
쇼트같은데 똥꼬 확인도 하셨다해서 짐작이 안가네요 |
쪽빛내음님의 댓글

|
스위치가 안 눌린 상태로 저렇게 될 수 있을런지...
데린져 사진도 올려주시면.. 더 많은 도움을 받으실 것 같습니다. (그리고 괜한 오해를 일으킬 수도 있으니.. 제목 수정 바랍니다.) |
말정님의 댓글

|
발열이라기 보다 배터리 그을린것보니 쇼트난것같습니다.
무화기 똥꼬쪽 때메 그럴확률이 높습니다. |
forvape님의 댓글

|
무화기와의 문제가 아니라고 가정한다면, 배터리의 튜브 색으로 보았을 때 LG HE2로 추정되는데 HE2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소저항은 0.4옴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제가 같은 제품에 벨로시티 클랩튼 듀얼 0.23옴으로 해서 사용했던 배터리는 LG HE4입니다. 순간방전이 좀 더 좋아서 0.2옴 전후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확실히 무화기 문제가 아니시라면 메카니컬 모드에 극서브옴 사용시에는 HE2보다는 HE4 사용을 권해드리고 개인적으로는 메카니컬 모드와 사용시에는 0.5옴 미만으로는 사용하지 않으실 것을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모드기기 재질이 통전이 더 좋은 소재냐 또 배터리가 방전률이 높냐를 따져서 가장 좋은 세팅을 한다고 해도 극서브옴으로 연타하다보면 발열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0.3옴 전후의 무화기를 사용하시려면 그냥 가변에서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암여빠덜님의 댓글

|
제목을 보니 업체 탓으로 몰아가시는 의중을 가진 글로 보입니다. 업체와 해결할 일이면 직접 해결하시고 게시판에는 안올리셨음 합니다. 그게 아니라면 제목을 수정하는게 맞아 보입니다. 아무리 봐도 단순 질문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
말정님의 댓글

|
@말정추가로 다른사이트라서 주소는 못올려드리지만
하이브리드모드 쇼트라고 네이버 검색해보시믄 자세한 설명이 나옵니다. |
AKvape님의 댓글

|
@DAMDAN지금은제가 소유하고잇지않아서 못올렷네요ㅠ |
AKvape님의 댓글

|
@젊어서노세저도 의문이네요... |
AKvape님의 댓글

|
@쪽빛내음수정하려햇으나모바일이라그런진 모르겟지만 관련댓글이잇으면 수정이안된다고 뜨네요 |
AKvape님의 댓글

|
@말정감사합니다 참고하겟습니다ㅎ |
AKvape님의 댓글

|
@forvape처음 엔 너무저저항인가싶어 두번째빌드때 0.4~5사이로 잡앗는데도 그러니 의문의생기더군요..ㅠ |
말정님의 댓글

|
@AKvape혹시나해서 여쭤보는건대 배터리는
거꾸로 끼신건아니겟쥬? |
AKvape님의 댓글

|
@암여빠덜일단 모바일이여서그런지는 모르겟지만 관련댓글이있어 수정이 불가해서 수정은못햇습니다만
저는 문제를 알수없어 유저분들의 도움을얻고싶었고 혹시나 같은 업체에서 같은문제가있었으나 해결하신분들이 계신다면 그분들의 도움을얻고자하는 의도였지 글내용을봐도 공격성을띄우거나 해당업체를 언급한적은 전혀없습니다 제가생각하기엔 제의도와 제 글 요지에서 벗어나 업체탓으로 몰아간다 단정지으시고 제글에 공격성을띄우는 댓글도 문제가있다고생각이듭니다. |
비엔베이프님의 댓글

|
안녕하세요. 사진으로보니 쇼트네요. 배터리 +극사진(위에서 두번째사진) 을 보시면7시방향에 무화기 접점부와의 쇼트로 그을린 자국이있네요. 안전을 위해 하이브리드 아날로그 기기의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확인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정확한 사용법을 모르시겠으면 문의주시기바랍니다~~ |
푸론님의 댓글

|
글에 정답이 있는것 같네여 섭탱에 문제가 없었는대 데린져만 문제가 생긴다 하셨으니깐여 밧데리 문제가 아니네여. |
고모령님의 댓글

|
커트 보다 무섭다는 쇼트로 보입니다. ㄷ ㄷ ㄷ |
민들레영토님의 댓글

|
제가 볼때도 쇼트인것 같습니다.
저도 아날 처음쓸때 저랬거든요 ㅋㅋ 갑자기 확 뜨거워져서 멕모드 던져버린 기억이... ㅎㅎ |
암여빠덜님의 댓글

|
@AKvape유사한 사례로 최근 시끄러운 일들을 보면서 그런 글로 보이니 졔목을 바꾸는게 좋겠다는 내용이지 공격하는 의중은 없었어요. 공격하자면 저리 부드럽게 하진 않잖아요. 어쨋든 그리 느끼셨다면 제가 경솔했다고 사과드립니다. |
eesh님의 댓글

![]() |
배터리의 -극과 스위치 쪽의 탄 자국이 거의 동일하네요. 스위치의 접점이 평평하지 않거나 파이어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너무 가까운게 아닌가 생각됩니다. 붙어 있지 않아도 아주 가까우면 저런 식으로 스파크가 생기면서 번마크가 날 수 있습니다. 스위치 수명 단축의 주범이기도 하죠.
그리고 하이브리드방식과 자석스위치 방식은 궁합이 별로 안좋다고 생각하는 1인입니다. 네오디움 자석은 높은 열을 받게되면 자력이 많이 약해지죠. 쇼트 위험이 높은 하이브리드 방식은 과열의 가능성이 높아서 자석방식이 별로라고 생각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