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smec Theorem Atomizer와 Notch Coil (완결)-1
본문
1. Theorem Atomizer란 이름에 대한 잡설
최근에 개얼굴님께서 Theorem Atomizer에 대한 소개 형식의 리뷰
“위즈멕 띠어럼?! 씨어럼!?, Wismec Theorem Atomizer”
(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review&wr_id=27076 )
를 올려주셨네요. 좋은 리뷰 잘 봤습니다^^
그런데 제가 전공이 수학인지라, 이 무화기의 작명을 보고는 참 친근하게 느껴지더군요^^
해서 몇 가지 첨언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이 무화기의 공식 명칭이
“Wismec Theorem Atomizer Designed By Jaybo Inspired By SMM”
입니다. 즉 영감을 준 친구가 바로 Suck My Mod(약칭 SMM)이라는 유명 전자담배 리뷰어더군요.
유튜부에서 Suck My Mod라고 검색해보시면, 아 이 친구였나 하실 것입니다.
우리 이베이프 자유게시판에 하이하버님께서 올려주신,
“신박한 위즈멕 새무화기 Theorem 과 JayBo 얼굴”
(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free&wr_id=860800 )
의 마지막 사진에도 제이보와 함께 등장합니다^^
두 사람의 풀 동영상은 유튜부가 아닌 위즈멕 공식 홈에서도 감상하실 수 있구요. ( http://www.wismec.com/video/wismec-theorem-designed-by-jaybo-inspired-by-smm-plus-news-on-the-new-notch-coil/ )
그리고 두 번째는 Theorem이라는 수학 용어에 대한 것인데, 이 정리(Theorem)이란 것이 원래는, 어떤 수학 이론에서 중간 중간 또는 최종적으로 일정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참으로 증명된 명제를 의미합니다.
반대로 공리(Axiom)는 그냥 증명 없이 인정하는 명제로써, 그 이론에서의 (건축물로 치면) 주춧돌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전자담배의 세계에서는 최초의 카트리지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Theorem과 Axiom 말고도 주요한 명제들이 있는데, 하나는 보조정리(Lemma),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따름정리(Corollary)입니다.
보조정리는 말 그대로 어떤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필요한 명제, 그리고 따름정리란 증명된 정리로부터 도출되는 부수적인 명제들을 의미합니다.
전자담배의 세계에서는, 이 Theorem Atomizer의 경우, 제네시스 형태의 아토마이저가 보조정리에 해당하고, 앞으로 등장할 이 아토마이저의 클론들이나 유사 제품들이 따름정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죠.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이 정리(Theorem)란 것은, 그 이론체계에서 나름 한 획을 긋는 어떤 명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Theorem이란 용어의 용례를 보면, 참 재미있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어요.
이를 위해, 먼저 수학에서의 용례를 한 번 보시면,
“Fundamental Theorem for Algebra by C. F. Gauss”
이런 식입니다. 우리 말로하면, “가우스의 대수학의 기본 정리”가 되겠지요.
조금 더 풀어서 해석하면,
“가우스가 증명한 대수학에 대한 기본적인 정리”
가 되겠지요.
그럼 지금 얘기되고 있는 Theorem Atomizer의 공식 명칭을 살펴보죠.
“Wismec Theorem Atomizer (designed) by Jaybo (inspired by SMM)”
뭔가 상당히 유사하죠! () 안의 사족들을 빼고 Theorem과 Atomizer 사이에 for만 집어넣는다면, 거의 같은 용례가 되겠지요. 해서 같은 식으로 해석해보면,
“제이보가 고안한 아토마이저에 대한 위즈멕브랜드의(또는 위즈멕스러운) 정리”
가 되는 것이라 할 수 있겠죠^^
어찌되었든 이 제이보란 친구, 참 재미있어요, 본인이 아토마이저 세계의 발전과정에 나름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작품으로, 위즈멕스럽게 만들었다는 뜻이 되는 것이니까요^^
(어찌되었든 기존의 RDA도 RTA도, 그리고 RDTA하고도 다른 개념의 아토마이저라는 의미를 원작자가 부여했으므로, 저도 이전 리뷰의 제목을 모두 바꾸기로 했습니다, Theorem Atomizer이라고... 그리고 한글 표기는 통상적으로 “씨어럼”이라 하면 될 것 같아요, 개얼굴님 말씀처럼^^)
2. Notch Coil 리빌드
잡설은 이쯤으로 해두고, 사실 이 글은 저번에 제가 올린 노치 코일에 대한 리뷰
“Theorem Atomizer Notch Coil 리빌드 外”
(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review&wr_id=26906 )
에 대한 보충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리뷰 작성할 때는 몰랐었는데, 나중에 보니 Notch Coil을 지지기 하는 동영상이 이곳 이베이프에도 올려져있더군요.
바로 드리퍼왕자가되고시퍼...님께서 연구실에 올려주셧던
“WISMEC THEOREM ATOMIZER”
(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lab&wr_id=6293 )
의 동영상인데, 28초부터 30초 사이를 보시면 됩니다^^
해서 이번에는 그때 지지기했던 코일을 2번, 3번, 4번까지 다시 지지기한 상태를 보여드리려합니다.
(1) 두 번째 지지기 직전과 직후 사진
(3) 세 번째 지지기 직전과 직후 사진
(4) 네 번째 지지기 직전과 직후 사진
보시다시피 큰 변화가 없어 보입니다. 실제로 옴수 또한 0.25옴에서 0.28옴 사이로 항상 고정적으로 잡히더군요.
그런데 처음 리뷰 글에서 제가 입증하려 했던 것은, 정확히 얘기하자면, 노치코일을 지지기하더라도 끊어지지 않고 잘 버티느냐 하는 점이었습니다.
실험을 통해 잘 버틴다는 것이 증명되었다는 것이 제 결론이었구요.
즉 홍여사등의 세척만이 아니라, 지지기를 통한 세척도 가능하다는 것이 그 전부였지요.
물론 저도 홍여사나 폴리덴트 뿐만아니라 식초, 베이킹소다, 구연산 등 친환경 세정제를 이용하여 그냥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스테인리스 스틸로 코일을 제작했다는 것 자체가 그러한 간편한 세척의 용이성을 유도하기 때문이지요. 즉 우리가 주방이나 식당에서 쓰는 식기들을 이 재질들로 많이 만드는 이유 자체가 그러한 세척의 용이성과 내식성, 내열성, 내구성 등등이 뛰어나기 때문이니까요. 우리 주부들이 그러한 그릇들 세척한다고 가스렌지나 전자렌지를 이용해 지지기를 하는 것은 아니니까요.
(글이 자꾸 짤려서 Wismec Theorem Atomizer와 Notch Coil (완결)-2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review&wr_id=27186 로 이어집니다.)
댓글 4건
키드님의 댓글

|
한때 꽤나 오랜시간 주력으로 있었던 악시옴이 공리라는 뜻이었군요.. 수학전공자가 아니라.. 배워갑니다 :) |
개얼굴님의 댓글

|
제꺼에 들어있는 노치코일하고 모양이 좀 다른거같네요?!
재활용?을 많이할수있네요 ㅎㅎㅎ |
암여빠덜님의 댓글

|
탁! 치고 갑니다 |
Ganet님의 댓글

|
추전누르려다 반대를..죄송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