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일의 저항값이 낮을 수록 발열량이 증가? > 팁앤가이드

사이트 내 전체검색


팁앤가이드
회원아이콘

코일의 저항값이 낮을 수록 발열량이 증가?

페이지 정보

채기락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11-26 12:10 6,368읽음

본문

어제 일루문님이 남긴 글에서

--------------

일반적으로 코일의 저항이 낮을때 고온으로 더 빨리 올라가게 됩니다.

(동일 저항이더라도 면적이나 재질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지만 여기선 제껴두고 볼께요.)

 

그래서 무화량도 많아지게 되는것입니다. 

--------------

라는 글의 내용이 오해의 소지가 있어

간만에 글을 남깁니다.

 

참고로 전 전기에너지를 연구하는 공학도도 아니고,

멍청한 미대출신의 법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일개 촌부임을 말씀드립니다.

=================================

 

전기에너지가 저항을 만나면 전자의 흐름에 방해를 받게되고,

그 방해로 인하여 전기에너지는 열에너지(혹은 빛에너지)로 변환하게 됩니다.

 

해당 저항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Q = VIt​ 

쉽죠? 우리가 알고 있는 W값에 시간변수를 곱해주면 됩니다.

 

약간 변형을 준다면,(V=IR 옴의법칙을 적용)

Q = V I t = I^2 R T = V^2 T / R ​가 됩니다.

 

즉.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I값의 제곱에 비례하고(전류가 상승할 수록 발열량이 제곱으로 많아짐)

R값에 비례합니다(저항이 높아질수록 발열량이 많아짐)

----------------

여기서 3가지로 나누어서 R값과 발열량의 관계를 살펴봅니다.

 

1. 전압이 일정할때(VV모드, 아날로그 모드의 경우)

V = I R의 옴의 법칙을 활용하면 R값과 I값은 반비례의 관계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Q =  I^2 R T​ = V^2 T / R​ 인 위의 발열량 공식을 대입해 보면, 

R값이 줄어들 수록 I값의 제곱만큼 발열량이 증가 하므로,

 

저항값이 작을 수록 발열량은 많습니다

(코일 전체에 대한 발열량의 문제 이므로, 동일한 옴값의 코일이라고 하더라도 단위면적당 발열량은 코일의 표면적에 반비례합니다 - heat flux의 문제)

 

 

 

2. 전류가 일정할때(전담에는 없는 방식)

전류가 일정할때는 I값이 고정이므로,

Q =  I^2 R T​의 공식에 따라 R값이 상승할 수록 방열량이 늘어납니다

 

저항값이 높을 수록 발열량은 많습니다.

(코일 전체에 대한 발열량의 문제 이므로, 동일한 옴값의 코일이라고 하더라도 단위면적당 발열량은 코일의 표면적에 반비례합니다 - heat flux의 문제)

 

 

 

3. 전력량(W)가 일정한 경우(VW모드)

Q = V I t = I^2 R T의 공식을 대입한다면, t값만이 발열량의 변수가 됩니다.

I(전류)값과 R(저항)값​은 전혀 발열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코일 전체의 발열총양은 일정함)

다만 여기서는 heat flux(열유속)의 문제를 감안하여, 

표면적이 작은 코일일수록 코일은 빨리 달아오르게 됩니다

(고옴의 싱글코일이 더 빨리 달아오름)

 

 

==============

이상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의 내용이었습니다.

[이 게시물은 이베이프님에 의해 2015-11-26 18:07:13 자유게시판에서 복사 됨]
추천 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 20

일루문님의 댓글

일루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저 내용이 아날로그 많이들 쓰셔서
전압이 일정하다는것을 전제로 쓴 내용이라 아무래도 쫌ㅋㅋ

그리고 덤으로 VW모드에서도 코일의 저항이 높아질때
모드의 W를 올려도 배터리의 출력 이하로 컷해주는 기능이 있어서
일중수준의 W이상으론 올려도... 효과가 없어용~

솔개님의 댓글

솔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일루문저거 100% 확실한 내용입니다..
확실한거 아니면 쓰지 말라고 테클거는 사람이 확실한게 아닌데 써겠습니까?..
저는 좀 무식한 편에 속해서 저렇게 어려운 내용은 맞는지 안맞는지 조차 확인할 길이 없어서 숫자와 기호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이구나 하고 생각할 뿐입니다..

일루문님의 댓글

일루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솔개;;;
틀리다는게 아니구요... 비겁한 변경 하고있던거에요 ㅋㅋㅋㅋ
1년전에는 가변들이 비싸서... 지금처럼 다들 가변 하나씩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에널을 많이쓰셨었거든용~ 네메시스+카라플이 입문용으로 추천되던 시절...

그분들 안전하게 쓰시라고 썼던 내용이라
에널의 특징인 배터리의 전압을 조정할 수 없으니까 저항을 이용해 전류를 조정한다는 개념을 주입시키기 위해...

지금 이 글 본문에도 보면 [1]번에 있습니다' -'ㅋ



그리고 혹시나... 덤으로 쓴 글이 걸리시는 거라면 DNA200 의 출력특성 그래프를 찾아보시면
일정 저항 이상부터 전압이 더이상 올라가지 않는걸 보실 수 있으실텐데...
그게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거에용.

천연사이다님의 댓글

천연사이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기판에 붙은 저항은 값이 큰 놈일수록 뜨꺼운것...
저항하는 힘이 약하니 당연히 열은 더 높다.
뭔가 위트있는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

풍류방랑자님의 댓글

풍류방랑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회원아이콘

이상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의 내용이었습니다..
이상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 중의 내용이었습니다..
몰라도 아는척 알아도 아는척 @@

팁앤가이드 목록

전체 2,850건 91 페이지
인기글 겨울철 쿨라다 및 멘솔류 향료의 사용법

11-26 더베이퍼

댓글15
인기글 코일의 저항값이 낮을 수록 발열량이 증가?

11-26 채기락

댓글20
인기글 코일과 배터리의 관계 일루문

11-26 jjken

댓글6
인기글 18650 배터리 간단 스펙

11-26 어니

댓글6
인기글 OCC 쥬스홀 4.0mm 확공 리빌드!!(사진주의)

11-26 메리

댓글8
인기글 LG HG2 18650 배터리 (20A, 3000mAh)

11-26 어니

댓글4
인기글 18650 배터리 탑캡 비교

11-25 어니

댓글3
인기글 아이스틱 40W TC에 숨어있는 Ti 모드 추가하기~

11-25 라이팅

댓글22
인기글 Evolv DNA 200 메뉴얼

11-25 꾸꾸

댓글15
인기글 플레이버 웨스트 단일향료 배합비율

11-24 mogawh

댓글7
인기글 노틸미니와 이고원 맛내기

11-24 바두기

댓글6
인기글 그랜드 마스터에 대한 빈번한 질문 (비율과 맛조절)

11-23 월터화이트

댓글40
인기글 나사 마모 안되게 잘 쓰는법

11-22 더더

댓글48
인기글 연초내 설탕성분의 유해성

11-22 jjken

댓글14
인기글 크라운탱크 수직리빌드(Feat.크탱이 사랑스러운이유)

11-21 Newant80

댓글19
인기글 iSub APEX 코일 리빌드

11-21 라온베이프

댓글20
인기글 Reuleaux DNA 200 LG HG2 프로파일

11-20 테라피

댓글7
인기글 Reuleaux DNA 200 배터리 방전 프로파일 참고사항

11-20 전담피는그남자

댓글3
인기글 Reuleaux DNA 200 신규 Firmware

11-19 nayana

댓글18
.

11-18 드리퍼왕자가되고시퍼요

댓글5
인기글 싱글 리빌드 (리모2/카라플) 솜 정리법

11-18 서부옴므

댓글29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