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빅 vtc mini 2.00 사용에 관한 미립자 팁
페이지 정보
Engfini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11-28 08:41 1,763읽음본문
이베이프님 혹시 글의 성격이 팁게에 맞지 않다면 직권조치를 해주시면 이의없이 수용하겠나이다.
써보면서 느낀점 위주로 적어 보겠습니다.
특히 맛표현 부분은 개인차가 심하니 참고해 주셨으면 합니다.
주로 ss 316 tc에 관한 것입니다.
1.TC ss mode는 리빌드시 저항 1옴기준으로 1옴이상은 watt 그 이하는 tc로 읽히는것으로 추정됩니다.
2. ni 200에 비해서 뒷맛을 잘 표현해줌 같은 레시피의 액상이더라도 ni 200보다 더 자세하게 표현해준다고 해야할까요?
3. 현재 제가 느끼는 각 소재별 강도는
칸탈> 열처리 니켈 >ss 316 > ni 200
로 사료됩니다. ss wire가 생각외로 얇고 무른것은 의외였네요.
4.ss 316 tc의 경우에 니켈 tc와 비슷한 작동방식을 보입니다.
5.쇼트는 모든 소재가 조심해야 합니다.
6.ni 200과 ss 316간 tc의 맛표현은 ni가 좀더 습하게 올려주는 느낌이 강합니다. ni>ss
이상 지금까지 미립자 팁이였습니다.
ps. 제목 1.20 -> 2.00 수정했습니다.
써보면서 느낀점 위주로 적어 보겠습니다.
특히 맛표현 부분은 개인차가 심하니 참고해 주셨으면 합니다.
주로 ss 316 tc에 관한 것입니다.
1.TC ss mode는 리빌드시 저항 1옴기준으로 1옴이상은 watt 그 이하는 tc로 읽히는것으로 추정됩니다.
2. ni 200에 비해서 뒷맛을 잘 표현해줌 같은 레시피의 액상이더라도 ni 200보다 더 자세하게 표현해준다고 해야할까요?
3. 현재 제가 느끼는 각 소재별 강도는
칸탈> 열처리 니켈 >ss 316 > ni 200
로 사료됩니다. ss wire가 생각외로 얇고 무른것은 의외였네요.
4.ss 316 tc의 경우에 니켈 tc와 비슷한 작동방식을 보입니다.
5.쇼트는 모든 소재가 조심해야 합니다.
6.ni 200과 ss 316간 tc의 맛표현은 ni가 좀더 습하게 올려주는 느낌이 강합니다. ni>ss
이상 지금까지 미립자 팁이였습니다.
ps. 제목 1.20 -> 2.00 수정했습니다.
추천 0

댓글 1건
유하몬님의 댓글

|
2번의 코일 재질에 따른 맛의 차이가 존재할지
의문입니다 ;; 재질에 따른 리빌드의 난이도에 따른 코일바퀴수나 옴수에 따른 와트의 차이로 인한 코일의 온도때문에 맛차이가 나지 않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