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맞이 소소한 팁!
본문
안녕하세요, 요동진입니다.
저는 평소에 무화기나 가변 세척을 그닥 즐겨하지는 않습니다....허허
하지만 사용하다보면 주머니에서 파이어 버튼이 눌려서, 혹은 액상없이 과도하게 흡입을 했을때, 무화기에 상당히 진한 '탄내'가 남을때가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미슈탱 사용 중 가변 이상으로 인해 솜이 끊어질 정도로 파이어 된 적이 있었고 그로인해 상당히 진한 빠지지 않는 탄내가 무화기에 남아서 결국 버릴 수 밖에 없었던 적도 있었습니다.(치약, 폴리덴트 등 제가 할 수 있는 건 다해봤지만 침니와 에어홀 주변에 남은 냄새들이 계속 미세하게 올라오던군요..ㅠㅠ)
이번에도 카이푼 사용 중 과도한 파이어로 인해 씻을 수 없는 탄내가 베었습니다. 이를 어찌하나 고민하다가..
어릴 적 과학시간에 실험했던 탄산수소나트륨+식초 반응이 생각났습니다. 저도 왜 이게 생각났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다만, 어렴풋한 기억으로 살균 및 세척 작용을 한다고...기억이...
때마침 빵만들고 남은 베이킹파우더가 있어서 바로 실행에 옮겼습니다.
반응을 촉진시키기위해 물을 70-80도 정도로 뎁히고, 국그릇에 카이푼 투척, 베이킹파우더 한큰술 넣고 휘휘~ 저어서 2-3분정도 두었다가
사과식초 소주잔으로 한 컵 투척.
약 10분간 방치해두었습니다. 10분동안 기포가 뽀글거리면서 뭔가 씻겨진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10분 후, 생각보다 괜찮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탄내는 사라지고 사과식초의 약한 사과향만 남은, 잘 씻겨진 무화기가 되었습니다.
폴리덴트나 기존 세척방법에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필요없겠으나.. 저처럼 게으르고 별도의 세척도구가 없으신 분들에게는 소소~한 팁이 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무화기 세척할 때 비누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약간이나마 베이핑 시 비누의 잔향이 남아 액상에서 화장품 냄새가 나는 듯한 느낌을 받네요.. 리스테린과 같이 향이 강한 세척액도.. 지양하는 편입니다^^
모쪼록, 16년 한해 복이 가득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댓글 11건
아지야님의 댓글

|
|
금감지님의 댓글

|
|
개얼굴님의 댓글

|
|
유하몬님의 댓글

|
주부들이 이방법으로 냄새제거 많이 하시는데 .. 불만제로 던가
하신후에 오래 방치하면 곰팡이가 살기 최적의 조건이라고 본게 기억나네요 . 무화기 세척에는 괜찮을것 같습니다. 액상 바로 넣으면 되니 |
풍류방랑자님의 댓글

|
식ㅊ는 생각지도 못했는데..ㅎ |
솔개님의 댓글

|
이 방법을 제가 말했다가 폭풍 까였죠.. |
블랙코어님의 댓글

|
베이킹소다 아닌가요?
종이컵에 세척할 무화기 부품류 넣고 베이킹소다를 큰스푼으로 둘정도 듬뿍 넣어 잘 섞이도록 흔들흔들한뒤 내비둬도 냄새 제거엔 도움 됩니다 좀 더 빠른 진행을 위해선 말씀하신 식초도 좋은 방법이지만 식초향도 은근히 자극적이라^^ |
드립퍼님의 댓글

|
마트가시면 식용등급 소다를 식기 세척용으로 팔아요. |
솔개님의 댓글

|
@드립퍼판매하는 용도의 취지와는 다르죠.. |
솔개님의 댓글

|
@블랙코어식초 냄새?..
식초 냄새가 남을리 없는데요.. 이 방법은.. 소다와 식초가 결합하면서 화학작용이 일어나며 기포가 발생하고 물로 변합니다.. 장비수리 현직에 있을 때에 애용하던 방법중 하나인데 어떤 화학작용인지는 모르고.. 그 화학작용이 세척과 냄새제거를 해주는 것으로 배웠거든요.. 소다보다 식초가 많을 경우라면 잔류식초가 냄새를 일으키겠지만.. 통상은 소다가 더 많기에 식초가 남아서 냄새를 일으키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
블랙코어님의 댓글

|
@솔개헙~ 일반적인 경우 식초향이 남지 않나 보군요
저는 싱크대나 세면기 구멍에서 냄새가 올라오면 베-소 넣고 싸구리식초 붓는 편이라 많은 식초양 때문에 그랬나 보네요 반응이 생기는건 알캴리성 소다 + 산성인 식초 = 푸쉬식~이라고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