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정정) PP가 아닌, PET재질에 '쿨라다' 담지 마세요.
본문
요번에 김장을 하면서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특정 향료가 용기를 용해 시킬 수 있다는 정보는 이전부터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여 왔습니다만,
'쿨라다'가 용기를 용해 시킨다는 사실은 이번에 발견하게 됐습니다.
보시다시피, PET재질 추정에 담긴 쿨라다 용기에 얼음결정 것들이 눈에 띕니다.
어는 점이 낮아서인가? 결정으로 보이는 이물질을 꺼내 만져보니, 얼음 결정 같이 느껴지더라구요.
아무래도 이상해서 나무젓가락으로 내부를 긁어 보니...
용기내부가 군데 군데 파여 있습니다.
'쿨라다' 향료가 용기 내부를 용해 시킨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PC재질(무화기 경통)은 특정 향료에 의해 화학 반응으로 용해 되면서 비스페놀a가 발생합니다.
노출되면 성기능 장애(발기부전 등)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PET재질도 동일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네요.
문제의 용기는 약병 또는, 시럽병이라 흔히 부르는 용기 중에서 투명한 용기입니다.
혹시, 투명한 약병(시럽병)을 가지고 계시면 전담 액상 보관용으로 사용을 금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보는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은 HDPE 와 LDPE 입니다.
가능하면 HDPE 재질과, LDPE 재질의 용기에 액상을 보관 하십시오.
특히, 희석 니코틴의 보관 용기도 HDPE 재질의 용기를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은 니코틴을 담아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이 아니고, 이들 재질의 특성상 용해 될 위험성은 없다는 것이죠.
HDPE., LDPE 재질은 보통 시중에서는 소스 용기라고 부릅니다.
참으로 충격적인 것은 쿨라다는 맨솔계 액상을 만들 때 주로 첨가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항료 중 하나인데요.
진짜 주의하셔야겠습니다.
* 투명한 시럽병이다 보니 검색해 본 결과, PP재질 투명 공병과 비슷해서 PP재질(추정)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정확하게 확인한 결과. PP 투명은 살짝 어두운 투명이고, 저 문제의 PET 재질은 반짝거리는 투명으로
투명의 정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약공병 PET 로 검색하니 100% 똑같은 공병이 검색되네요.
(문제가 더 심각하네요. PET 재질에 쿨라다를 보관하는 분들이 계실거 같습니다.)
(필요하면 무단으로 퍼 가십시오.)
댓글 59건
봉순사랑님의 댓글

|
항상 고퀄리티의 정보를 주셔서 늘 감사합니다 |
크롱하츠님의 댓글

![]() |
헉 그럼 프리믹스액상들도 쿨라다향료들어간건 약병에 김장해놓으면 안되겠군요. |
벤데믹님의 댓글

|
저 나눔받은 쿨라다는 저런게 전혀없던데...흠... |
알팔갖고싶어요님의 댓글

![]() |
저는 원래부터 저 시럽병의 플라스틱 재질 자체가 찝찝해서 안쓰고있었는데 정말 다행이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봉순사랑제가 전에도 이런 글 올렸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아마 이 클라다에 대해 글 올리고 나서 나중에 다시 살펴볼려고 안버리고 나뒀던게 화근이였네요. 제가 치매였나봅니다. ㅎㅎ 잊고 있었네요. 김장 400미리 버리고 새로 만들었습니다...제가 고퀄리티라면 봉순님은 초하이퀄러티. |
sins님의 댓글

|
@크롱하츠네 투명한 시럽병이 PP재질로 추정되는데 이건 절대 보관용으로 쓰지 마세요. 저도 이런 병에 담아 둔건 오늘 다 버렸습니다.
문제의 용기에 담아뒀던 향료 1%만 사용해도 건강엔 안좋을거에요. |
sins님의 댓글

|
@벤데믹HDPE 재질 병에 있는 새거는 문제 없더군요. |
sins님의 댓글

|
@알팔갖고싶어요네 이런 현상이 담고 나서 바로 나타나진 않고 장기 보관하면서 용해가 되네요. 용기 내부를 긁어보니 흠집이 장난이 아닙니다. PP재질은 사용하지 마세요.. |
beta님의 댓글

![]() |
pp가 상했다면 pe도 견디기 힘들거 같습니다 |
sins님의 댓글

|
@beta그렇군요... pe도 조심해야겠네요. pp는 손상이 굉장히 심각했습니다. 내부에 패인 자국들이 부지기수로 많더군요. 그것들이 떨어져 나와 마치 얼음결정처러 보였습니다. 그리고 저 시럽병에 쓰이는 뚜껑도 손상됩니다. 캡이 갈라지더군요. 캡의 재질이 pe라면 pe도 문제인게 맞을겁니다. |
beta님의 댓글

![]() |
@sins쿨라다의 정체가 궁금하네요. 어디 제품인가요? |
sins님의 댓글

|
@beta시원한 청량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TPA에서 만든 쿨라다 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회사 제품도 마찬가지일거 같네요. |
악튠님의 댓글

|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pet재질에 똑같이 생긴것도 비슷한가요?
예전에 깡패주스 약국공병에 담았다가 결정생긴 기억이 납니다. |
sins님의 댓글

|
@악튠불투명한 거하고, 투명한 것이 있는데 지금 문제된게 투명한 공병입니다. 네이버 검색해보니, PP 재질이라고 나오는데 PET로 나오는 것도 투명한게 있어서 이 둘이 어떻게 다른지 제가 지금은 모르겠는데 자세한 건 정확히 알아본 후 알려드릴께요. 사진 중에 맨 아래꺼 용기 내부를 보시면 저게 완전히 삭아버린 겁니다. 일단 결정이 보였다면 어는 점이 낮아서거나 이때는 결정처럼 보이는 것을 끄집어 내서 손으로 만져보면 녹으면 언 것이구요. 아니면, 내부가 용해 된 플라스틱 물질인거죠. 결정이 보이면 일단 문제라고 보시면 확인이 필요해요. 모든 향료가 이러진 않을테고 맨솔계 쪽 향료가 문제인거 같아요. |
악튠님의 댓글

|
@sins앗 감사합니다! 그냥 버렸던 기억이 ㅎㅎ
찝찝하면 건너는게 상책~! |
꼬당님의 댓글

|
아.. 김장해놓은거 얼렁 먹어버려야겠다 ㅠㅠ
전담은 진짜 손이 참 많이가고 준비도 할게많네요 ... |
야옹써니님의 댓글

|
@꼬당하이네 쿨링에이전트나 스위트너랑은
쿨라다랑은 다른건가요? |
꼬당님의 댓글

|
@야옹써니스위트너 같은경우는 달달한 맛 첨가제 아닌가요 ?? 쿨링에이전트는 멘솔첨가제이고요
쿨링이랑 쿨라다는 같은 멘솔 첨가제인데 좀 달라요 저는 쿨라다 먹으면 켁켁 거려요 기침.. |
야옹써니님의 댓글

|
@꼬당음..그럼 보관 유의사항 위글내용이랑 같다생각해도되는건지.. |
뿌루뿡님의 댓글

|
용해가 아니라 얼어있는것 아닌가요? |
보키님의 댓글

|
날씨가 추워서 결정화가 되있는거 같습니다. 따뜻한물에 중탕한번 해보세요~ |
송송송님의 댓글

|
저는 싼 맛에 저런 약국공병모양을 주로 사용해서 이 글보고 연초가 확 땡겼다가... 확인해보니 Ldpe라 표시돼있네요.. 휴ㅠ
비슷한 공병이라도 항상 재질 꼭 확인해서 사용해야겠어요. 추천 꾹! |
꼬당님의 댓글

|
@야옹써니쿨라다는 저도 잘 모르지만...
확실히 특정향료가 녹이는건 있습니다 !! |
sins님의 댓글

|
@뿌루뿡시각적으로 그렇게 보여요. 처음에 어는 온도가 낮아서 결정이 된거라고 그냥 지나쳤었습니다. 얼음 결정이라면 녹아야 하는데 녹지를 않더라구요. 그래서 용기 내부를 나무젓가락로 비벼 봤죠. 마지막 사진에 내부 모습이 보이는데 저게 결정이 다닥 다닥 붙어있는게 아니라 쩍적 갈라지 틈새들입니다. 그리고 용액 안에는 플라스틱 잔해물들이 가득하구요. |
sins님의 댓글

|
@보키아닙니다.. ㅎ 제가 확인했어요. 마지막 사진 보시면 결정들이 보이는거 같죠? 저게 쩍적 갈라져서 흠집들의 모습이구요. 용해가 되버렸어요. |
sins님의 댓글

|
@송송송LDPE는 안전한데 다행입니다. HDPE, LDPE 인 것만 확인해서 사용하세요. 감사합니다. ㅎㅎ |
PeterY님의 댓글

|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tip&wr_id=32392 여기에선 PP재질로 된 공병 괜찮다고 하는데 이게 다 액상에 따라 바뀌는군요! |
국방부퀘스트님의 댓글

![]() |
PET 재질 아닌가요?? |
제이J님의 댓글

|
사진속 공병은 PP가 아니라 PET 입니다. PP와 PE는 괜찮을걸로 생각되네요. |
저지불가님의 댓글

|
@제이J같은 의견입니다. |
말기환자님의 댓글

![]() |
비슷한 현상 전에도 있었죠..ㅎ 1453 경통재질이 강화 플라스틱? 암튼 어떤 재질이었는데 맨솔계열 액상들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투명하던 경통이 하얗게 변하거나 경통이 녹아내렸었죠 |
sins님의 댓글

|
@PeterYPET 재질이네요. 이 문제의 공병 |
sins님의 댓글

|
@국방부퀘스트네 약국공병 검색했을 때는 PP재질이 닮았는데 재확인 결과 PET 재질입니다. 그냥 검색하면 나오지 않고 약공병 PET로 검색하니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제이J네 PET가 맞네요. PP와 PE가 안전한지는 모르겠습니다. 뚜껑이 금이 가는 경험은 여러번 있었습니다. 가급적 HDPE를 쓰세요. |
sins님의 댓글

|
@말기환자가급적 HDPE를 쓰세요. 이 용기는 알콜 보관할 정도로 내약품성 내화학성이 우수합니다. 말씀대로 맨솔계 향료가 꽤 위험하네요. |
PeterY님의 댓글

|
@sins허걱??저 하이네에서 산 액상들 pet병에 담아뒀었는데 다버려야되겠군요? |
sins님의 댓글

|
@PeterY네이버에서 약공병 pet 로 검색하시면 나오는 완전히 투명한 공병이 문제의 공병입니다. 재질에 pet라고 돼 있구요. |
PeterY님의 댓글

|
@sins으음.. 이게 쿨라다가 들어간 하이네 액상들이 걱정입니다. 이번에 주문했는데 말이죠. |
sins님의 댓글

|
@PeterY저도 pet에 주로 보관했었는데 지금은 hdpe, ldpe만 쓰고 있습니다. 이걸 추천하고, 이외 유리도 괜찮다면 스포이드 유리용기를 구입해서 사용하세요. pet는 단기 보관에는 문제 없구요. 장기보관이 문제가 됩니다. 오래 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옮기시는게 좋겠네요. |
치믈리에님의 댓글

|
다행이도 쿨라다 들어간것은 LPED네요..
쿨라다없는액상도 PET병에 든거는 버려야할가요??ㅠㅠ |
sins님의 댓글

|
@치믈리에쿨라다 없다면 큰 문제는 없을거에요. 하지만 앞으로는 PET는 쓰지 마세요. 저도 애용했던게 PET였는데 지금은 쓰지 않습니다. LDPE, HDPE, 스포이드유리용기 중에서만 사용하세요. PET재질은 단기 보관은 상관없으나, 장기보관시 특정 향료에 의해 용해가 되고, 재사용시 세척을 제대로 못하면 세균번식의 위험이 있구요. 또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 열에 가장 취약합니다. 중탕한 액상을 PET에 보관하면 쪼그라드는거죠. PET에 1년이상 보관한 액상이라면 저라면 버릴거 같습니다. 그전이라면 안전한 용기에 옮길거구요. 참고하세요. |
치믈리에님의 댓글

|
@sins이게 진정 꿀팁입니다.. 덕분에 제 성기능을 보존 할수있게되었습니다....ㅋㅋㅋ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치믈리에발기 할 권리를 지키기 위해선 신경쓰자구요. ㅎㅎ |
아페리티프님의 댓글

![]() |
궁금한게 있는데요 사진에있는 용기에 어느정도 기간 보관하신건가요? |
금복주님의 댓글

|
아이고 99개 공병을 우짤까요...... |
sins님의 댓글

|
@아페리티프정확한 기억은 안납니다. 더베이퍼에서 쿨라다를 구입했었는데 용기 뚜껑이 헛도는 문제가 있어서 제가 쿨라다만 다른 용기인 바로 저 페트 재질의 용기에 옮겨 담았던 것이였꼬, 아무리 못해도 최소 6개월 이상은 보관했을겁니다. |
sins님의 댓글

|
@금복주저도 PET 재질에 주로 보관을 했었고 인터넷으로 약국공병 산 것도 꽤 됩니다. 옛날에 향료직구 공구 진행할 때도 대량으로 사서 분리작업 했었구요. 지금은 페트재질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예 약국공병은 안쓰고. HDPE. LDPE, 스포이드 갈색유리용기만 사용하고 있네요. 버리지 마시고, 액상보관이 아닌 다른 용도로 나중에 쓰임새가 있지 않을까요... |
플래티넘님의 댓글

|
좋은 정보는 추천! |
sins님의 댓글

|
@플래티넘건강한 전담생활 되세요^^ |
쿄쿄1234님의 댓글

![]() |
이페이지를 다른이름으로 저장했습니다!.
정말 정말 중요한정보입니다! 덕분에 무언가를 지킬수 있게되었어요!!! 전담의길은 참으로 좋고도 어렵고 또 복잡하네요! |
sins님의 댓글

|
@쿄쿄1234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액상을 구입하거나 김장을 만드실때 계피 향은 피하세요. 계피향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 이상이되면 포름알데히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 여건이 되신다면 ss316l 코일이나 와이어 리빌드를 해서 온도조절로 전담생활을 하시는걸 권합니다. |
러블리아쿠아님의 댓글

|
좋은 정보 얻고 갑니다 ~ ^^ |
sins님의 댓글

|
@러블리아쿠아넵^^ |
뙈랑이님의 댓글

![]() |
디알케에서 파는 약국공병은 pp 재질인데 괜찮겠군요... 그리고 서비스로 넣어주시는 30미리 약국공병은 ldpe재질이네요~ |
sins님의 댓글

|
@뙈랑이네 둘 다 액상, 향료 보관용으로 좋습니다. 디알 좋군요. |
노벰버레인님의 댓글

|
플라스틱 잔해물들을 확인하셨다고 하니
공병의 문제가 맞겠지만 쿨라다같은 멘솔계열은 장기간 보관시 결정체가 나타나는 경우는 원래 그런것이니 혹여나 멀쩡한 향료 버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얘네들은 애초 원재료부터가 결정체고 이 결정체를 녹여서 향료를 만들거든요. 지금은 모르겠지만 예전엔 쿨라다 멘솔뒤에 숫자 같은것들이 적혀있었는데 그게 결정체와 pg(혹은 그와 비슷한 용액)의 함유량을 적어놓은거였구요. 멘솔 크리스탈이 유리파편마냥 딱 그렇게 생겼고 얘들을 pg에 넣어서 중탕하고 흔들어 제끼면 향료 멘솔이 됩니다. 제대로 쉐킷하지않음 분명 다 녹았었는데 며칠뒤에 보면 또 결정체들이 둥둥 떠 있고 그래요. |
가리맨님의 댓글

![]() |
이래서 내고추가 ㅜ ㅜ |
비카판타지님의 댓글

|
Ldpe 굿 |
라미네이트님의 댓글

![]() |
사우어 플레이버는 어떨까요.. 쿨라다랑 다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