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정정) PP가 아닌, PET재질에 '쿨라다' 담지 마세요. > 팁앤가이드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연구실 인기글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팁앤가이드
회원아이콘

[주의] (정정) PP가 아닌, PET재질에 '쿨라다' 담지 마세요.

페이지 정보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작성일 님이 2017년 11월 22일 20시 27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8,058 읽음

본문

3b07d50f0c497cd8a13286874830c392_1511350004_1892.jpg

3b07d50f0c497cd8a13286874830c392_1511350009_4599.jpg

3b07d50f0c497cd8a13286874830c392_1511350015_3789.jpg

 

요번에 김장을 하면서 충격적인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특정 향료가 용기를 용해 시킬 수 있다는 정보는 이전부터 확인하고 주의를 기울여 왔습니다만,

'쿨라다'가 용기를 용해 시킨다는 사실은 이번에 발견하게 됐습니다.

 

보시다시피, PET재질 추정에 담긴 쿨라다 용기에 얼음결정 것들이 눈에 띕니다.

어는 점이 낮아서인가? 결정으로 보이는 이물질을 꺼내 만져보니, 얼음 결정 같이 느껴지더라구요.

아무래도 이상해서 나무젓가락으로 내부를 긁어 보니...

용기내부가 군데 군데 파여 있습니다.

'쿨라다' 향료가 용기 내부를 용해 시킨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PC재질(무화기 경통)은 특정 향료에 의해 화학 반응으로 용해 되면서 비스페놀a가 발생합니다.

노출되면 성기능 장애(발기부전 등)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PET재질도 동일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네요.

문제의 용기는 약병 또는, 시럽병이라 흔히 부르는 용기 중에서 투명한 용기입니다.

혹시, 투명한 약병(시럽병)을 가지고 계시면 전담 액상 보관용으로 사용을 금하셔야 할 거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보는 플라스틱 용기의 재질은 HDPE 와 LDPE 입니다.

가능하면 HDPE 재질과, LDPE 재질의 용기에 액상을 보관 하십시오.

특히, 희석 니코틴의 보관 용기도 HDPE 재질의 용기를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것은 니코틴을 담아 직접적으로 연구한 것이 아니고, 이들 재질의 특성상 용해 될 위험성은 없다는 것이죠.

HDPE., LDPE 재질은 보통 시중에서는 소스 용기라고 부릅니다.

 

참으로 충격적인 것은 쿨라다는 맨솔계 액상을 만들 때 주로 첨가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항료 중 하나인데요.

진짜 주의하셔야겠습니다.

 

 * 투명한 시럽병이다 보니 검색해 본 결과, PP재질 투명 공병과 비슷해서 PP재질(추정)이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정확하게 확인한 결과. PP 투명은 살짝 어두운 투명이고, 저 문제의 PET 재질은 반짝거리는 투명으로 

   투명의 정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약공병 PET 로 검색하니 100% 똑같은 공병이 검색되네요.

  (문제가 더 심각하네요. PET 재질에 쿨라다를 보관하는 분들이 계실거 같습니다.) 


(필요하면 무단으로 퍼 가십시오.)

추천 27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59

알팔갖고싶어요님의 댓글

알팔갖고싶어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1.*.31.55)
회원아이콘 저는 원래부터 저 시럽병의 플라스틱 재질 자체가 찝찝해서 안쓰고있었는데 정말 다행이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봉순사랑제가 전에도 이런 글 올렸던 기억이 나네요. 그때 아마 이 클라다에 대해 글 올리고 나서 나중에 다시 살펴볼려고 안버리고 나뒀던게 화근이였네요. 제가 치매였나봅니다. ㅎㅎ 잊고 있었네요. 김장 400미리 버리고 새로 만들었습니다...제가 고퀄리티라면 봉순님은 초하이퀄러티.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크롱하츠네 투명한 시럽병이 PP재질로 추정되는데 이건 절대 보관용으로 쓰지 마세요. 저도 이런 병에 담아 둔건 오늘 다 버렸습니다.
문제의 용기에 담아뒀던  향료 1%만 사용해도 건강엔 안좋을거에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알팔갖고싶어요네 이런 현상이 담고 나서 바로 나타나진 않고 장기 보관하면서 용해가 되네요. 용기 내부를 긁어보니 흠집이 장난이 아닙니다. PP재질은 사용하지 마세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beta그렇군요... pe도 조심해야겠네요. pp는 손상이 굉장히 심각했습니다. 내부에 패인 자국들이 부지기수로 많더군요. 그것들이 떨어져 나와 마치 얼음결정처러 보였습니다. 그리고 저 시럽병에 쓰이는 뚜껑도 손상됩니다. 캡이 갈라지더군요. 캡의 재질이 pe라면 pe도 문제인게 맞을겁니다.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beta시원한 청량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TPA에서 만든 쿨라다 였습니다. 그러나 다른 회사 제품도 마찬가지일거 같네요.

악튠님의 댓글

악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7.168)
회원아이콘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pet재질에 똑같이 생긴것도 비슷한가요?
예전에 깡패주스 약국공병에 담았다가 결정생긴 기억이 납니다.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악튠불투명한 거하고, 투명한 것이 있는데 지금 문제된게 투명한 공병입니다. 네이버 검색해보니, PP 재질이라고 나오는데 PET로 나오는 것도 투명한게 있어서 이 둘이 어떻게 다른지 제가 지금은 모르겠는데 자세한 건 정확히 알아본 후 알려드릴께요. 사진 중에 맨 아래꺼 용기 내부를 보시면 저게 완전히 삭아버린 겁니다. 일단 결정이 보였다면 어는 점이 낮아서거나 이때는 결정처럼 보이는 것을 끄집어 내서 손으로 만져보면 녹으면 언 것이구요. 아니면, 내부가 용해 된 플라스틱 물질인거죠. 결정이 보이면 일단 문제라고 보시면 확인이 필요해요. 모든 향료가 이러진 않을테고 맨솔계 쪽 향료가 문제인거 같아요.

꼬당님의 댓글

꼬당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6.214)
회원아이콘 @야옹써니스위트너 같은경우는 달달한 맛 첨가제 아닌가요 ?? 쿨링에이전트는 멘솔첨가제이고요

쿨링이랑 쿨라다는 같은 멘솔 첨가제인데 좀 달라요 저는 쿨라다 먹으면 켁켁 거려요 기침..

송송송님의 댓글

송송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07.229)
회원아이콘 저는 싼 맛에 저런 약국공병모양을 주로 사용해서 이 글보고 연초가 확 땡겼다가... 확인해보니 Ldpe라 표시돼있네요.. 휴ㅠ
비슷한 공병이라도 항상 재질 꼭 확인해서 사용해야겠어요.
추천 꾹!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뿌루뿡시각적으로 그렇게 보여요. 처음에 어는 온도가 낮아서 결정이 된거라고 그냥 지나쳤었습니다. 얼음 결정이라면 녹아야 하는데 녹지를 않더라구요. 그래서 용기 내부를 나무젓가락로 비벼 봤죠. 마지막 사진에 내부 모습이 보이는데 저게 결정이 다닥 다닥 붙어있는게 아니라 쩍적 갈라지 틈새들입니다. 그리고 용액 안에는 플라스틱 잔해물들이 가득하구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보키아닙니다.. ㅎ 제가 확인했어요. 마지막 사진 보시면 결정들이 보이는거 같죠? 저게 쩍적 갈라져서 흠집들의 모습이구요. 용해가 되버렸어요.

PeterY님의 댓글

Peter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95.223)
회원아이콘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tip&wr_id=32392 여기에선 PP재질로 된 공병 괜찮다고 하는데 이게 다 액상에 따라 바뀌는군요!

말기환자님의 댓글

말기환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75.70)
회원아이콘 비슷한 현상 전에도 있었죠..ㅎ 1453 경통재질이 강화 플라스틱? 암튼 어떤 재질이었는데 맨솔계열 액상들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투명하던 경통이 하얗게 변하거나 경통이 녹아내렸었죠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국방부퀘스트네 약국공병 검색했을 때는 PP재질이 닮았는데 재확인 결과 PET 재질입니다. 그냥 검색하면 나오지 않고 약공병 PET로 검색하니 나오네요. 감사합니다.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제이J네 PET가 맞네요. PP와 PE가 안전한지는 모르겠습니다. 뚜껑이 금이 가는 경험은 여러번 있었습니다. 가급적 HDPE를 쓰세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말기환자가급적 HDPE를 쓰세요. 이 용기는 알콜 보관할 정도로 내약품성 내화학성이 우수합니다. 말씀대로 맨솔계 향료가 꽤 위험하네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PeterY저도 pet에 주로 보관했었는데 지금은 hdpe, ldpe만 쓰고 있습니다. 이걸 추천하고, 이외 유리도 괜찮다면 스포이드 유리용기를 구입해서 사용하세요. pet는 단기 보관에는 문제 없구요. 장기보관이 문제가 됩니다. 오래 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옮기시는게 좋겠네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치믈리에쿨라다 없다면 큰 문제는 없을거에요. 하지만 앞으로는 PET는 쓰지 마세요. 저도 애용했던게 PET였는데 지금은 쓰지 않습니다. LDPE, HDPE, 스포이드유리용기 중에서만 사용하세요. PET재질은 단기 보관은 상관없으나, 장기보관시 특정 향료에 의해 용해가 되고, 재사용시 세척을 제대로 못하면 세균번식의 위험이 있구요. 또 플라스틱 용기 중에서 열에 가장 취약합니다. 중탕한 액상을 PET에 보관하면 쪼그라드는거죠. PET에 1년이상 보관한 액상이라면 저라면 버릴거 같습니다. 그전이라면 안전한 용기에 옮길거구요. 참고하세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아페리티프정확한 기억은 안납니다. 더베이퍼에서 쿨라다를 구입했었는데 용기 뚜껑이 헛도는 문제가 있어서 제가 쿨라다만 다른 용기인 바로 저 페트 재질의 용기에 옮겨 담았던 것이였꼬, 아무리 못해도 최소 6개월 이상은 보관했을겁니다.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금복주저도 PET 재질에 주로 보관을 했었고 인터넷으로 약국공병 산 것도 꽤 됩니다. 옛날에 향료직구 공구 진행할 때도 대량으로 사서 분리작업 했었구요. 지금은 페트재질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예 약국공병은 안쓰고. HDPE. LDPE, 스포이드 갈색유리용기만 사용하고 있네요. 버리지 마시고, 액상보관이 아닌 다른 용도로 나중에 쓰임새가 있지 않을까요...

쿄쿄1234님의 댓글

쿄쿄1234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30.214)
회원아이콘 이페이지를 다른이름으로 저장했습니다!.
정말 정말 중요한정보입니다!
덕분에 무언가를 지킬수 있게되었어요!!!
전담의길은 참으로 좋고도 어렵고 또 복잡하네요!

sins님의 댓글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3.*.89.84)
회원아이콘 @쿄쿄1234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액상을 구입하거나 김장을 만드실때 계피 향은 피하세요. 계피향은 연소되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 이상이되면 포름알데히드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또, 여건이 되신다면 ss316l 코일이나 와이어 리빌드를 해서 온도조절로 전담생활을 하시는걸 권합니다.

뙈랑이님의 댓글

뙈랑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88.114)
회원아이콘 디알케에서 파는 약국공병은 pp 재질인데 괜찮겠군요... 그리고 서비스로 넣어주시는 30미리 약국공병은 ldpe재질이네요~

노벰버레인님의 댓글

노벰버레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202.49)
회원아이콘 플라스틱 잔해물들을 확인하셨다고 하니
공병의 문제가 맞겠지만

쿨라다같은 멘솔계열은 장기간 보관시 결정체가 나타나는 경우는 원래 그런것이니 혹여나 멀쩡한 향료 버리지 마시길 바랍니다^^
얘네들은 애초 원재료부터가 결정체고 이 결정체를 녹여서 향료를 만들거든요.
지금은 모르겠지만
예전엔 쿨라다 멘솔뒤에 숫자 같은것들이 적혀있었는데
그게 결정체와 pg(혹은 그와 비슷한 용액)의 함유량을 적어놓은거였구요.

멘솔 크리스탈이 유리파편마냥 딱 그렇게 생겼고
얘들을 pg에 넣어서 중탕하고 흔들어 제끼면 향료 멘솔이 됩니다.

제대로 쉐킷하지않음 분명 다 녹았었는데
며칠뒤에 보면 또 결정체들이 둥둥 떠 있고 그래요.

팁앤가이드 목록

전체 2,849건 47 페이지
팁앤가이드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883 파이로 RDTA 리빌드 영상입니다. 댓글+5 인기글첨부파일 버나드c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52  1
1882 안전을 위한 배터리 수축필름 입히는법! 댓글+14 인기글 ClaudesChoic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5152  13
1881 전자담배 폭발 방지하려면. 댓글+8 인기글 taylor909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4749  10
1880 버서커 - 빌드, 폴딩위킹 영상입니다. 댓글+21 인기글 버나드c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789  3
1879 전자담배 트릭 강좌 모음집. 댓글+14 인기글 taylor909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35064  18
열람중 [주의] (정정) PP가 아닌, PET재질에 '쿨라다' 담지 마세요. 댓글+59 인기글첨부파일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8059  27
1877 당신은 빌렛박스 티타늄빌드를 잘못사용하고있는지도 모른다. 댓글+9 인기글 산곡12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3363  2
1876 솔트 니코틴이 뭘까요~ 댓글+14 인기글 HiLIQTon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16056  4
1875 피코보다 가벼운 모드기 댓글+25 인기글 금능해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5774  2
1874 드래그나 알파원 쓰시는분들! 댓글+8 인기글첨부파일 Peter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2161  0
1873 베이핑 트릭 튜토리얼 1탄! 오링!! 댓글+17 인기글 Vapedex베잎덱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6002  19
1872 초보 김장 하기v4 (전자저울 주의사항) 댓글+17 인기글첨부파일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5927  8
1871 에밋 아밋 AMMIT 25 RTA 리빌드 입니다. 댓글+1 인기글첨부파일 버나드c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1416  0
1870 배터리와 충전기에 관해..0V(허준) 댓글+7 인기글 평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4100  6
1869 전자담배 정리함 추천 댓글+18 인기글첨부파일 큐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6295  0
1868 tcr 값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베꼽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781  0
1867 빌렛박스 엑소 티타늄 (온도조절방법과 팁) 댓글+3 인기글첨부파일 산곡12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3559  9
1866 [21700] 배터리 크기 비교 실사 입니다. 댓글+4 인기글첨부파일 목격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5039  0
1865 [배터리 테스트] 18350~21700 최신 정보 2017.11.01 댓글+7 인기글 목격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653  3
1864 [1] 전자담배 오해와 진실 댓글+9 인기글첨부파일 목격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4351  13
1863 다중코어코일의 핫스팟제거 댓글+10 인기글 까시나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408  16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