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호 배터리에 대한 잘못된 상식(1) - 완전히 잘못된 정보들
본문
안녕하세요. 질게포게트게 서식중인 세리아크 입니다.
요즘 배터리들에 관련해서 관심이 높아져서 이래저래 무치아저씨 유튜브를 보며 공부하고있습니다.
그중에 알고있어야 할것들 혹은 알아두면 좋을 것들을 중점적으로 이베이프에 옮겨볼까 합니다.
당연하지만, 본문에 적은 것들을 100% 맹신하진 마실것을 권해 드립니다.
무치아저씨가 틀렸을 수도 있고, 옮기는 과정에서 제가 실수를 할수도 있습니다.
의아한점이 있다면 구글/지식인 등등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많이 있으니, 재확인 합시다.
-------------------- 완전 거짓 --------------------
1. 리튬이온 배터리를 물에 빠뜨리면 폭발한다, 혹은 폭발의 위험이 있다?
- 배터리캔(금속 재질의 겉부분)의 실링이 유지되는한 물에 배터리가 빠지는것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2차전지,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내부에는 물과 반응할 수 있는 리튬 금속이 없습니다. 때문에 캔의 실링이 파손되어도 물과 접촉은 문제되지 않습니다.
문제가 되는것은 내부에 리튬금속이 들어있는, '리튬'배터리 입니다.
2. 배터리 사용한지 일정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교체해야한다?
- 사용자가 어떻게 배터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교체시기는 달라집니다.
배터리의 성능, 출력이 떨어짐이 느껴지거나, 물리적으로 배터리에 흠이 생겼을 경우에 교체하시면 됩니다.
배터리를 부드럽게, 스펙내의 출력으로 방전하고 스펙내의 입력으로 충전하는 경우 길게는 3 - 4년 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혹자들은 "매년 크리스마스에 배터리를 바꾼다." 라고 하는데, 이것은 무조건 해야하는것이 아닙니다. 다만 배터리를 체크를 주기적으로 하는것은 안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배터리를 3.2 V 혹은 3.4 V 이하로는 절대 내려가서는 안된다?
- 베이퍼들이 많이 사용하는 고방전 배터리들의 경우 보통 2.5V 의 컷오프를 가지고있습니다.
배터리 사용기간을 늘이기 위해서 3.6 V 근저리에서 배터리를 재충전 하는것은 좋은 버릇입니다. 하지만 그 아래로 내려가서는 안된다는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4. 배터리가 뜨거워지지 않는한 얼마든지 고출력으로 사용해도 무관하다?
- 일단 뜨거움 이라는건 주관적인 척도입니다.
또한, 배터리 내부의 온도와, 외부 캔 부분의 온도는 극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배터리 내부의 층들 사이에 특정 부분들이 핫스팟이 생성되어 엄청난 고열을 겪고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내부의 스팟용접된부분들이 위험에 노출됩니다.
내부가 엄청난 고열에 시달리고 있을때에도 배터리 외부는 그저 뜨끈한 정도일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CDR(지속방전전류)을 잘 확인하시고 그에 맞는 W 를 사용합시다.
참고로 ,배터리 쇼트 (코일쇼트 혹은 무화기 쇼트와 다릅니다) 가 일어나는경우 쇼트가 난 시점에서 배터리가 불붙고 폭발하기까지는 몇초면 충분합니다.
5. 주기적으로 완전방전/완전충전을 해야 배터리를 최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 이는 니켈 충전지에만 해당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베이퍼들의 경우 이런일을 할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아마 "핸드폰에도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는대 얘들은 완전방전/완전충전을 해주면 배터리 성능이 좋아진다. 따라서 베이핑에 사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들도 마찬가지다." 라는 분들이 계실수 있습니다. 휴대전화에서 완전방전/완전충전을 시켰을때 이것이 하는것은, 배터리 잔량측정 칩을 리셋하는것입니다. 완전 충전 상태와 완전 방전된 상태를 칩이 다시 인식함 으로써 배터리잔량에 따른 최적의 성능을 휴대폰이 낼수 있게 해주는것입니다.
6. 리튬이온배터리의 더 나은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break-in(길들이기)작업이 필요하다?
-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구매즉시 스펙상의 성능을 낼수 있습니다. 그냥 구매하신걸 사용하시면 됩니다.
단, 수 개월간, 혹은 수년간 방치되었던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내부에 산화막이 제거되는데 한두번의 충전사이클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이런 작업은 불필요 합니다.
다만, 몇몇 회사에서 개떡같은 공장에서 제대로된 형성과정을 거치지 않은 배터리들을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형성과정이란, 공장내에서 특정 전류와 볼트로 충방전을 반복시키며 내부의 층을 배열시키는 과정으로, 금전적/시간적으로 많은 투자가 필요한 과정입니다.
몇몇 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출고/판매된 배터리의 경우 길들이기 과정이 필요할지 모르지만, 빅 4 및 대부분의 배터리 제조사들에서 제조/판매되는 배터리의 경우 길들이기는 필요 없습니다.
7. 특정 충전기들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출고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수년간 사용되지 않고 보관된 경우를 제외하고 이런 일들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0V 로 과방전된 배터리를 부활 시키는, (허준기능을 말하는), 것은 하지 마십시오.
내부에 대미지가 누적되어있을것이 불보듯 뻔합니다. 배터리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라면 이런일들은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무치아저씨가 약간 웃긴이야기를 하는데, 줄여보면 "죽은애들은 죽은대로 둬라, 묻어주고, 명복을 빌어주고, 맛난 저녁먹고 잊어라.")
8. 배터리를 냉장고에 보관하면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 배터리는 보관되는것을 극혐 합니다. 혹시 배터리를 20개 보유하고있는데 그중 10개만 사용하는 중 이라면, 그러지 마세요. 돌려서 쓰십시오.
특히 냉동 시키지는 마십시오.
9. 최고의 배터리가 존재한다?
- 그런것은 없습니다. "범용으로 사용하기 가장 좋은 배터리" 는 있을수 있겠지만, 이는 동시에 어느한쪽에서도 최고가 아니라는 말도 됩니다.
각 베이퍼들의 셋업에 따라 해당 셋업에 좋은 배터리가 있지만 "그 중 가장 좋은것"은 없습니다.
10. 배터리는 폭발하기전에 징후를 보인다?
- 앞에서도 적은바와 같이 배터리 쇼트는 쇼트가 일어나고부터 수초동안 내부 핫스팟이 일어나고 열폭주가 일어나며 엄청난 발열이 일어나고 폭발하게 됩니다.
사용자가 배터리가 과열됐다는것을 느끼면 이미 늦습니다.
배터리가 뜨끈해 지는게 느껴진다면, 어딘가에 쇼트가 있는지 확인하고 베이핑 간격을 좀 늘리시고, 출력을 낮추세요.
11.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스펙상의 CDR 아래로 사용하기만 하면 100% 안전하다?
-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태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들은 물리적으로던 전기적으로 배터리팩 외에 사용하지 않도록 되어있습니다.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한 지켜야할 안전수칙들이 지켜져야 합니다. 배터리 랩핑아 완전한지, 인슐레이터가 잘 위치해 있는지 등등.
12. 베이핑 시 항상 몇초동안 온, 몇초동안 오프 가 반복되므로 배터리 스펙상의 "최대" 방전전류 혹은 "펄스"방전전류를 기준삼으면 된다?
- 어디에도 펄스방전전류에 대한 시험 규정이 없습니다. 몇초동안 켜고 몇초동안 대기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없으므로 펄스방전 이라는것 자체가 무의미합니다. 또한 오토파이어 혹은 실수로 파이어버튼이 눌려진채 유지되는경우에는 이미 펄스라는 정의를 벗어나기 때문에 펄스방전전류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CDR(지속방전전류, 혹은 연속방전전류) 를 사용하는게 가장 안전합니다.
13. 2중으로 배터리를 랩핑하면 배터리가 쉽게 과열될 수 있다?
- 실험결과 2중으로 랩핑을 한 경우 섭씨 3도 가량의 온도상승만 확인 되었습니다. 배터리의 안전에 끼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중 랩핑된 배터리가 모드기기에 들어가지 못할지는 모르지만 전기적으로/안전적으로 바뀌는것은 없습니다.
14. 배터리의 내부 안전 장치들이 있으므로 배터리는 안전하다?
- 아니요. 배터리가 안전하다면 유튜브등에서 유명한 배터리 폭발 영상들은 없겠죠.
많은 배터리들의 내부에 안전장치들이 있는건 사실입니다.
그중 하나가 CID (Current Interrupt Device, 전류 차단 장치) 입니다.
이는 압력을 활용하는 물리적인 회로 차단기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내부의 물질들이 분해되어 기화되면 밀폐된 용기 내에 있기 때문에 압력이 증가하고 이것을 감지하여 회로를 차단 하는 것 입니다. 이것이 활성화 되면, 배터리는 끝난겁니다.
실제로 +극에서 "뾱" 하는 소리도 난다고 하는군요. 이걸 다시 원상 복귀할 생각은 하지도 마십시오.
다른 보호장치는 저방전, 대용량 전지들에 있는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혹은 Positive Thermal Coefficient)입니다.
이는 + 극쪽에 위치하며, 배터리의 온도에 반응하여 저항이 높아지는 물질을 사용하여, 배터리의 온도가 올라가면 높아진 저항이 전류의 흐름을 막는 개념이라고 합니다.
이에 사용되는 물질이 기본적으로 저항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고방전 배터리에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위에 있는 안전장치들이 사용하시는 배터리에 있고없고를 떠나서, 그 안전 장치들에 의존하지 마세요.
15. 베이핑시에 배터리를 펄스 (켜고 끄고의 반복) 시키기 때문에 배터리의 펄스 시험결과만이 유효하다? (12번과 약간의 중복이...)
- 위에 적은바와 같이, 펄스시험의 정의가 없습니다. 2초 on 15초 off? 아니면 4초 on 4초 off? 시험하는 방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
또한 1/1000 초 가 넘는 사용은 연속사용으로 봐야 합니다. 배터리의 관점에서는 2초간 방전이던 10초간 방전이던 동일합니다.
CDR은 배터리 업계의 기준입니다. 반면 펄스시험은 기준 자체가 없습니다.
CDR이 베이퍼가 안전을 위해 혹은 성능 비교를 위해 기준을 삼을수 있는 유일한 기준입니다.
16. 펄스충전 (입력전류를 넣었다 끊었다) 함으로써 배터리를 최적의 상태로 돌릴수 있다?
- 몇몇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연구자료들이 있습니다. 약간의 이득이 있을 수 있으나, 우리가 사용하는 배터리들의 경우 무의미한 수준입니다.
-------------------------------------------------------------------------------------------------------------------------------------
여기까지 완전 거짓 된 정보들 이었습니다.
몇몇 가지들은 저도 잘못 알고 있던 것들이 있어 적잖게 놀랐습니다만, 이제라도 잘 알아두면 좋겠습니다.
영상이....35분 가량인데, 들으면서 옮기려니 힘드네요.
이제 10분 가량의 부분 거짓 (특정상황에서는 사실이지만, 그상황을 벗어나면 해당되지 않는 것들) 에 대한 내용들이 있는데, 이부분은 추후에 다시 해보겠습니다.
추가: 출처를 안남겼네요;
관심있으신 분들은 Battery Mooch 채널에 볼만한것들이 많이 있으니 확인해보셔도 좋겠습니다.
배터리 외에도 멕모드 통전, 볼트 드랍 시험, 아크 발생량 등등 이것저것 하더군요
댓글 35건
eee초보님의 댓글

![]() |
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
아테나님의 댓글

![]() |
정보 감사드려요~~^^ |
세실님의 댓글

|
와 엄청난 장문의 정보글.... 추천박고갑니다! |
베이퍼13님의 댓글

|
ㄷㄷ잘 읽고 갑니다
허준충전기 뿜이 사라짐! |
세리아크님의 댓글

|
@eee초보도움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세실별로 안걸릴거라고 생각하고 글쓰기 눌렀는데;;
좀 걸렸네요; |
세리아크님의 댓글

|
@베이퍼13저도 저부분은 적잖이 놀랐습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
용방귀님의 댓글

|
우선 양질의 정보글 추천 합니다
질문하나 드리고 싶어요 두발모드기에 베이핑샵부터 유저분들까지 기기로 충전 하지 말고 전용 충전기 이용해야 기기와 배터리 오래간다고 하는데 사실일까요? 전용충전기를 이용하면 약간은 더 좋을지 몰라도 많은분들이 당장 고장이라도 날듯 말씀하시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모드기 만드는 회사들도 기기직접 충전을 지원할때는 안전과 성능유지에 나름의 장치를 했을꺼라 생각되는데 특히 기기를 판매하는 인터넷샵들 글을 보면 기기직접 충전이 큰일날듯한 늬앙스라서 답답하네여 ㅎㅎㅎ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용방귀일단 저도 관심있게 보고 공부해나가는 중이라서 제가 정답이다 라고 말씀드릴수는 없지만,
배터리를 모드기에서 직접충전하는건 단기간으로 보면 전혀 상관없을겁니다. 장기간동안 그렇게 하는건 어떨지 모르지만요; 사실 모드기가 배터리를 충전할때 보통 많이들 사용하시는 VC2(S), VC4(S) 처럼 3단계의 충전방식을 사용할것 같지는 않고... 이르자면, 초록창에서 리튬이온배터리 충전기 치면 나오는 육천원 내지 만원짜리 충전기는 당연히 저런 기능 없으리라 생각하고, 그 충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면 당장 큰일이 나느냐? 는 아닐거거든요; 그 충전기던 모드기던 과충전만 방지한다면 말이죠. 배터리쪽 측면으로 보면 그럴거고... 모드기쪽 측면으로 보면, 모드기는 주 목적이 배터리로부터 입력을 받아서 510-무화기로 전기를 전달하는거죠. 그런데 배터리를 이미 사용하니까 "야 그럼 그냥 얘로 충전도 할수있게 만들자." 하고 충전기능을 넣었을거구요. 얘들이 다른 보드에 들어있으면 아마 별 상관 없을거에요, 방전용 보드 따로 충전용 보드 따로 이런식으로, 그런데 얘들 한보드에 있단말이죠? 방전시킬때도 발열나는데, 베이핑 다하고나니까 충전시킨다고 발열나고 하면... 모드기는 힘들겠죠... 위에도 말씀드렸다시피 제가 무조건 맞지는 않을겁니다. 생각과 달리 모드기에 충전용 보드가 따로있을 수도 있고, 모드기에 3단가변충전 기능이 있을수도 있구요; |
라르크님의 댓글

|
와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제가 번데기 앞에서 주름을 잡았었었네요 ㅋ |
세리아크님의 댓글

|
@라르크제가 그러고있는걸지도 몰라요;;;ㄷㄷ |
누누킹님의 댓글

|
베터리에 대해 관심 생겨서 자료 찾아보다가 정리해주신 글 읽고 완전 이해 됐습니다. 정성 가득한 장문의 글 감사합니다. 잘 읽고 갑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누누킹제가 약간...설명충 기질이 있는거 같아요;;;ㅎㅎ |
누누킹님의 댓글

|
@세리아크ㅋㅋ충분히 양질의 내용이라 좋았는걸요. |
키위무스님의 댓글

|
추천추천!! |
용방귀님의 댓글

|
@세리아크답변 감사합니다
일상에 1발 내장기기를 비롯해 비보호배터리가 내장된 제품들의 사용이 많은데 유독 인터넷 베이핑샵에서 기기충전에 대한 위험과 성능저하를 이유로 충전기 장사하는거 같아서 씁쓸했습니다 나중에 좋은 정보가 생기시면 또 공유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절달님의 댓글

|
잘 읽었습니다. 배터리 비축할 필요가 없나보네요. 8개정도 사놓은개 있는데 나중에 쓰지말고 현재 쓰는 6개랑 돌려 써야 좋다는 얘기지요? |
Eddy에디님의 댓글

|
어려운 부분도 많지만 감사합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절달넵. 장기간 사용없이 보관하는것보다 주기적으로 사용하는기 배터리 관리에 좋다고 합니다. |
AllDayCaliburn님의 댓글

![]() |
정성추... 내장배터리만 쓰지만... |
라이트베이퍼님의 댓글

|
허준기능이 위험한건 처음 알았네요.. 저는 그저 그 충전기가 대단한줄 알았는데ㅋㅋ 그런 기능이 있는 충전기가 xtar 시리즈로 알고 있는데.. 그 충전기 쓰더라도 과방전된걸 안쓰기만 하면 되는건가요?
추천하고 갑니다. |
지은이님의 댓글

|
헐... 배터리를 보관만 해놓는것도 안좋군요...
지금 구매해놓고 애껴놓은게 몇 개 되는데 한 번도 안쓴것도 보관하는건 안좋은걸까요? |
세리아크님의 댓글

|
@라이트베이퍼허준기능은 조건부로 발동되는 기능이라 과방전된 배터리 뜨면 뭔가 다른게 디스플레이에 뜨면서 실행 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과방전된 배터리라고 인식하면 그냥 폐기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충전할 때는 발현안될테니 그냥 사용하시면 될거구요.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지은이위에 글내용에도 잠깐 언급되지만, 한번도 사용안된 셀은 없습니다.
공장 제조시에 이미 수회의 충방전 사이클을 거치고 나온 배터리들이 판매되는거죠... |
지은이님의 댓글

|
@세리아크아이고ㅠㅠ 애끼던건데 그냥 써야겠네요!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지은이저도 사실...작년말에 배터리판매 막혔을때 부터 해서...뭐살때 배터리 낑겨파는거 있으면 무조건 한두개씩 사다가 보니...이제 30개가 넘어갔...
기기갯수 의 1.5배 넘어가면 일단 사용할일이 없는 배터리들이 생길거같아요... |
이쑤시개맨님의 댓글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잘못 알고 있던 정보를 보면 반갑고, 제대로 알고 있던 정보를 발견하면 내심 뿌듯하고... ㅋㅋ
양질의 글은 추천입니다. |
Breaker님의 댓글

|
좋은글 잘봤습니다
아 2번도있넹 |
슴송님의 댓글

|
와우.... 2번 보러 갈게요!! |
gingerVape님의 댓글

|
안전.. 또 안전.. 그리고 또안전..
배터리는 안전제일 배워갑니다 ㅎ |
성실님의 댓글

|
배터리팁 감사합니다
항상 조심하고 민감한 배터리라 자세한 정보들을 제공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ecer님의 댓글

|
@세리아크애초에 사망한 배터리는 0V 잡혀서 모를 수 가 없습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ecer제가 적은 글과는 상관이 없는 말씀인것 같은데요... |
ecer님의 댓글

|
@세리아크엥 제가 왜 글을 저렇게 남겼는지;;
글을 쓰다말았나봐요..ㅎㅎ 저 분 질문에 대한 답을 쓴거였는데 살을 붙이자면, xtar사 충전기 제품을 사용하셔도 과방전된 배터리만 안쓰면 된다입니다! 위에 적은 답변은 애초에 사망한 배터리는 0V로 잡혀서 충전기 사용시 구분이 되니 xtar제품 사용으로 인해 자기도 모르게 사망한 배터리를 쓸일은 없으니 걱정안해도 된다였습니다..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