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A 향료중 아세토인(acetoin)이 들어간 향료
본문
TPA향료중 아세토인이 들어가는것을 찾아봤습니다.
어떤상황에서 아세토인이 산화해 디아세틸이 생기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디아세틸을 장기적으로 흡입시 몸에 좋지 않기에
향료 구입시 참고하셨으면 합니다.
DX가 붙어있는 향료는 아세토인이 제거된 대체 향료입니다.
아세토인(acetoin)
버터나 발효유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디아세틸(diacetyl, CH3COCOCH3)의 전구물질
CH3CO․CH(OH)CH3, 3-Hydroxy-2-butanone, 비점 148℃, 융점 15℃, 물, 알코올에 가용. 에테르, 석유 에테르에 불용의 액체.
버터, 술, 간장 등에 존재한다. 냄새는 거의 없지만 시판품은 일부 산화하여 디아세틸(diacetyl)이 되기 때문에 향기가 있다.
Fehling 액을 환원하는 성질이 있고 이량화하기 쉬운 물질이다. 2, 3-butandiol의 Mycoderma aceti에 의한 발효에 의해 생성된다.
또 사탕수수를 원료로 하여 Aspergillus, Penicillium, Mycoderma 등의 균에 의해서도 생산할 수 있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유제품의 향기의 일부이기도 하다. 버터, 치즈, 빵, 간장 등의 향료로 쓴다.
디아세틸(diacetyl)
폐쇄성기관지염의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덩어리를 뇌 속에서 만드는 물질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디아세틸은 이 덩어리가 커지게 만드는 데다 이것이 신경세포에 미치는 독성도 강화하게 만드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세토인이 들어간 TPA 향료 리스트 (알파벳순)
Almond Amaretto
Apple (Tart Granny Smith)
Banana Cream --> DX Banana Cream
Bananas Foster
Bavarian Cream --> DX Bavarian Cream
Bittersweet Chocolate
Boysenberry
Brandy
Butter
Butterscotch
Caramel (Original) --> DX Caramel Original
Caramel Candy
Caramel Cappuccino
Cheesecake
Chicken and Waffle
Cinnamon Danish --> DX Cinnamon Danish
Cinnamon Sugar Cookie
Coconut Candy
Coconut Extra
Coconut
Coffee (Kona)
Coffee Flavor Extra (Clear)
Dairy/Milk
Dulce de Leche
Elderberry
English Toffee
French Vanilla Deluxe
Frosted Donut
Gingerbread Cookie
Gingerbread
Graham Cracker Clear
Graham Cracker
Hazelnut --> DX Hazelnut Flavor
Hazelnut Praline
Huckleberry
Irish Cream
Jamaican Rum
Maple Syrup
Marshmallow
Mocha
Molasses
Nectarine
Peach
Peanut Butter
Pecan
Pie Crust
Pralines and Cream
Pumpkin
Pumpkin Spice
Red Velvet Cake
Red Velvet Cake
Sweet Cream
Tiramisu
Toasted Marshmallow
Vanilla Bean Ice Cream
Vanilla Cupcake --> DX Vanilla Cupcake
Vanilla Custard
Waffle (Belgian)
Waffle
White Chocolate
Yam
추가 : Bavarian Cream 과 DX Bavarian Cream 의 MSDS를 훓어 봤는데 둘다 디아세틸은 포함하지 않았다고 써있네요.
위에 나열된 아세토인이 들어간 향료들은 디아세틸을 직접적으로 넣지는 않았지만 드물게 디아세틸을 발생시킬수도 있거나
아세토인때문에 미량의 디아세틸이 들어있을수도 있다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것같습니다.
TPA 커스타드 노트를(http://shop.perfumersapprentice.com/flavorsworkshop/custard.html) 보니
분자 아세토인이 특정상황에서 분자 디아세틸을 발생시키는것을 확인했는데
분자의 제조시에는 디아세틸이 발생할수 있지만 향이 배합된 이후에는 이런일이 생기는게 드물다고 하네요.
디아세틸 은 특정 과일 추출물 에서 자연적으로 찾아 낼 수 있기 때문에 미량 의 몇 가지 천연 추출물 에서 발견 되는 수도 있다고 합니다.
(추가된 부분은 공신력있는 기관의 연구결과를 참고한것이 아닌 TPA의 MSDS와 커스타드 노트를 참고한것이니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댓글 3건
해햏님의 댓글

|
어려워 ㅠ 대부분 마밀과 그마 클론레시피에 들어가는 향료로군요 걍 못본셈치고 다먹으렵니다 ㅠ 으 찝찝해 |
이상한행복님의 댓글

|
버터 술 간장에 들어간다하니깐 왠지 괜찮을듯한데 ㅎㅎ...
dx 버전과 기존 버전의 맛 차이점이 궁금해지네요 |
청포도나무님의 댓글

|
두 버전이 향은 차이가 있을까요?
요즘 같은 시대에는 이것저것 따지다보면 숨만 쉬는 것도 위험한지라...ㅠㅠ 모르는게 약이다 라고 생각하고 그냥 쓰던 거 쓰는 게 맘 편할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