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 번 테스트를 믿지 못하는 이유.(온도조절)2
본문
원글은 이글 밑으로 3번째 글이고 , 드라이 번 테스트를 믿지 못하는 이유.(온도조절)
글을 적었는데 .. 많은 분들이 제 말을 믿지 않으시니... .. 영상 올립니다. "
자게나 다른 게시판에 올리려다가 팁게에서 벌인일 팁게에서 마무리 짓자는 의미로 팁게로 올립니다..
본글에 추가하려고 했더니 댓글이 50개이상 달려서 수정이 불가능이라고 뜨네요 .
보시면 아시겠지만 , 급하게 대충 찍은거라서 두서 없이 찍었습니다. 편집 따위는 없습니다. ㅡ.ㅡ;;
ps.
2/23 일 내용 추가
저도 그동안 저의 이론을 주장하느라 침착하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사실 논쟁 벌일 필요도 없이 간단한 문제입니다.
제조사 별로 혹은 칩 별로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자동차나 다른 공산품 들처럼 말이죠 .
온도조절은 어떤분의 말씀처럼 그저 상술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나는 이렇게 온도조절을 사용해보니
어떠한 점에서 이러이러하기에 좋더라 라는 생각에
같이 나누자라는 마음으로 글을 적어왔는데 .
괜한 오지랖 부린것 같기도 하고 , 여러가지 생각이 교차하네요 .
특히 , 동영상을 찍다보니 내가 이걸 왜 하고 있나 라는 생각도 들고 그렇네요 허허허.
저는 그냥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눈팅이나 하렵니다.
대한민국 모든 베이퍼 분들 언제나 안전하고 즐거운 베이핑 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7
댓글 34건
이르스이님의 댓글

|
목소리에서 깊은 지침을 느낍니다.
전 ㅊㅊ드리고 갑니다!! |
브루스킴님의 댓글

![]() |
본인 주장에 대한 근거로 올린 동영상에 반대는 뭐고 또 신고는 뭔가요?
이베이프에 최근 들어 이상한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어나는거 같군요 허허헛 유하몬님 좋은 하루 되세요! |
유하몬님의 댓글

|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화이팅 !! |
그루브즈님의 댓글

|
Ele star 제품으로 동영상 작성해 주신것과 이야기 해주신 것들을 미루어 보아 개인적인 결론으론
노리퀴르 체크 기능이 있는 기기들에선 드라이번으로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의미가 없다 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evape.kr/bbs/board.php?bo_table=review&wr_id=16063 유하몬님의 의견대로 모든 기기가 드라이코일에서 순간 차단으로 일정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면 위의 제가 쿠퍼 리뷰시 작성한 tcr에 따른 그을림 변화를 설명할 방법이 없을것 같습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그루브즈아솔로에서 보듯이 모든기기는 아닌것 같고
기기마다 분명 차이는 있습니다 yihi 계열은 5단계정도로 나눠서 동작하지않을까 추측중이고 Sxk vf 경우는 3 단계 정도로 나눠서 동작하지 않을까 추측을 해봅니다 Rx 200 계열의 위즈멕 이런애들은 온도조절 글쎄요 ... 오픈 마인드로 생각해보면 . 제조사마다 다르다고 생각하는게 제일 합당하지 않을까요 ?? |
얻어피운담배님의 댓글

|
350j하고 화면 구성은 같은데 작동은 확실히 다르게 되네요. |
유하몬님의 댓글

|
@얻어피운담배350j 를 안 써 봤지만 , ni나 ti 로 heat flux 를 적절히 낮춰주면 비슷하지않을까요?
Ele star 가 sx mini 칩을 카피했다면 말이죠 |
개얼굴님의 댓글

|
ele stat이 이상한거아닌가요? 엠클코튼번은해도 그을리다가 멈추던데 계속 파이어해도 멈추질않네요;; |
유하몬님의 댓글

|
@개얼굴니켈의 경우 heat flux 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저항값이 원체 낮기 때문이죠 .
구닥다리 제 예전글 "온도조절에 대한 오해.(heat flux 를 낮추자)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4760 입니다. |
개얼굴님의 댓글

|
@유하몬초보라 계산같은건할줄모르지만.. 엠엘클도그렇고 dna40도 계속누르면 약간 그을리다가 멈추던데.. 요놈은 끝이없고... 좀특이하네요ㅎㅎ |
유하몬님의 댓글

|
@개얼굴계속 변하는 온도값이 멈추면 time over 인것 같고 ,, DRY COIL NO LIQUID 메세지는 출력이 랜덤합니다만..
지잉지잉 하는 전동음이 들릴때 같은 기능을 하는것 같습니다. 전압 줫다가 체크하고 끊고 를 반복하는 중이라고 보여집니다. 지잉지잉 체크 ,, 지잉지잉 소리 안들리면 드라이번 테스트 통과해서 온도조절모드로 진입하는것 같습니다. |
개얼굴님의 댓글

|
|
madleiv님의 댓글

|
동영상 잘보았습니다.
칸탈끈이짧아 모드기가 어떤모델인진모르겠으나 확실히 다른패턴의 동작을보이네요 제가저렴한제품만사용해서그런지모르나 일전 그루브즈님이 올린동영상의 제품인 큐보이드나 알엑스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진행시 코튼이 전소가되어버립니다 드리퍼에서 액상 소진시 탄맛방지용으로 온도조절기능을 사용시 웜베이핑을 할수가없어 불편했던 기능을 보안하는 기능이 아닐까합니다 상당히 좋아보이는군요 유하몬님의 말을 믿지못한다는것이 아니라 좋은제품을 사용해보지못한 제가 경험해보지못한 부분이라 의구심이들었을뿐입니다 혹기분나쁘셧다면 죄송합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madleivele star 라고 50$ 도 하지 않는 저렴한 제품입니다.만
yihi 사의 sx mini 칩을 카피 했습니다.. |
madleiv님의 댓글

|
@유하몬아마 댓글에서 같이 말씀나누시던분들도 본글에 예시가 rx를 예시로 적으셔서 엘르스타 맞나요? 본기기의 특이한 패턴을 모르셧을수도있다라 생각해봅니다.
확실히 이기기경우 급격한 저항값의 변화로 액상이없다고판단 동작을 멈추는것으로 보여지네요 |
유하몬님의 댓글

|
RX 200 같은 경우도 같은 동작방식이긴 할텐데 . 전압주고 체크후 전압을 끊는 일련의 시간이 조금더 길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조금 더 길기 때문에 잔열이 더 많이 발생 솜이 그을리는것이죠 . 내일을 위해서 저는 이만 ... |
madleiv님의 댓글

|
@유하몬동영상까지찍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추천드리고갑니다 ~ |
이베이프님의 댓글

|
신고보다 반대의견에는 반대를 주시거나 댓글로 의견을 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
훌이님의 댓글

|
신고는 제가 눌렀었습니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룬 글 중에, 잘못된 정보거나 근거가 미비한 경우에는 보통 반대와 함께 신고를 누르는 편입니다.
생각해보니 전제가 '온도조절을 믿지마라' 이니 위험성을 갖고있다고는 보기 어렵네요. 작성자분과 보기 불편하셨던 분들께 사과드립니다. |
간지굳님의 댓글

|
글을읽다보니 저도호기심이 마구생기는군요
1편부터 3편까지 좋은 글 잘읽었구요~ 지식끈이짧아 백프로수용하진못하엿지만 유하몬님덕북에 엘르스타 2개 결제하고 기대중입니다 ㅎㅎ 궁금점이있는데 니켈 기성코일에 들어가는 니켈와이어는 tcr이 생산회사마다 전부다르겠죠?? 니켈리빌드는 포기했기에.... |
프리님의 댓글

|
유하몬님께 자꾸 테클거는것같아 죄송합니다.
===ele star의경우 560f 정도로 올려야 실제 420f으로 작동하는 느낌이었구요.=== 동영상에 솜 상태들은 실제 420f이하로 번테스트 된듯합니다. 저상태로는 쿨배이핑입니다. 실제 온도가 그만큼 안올라간다는 이야기쥬. |
복돌이님의 댓글

|
|
유하몬님의 댓글

|
@이르스이감사합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훌이제글은 온도조절을 믿지마라 가 아니고 , 드라이번 테스트를 믿지마라 라는 것이 논점입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간지굳기성코일은 저도 일일이 테스트 해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사용해본 토베코사의 ni 기성코일은 tcr 값이 낮은것 같습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프리560f 로 올려야 420f 로 작동하는 느낌은 저도 토베코사의 ni 기성코일을 사용했을때 동일한 수치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 ele 리뷰 작성후 몇일 뒤부터 ud 사나 temco 사의 ni200 을 사용해서 지금까지 계속 사용중인데 ele star 온도셋팅은 400~420f 사이에서 사용중입니다. ni200 의 품질이 제조사마다 다른것 이라고 추측중입니다.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free&wr_id=793972 이글로 해명을 했었고 , 팁게의 ni200 관련글로 제가 쓴글도 있으니 댓글과 함께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영상의 솜상태들이 570f 에서 만약 420f 이하에서 번테스트 된것이라고 가정한다면 , 동영상 말미에 440f 로 온도를 내리고 액상이 무화가 되는 현상에 대해서 설명이 불가능합니다. 440f 에 액상이 무화 되었으므로 실제 그온도로 올라갔습니다. 동영상에서도 제가 설명을 하지만 , 액상이 없을때 동작하는 배터리 표시와 액상이 있을때 동작하는 배터리 표시는 확연히 다릅니다.액상유무에 따른 배터리상태 변화는 프리님이 ele 를 갖고 계시니 바로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복돌이ele star 기기의이상을 찾으시지 말고 . 복돌이님의 이론은 타기기에서 적용될수 있을것 같고 ,
제가 주장하는 이론은 ele star 의 현상에 대해서 설명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자세한것은 프리님 댓글의 제 답변을 참조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
간지굳님의 댓글

|
@유하몬그렇군요!!
위즈멕사에 기성니켈코일 성분물어봤는데 아직답변이없네유 ㅎㅎ |
프리님의 댓글

|
@유하몬300c에 세팅하고 온도계로 찍어보니 실제 210c 언저리에서 왔다같다 하더군요. 저동영상은 코튼번은 420f 이하에서 테스트됬는게 맞을듯합니다.
그리고 실제 420f(215c)에서 코튼번을하면 좀더진한 누런색을 띠고있구요. |
복돌이님의 댓글

|
|
유하몬님의 댓글

|
@프리300c에 세팅하고 온도계로 찍어보니 실제 210c 언저리에서 왔다같다 하더군요.
-- 기기는 당연히 ELE 로 테스트 하셨을 테고 , 첫째.드라이번 테스트 상황이신지 , 액상을 적신상태에서 테스트를 하신것인지 . 둘째 ,코일은 라이트닝 NI200 이신지 , 아니면 다른 브랜드의 NI200 인지 . 셋째 ,몇 게이지 몇바퀴로 몇옴으로 감으셔서 대략적인 HEAT FLUX 가 몇으로 테스트 하신건지 알아야 대답이 가능할것 같습니다. 온도조절은 변수가 너무 많기에 다른 여러가지 변수들을 최대한 상수에 가깝게 고정시켜놓은후에 한가지를 테스트 해봐야지 결과 및 추측이 가능합니다. |
프리님의 댓글

|
@유하몬라이트닝 ni200 2.5mm 12바퀴 0.012옴에서 측정된겁니다. 기기는 당연히 ele star이죠.
솜없이 코일에 직접대고측정한 값이고 솜에 액상뭍혀 측정시 260에서 270c 정도 나왔을겁니다.(정확히 기억이...) 다른 기기도 파이어시 온도가 기화열 때문인지 많이 높게 나오더군요.300c넘었던 기억이... 참조하세요. |
프리님의 댓글

|
시간도 엄청 오래걸리구요. 10분 넘었던거 같은디... 벽돌되는줄 알았슈. |
복돌이님의 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