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ekvape Griffin 25 Standard 잉뷰; > 리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연구실 인기글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리뷰게시판
회원아이콘

Geekvape Griffin 25 Standard 잉뷰;

페이지 정보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5.194) 작성일 님이 2016년 05월 31일 14시 51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1,689 읽음

본문

 

안녕하세요? 잉모탈입니다.
요즘의 탱크형 무화기들은 이제 25mm대로 넘어가는 시기인 듯 합니다.
점점 낮은 저항, 클랩튼 와이어등의 대두로 인하여 액상 소모량이 22mm에서 감당하기에는
슬슬 형평성이 맞지 않다는 점을 제조사에서도 인지하는 듯 합니다.
물론 완벽하게 카운터 스타일인 서펜트 미니같은 무화기도 인기 제품이라 하겠지만
무화량, 진한 증기, 강한 발열등을 즐기는 익스트림 베이퍼에게는 25mm이상이 꼭 필요했던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래의 마지막이 될지, 계속 이어질지 모르는 잉뷰..오늘은 오랫만에 리뷰라는 타이틀을 달고
열심히 달려보겠습니다.
시작합니다!

짧은 요약 : 
1. 혁신적 구조보다는 안정적으로 검증된 구조중 좋은 부분을 모아놨습니다. 
2. 코튼 컨트롤 링의 분리형 구조는 코튼을 빵빵하게 넣는다는 목표가 있을때에는 고정형 구조에 비해 훨씬 편리합니다. 
3. 코일(덱)의 위치가 높기에 무화기의 발열량은 같은 스타일의 다른 무화기에 비해 약간의 이득을 가지기도 합니다. 
4. 경통의 마감이 매우 부드럽고, 두께가 두툼하며, 스페어 파츠 또한 충분히 들어있습니다.

 

 

5. 나사산들이 깊고 날카로우며 다른 분의 리뷰에서도 보여지는 경통의 약간의 어긋남등은 작은 단점으로 보입니다.
6. 개인적인 미적 취향에는 모양새가 단순하고 투박하다고 생각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1241.jpg
라온베이프에서 구입한 긱베이프의 그리핀 25 스탠다드 버전입니다.
현재 그리핀25는 탑 에어 플로우 컨트롤 파트가 별매, 혹은 포함된 버전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어제 방문한 라온베이프에는 탑 에어 플로우 버전이 없기도 했고, 
맛이 흐려지는 부분 또한 분명 존재할것이라 생각되기에 빠르게 포기하고 구입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4993.jpg
마테리얼 란에서 보셔도 아시겠지만 미국산 Peek인슐레이터와 SS316 나사, 
실리카 유리 경통을 사용해서 열과, 산성에 강하다고 써놨습니다.
그 아랭는 내부 내용물 및 스크래치 코드등이 보입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5995.jpg
뚜껑을 열었습니다.
왼편에 보이는 것이 그리핀 25 무화기 본체(내부에 싱글 빌드용 세라믹 블럭이 프리빌트 되어있습니다.)
오른쪽이 스페어 파츠 및 T자형 앨런키(1.27H, 1.5H, 십자)가 들어있습니다.
저 앨런키의 1.27mm Hex부분을 주로 사용하게 될 것이며, 
직접 사용해본 결과 적절한 토크라면 헛돌일이 크게 없을 듯 합니다.
허나 코일을 꽉 잡기위해 과한 토크를 가한다면 나사가 뭉개질 수 있으니..
가능한 Wera Hex 드라이버등을 구비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7089.jpg
실질적 리빌드 및 사용에 필요한 것은 이 두가지입니다.
나머지는 스페어파츠니 잘 보관해줍니다.
물론 저 앨런 키도 사용 후에는 잘 보관해줘야 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8418.jpg
뚝딱뚝딱 분해해봅니다.
일반적인 RTA들과 분해 난이도 자체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오른쪽 끝에 보이는 하얀 블럭에 반투명 실리콘이 끼워진게 싱글빌드용 세라믹 블럭입니다.
코튼 컨트롤 링(베이스 덱 옆의 링)을 빼야 삽입, 탈착이 편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1_9224.jpg
그리핀 시리즈의 강점인 RTA치고 매우 넓은 모양의 벨로시티 스타일 덱입니다.
물론 벨로시티 RDA를 가지고 있는 제 입장에서야 벨로시티 추종자 정도로 느껴지긴 합니다만,
단언컨데 현재의 RTA 덱 구조에서는 잇점이 매우 많은 덱이라 생각합니다.
나중에 사진이 올라가겠지만 비슷한 사이즈(24mm정도?)의 TF4용 R3덱과 사이즈를 봐도 엄청나게 큽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2_0358.jpg
코튼 컨트롤 링입니다.
혹은 코튼 홀딩 링이라고도 한다는군요.
저 링의 사이즈가 덱의 사이즈기도 합니다.
저것 덕분에 솜을 정리하기는 편한 편입니다.
그러나 코일을 3mm로 4바퀴반을 감았더니 링을 솜정리 후에 끼울 수는 없었습니다.
2.5mm로 감았다면 괜찮았을듯 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2_1796.jpg
링의 안쪽에는 나사산 처리가 되어있기에 베이스에 돌려 끼우게 됩니다.
딱히 상, 하가 존재하진 않는 듯 하지만 상부, 하부가 마감이 약간은 다릅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2_3604.jpg
처음 구입시에는 이렇게 세라믹블럭+실리콘 마개가 프리빌트 되어있습니다.
싱글로 사용하시고자 한다면 이상태로 사용하셔야 하고, 듀얼 빌드를 위해서는 이것을 제거해주셔야 합니다.
스페어 파츠에도 동일 부품이 1개 더 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34_4155.jpg
그리핀 문양이 프린팅된 챔버입니다.
아래쪽에는 타원형 모양의 액상 유입구(X4)와 경통을 잡아주는 하단부 오링이 보입니다.
오링은 그냥 둥근 형태가 아닌 단면이 ㄴ자에 가까운 모양이라 경통의 움직임 자체는 잘 막아줍니다.
그래도 하단부쪽은 아주 미세하게 어긋나기도 합니다.
상부 파트, 하부 파트 조립시 사이에서 힘을 받아서 나사산이라는 특성상 오링 한쪽이 눌리는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7_3922.jpg
그리핀 문양의 반대편에는 멋드러진 필기체의 Griffin이라는 문양이 프린팅 되어 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7_7757.jpg
이것은 상부 탑캡 겸 침니파트입니다.
오히려 침니 내경 자체는 TFV4보다는 좁아 보입니다.
맛을 잡기 위한 선택이었을까요?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8_0236.jpg
약국공병으로 콸콸 부어도 무리없을 상부주입구 입니다.
TFV4나 크라운탱크등 보다는 당연하게도 훨씬 편리합니다.
또한 침니쪽에 1개, 나사산 외측에 1개의 오링이 존재하기에 상부 미세누수등도 잘 억제합니다.
그러나 자주 만지는 부분인데 저 나사산이 제일 날카로운것 같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8_4454.jpg
챔버와 침니의 결합부에도 오링이 하나 들어가있습니다.
챔버에서 발생된 증기를 침니쪽으로 유도해 주기 위해 경사면 가공이 되어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8_7428.jpg
탑캡입니다.
단순한 탱크 뚜껑 정도로 보셔도 무방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9_0348.jpg
긱베이프 문양이 각인되어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9_5317.jpg
와이드 보어 드립팁을 적용하기 위해 510 사이즈보다 더욱 큰 드립팁 홀입니다.
물론 동봉된 510 어댑터를 사용하신다면 가지고 계신 아름다운 드립팁들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49_7536.jpg
와이드보어 드립팁입니다.
사실 저는 이 통통한 무화기의 모양상 좀더 길고, 두꺼웠다면 모양이 조금 낫지 않았을까 합니다.
개인적 감상으로는 조금 언밸런스 하다고 느낍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2176_104.png
드립팁의 단면은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상부에 작은 턱이 존재하기에 어느 정도 결로를 컨트롤해줄 수 있습니다만 UD의 강선 타입 드립팁도 마찬가지인 문제는
어차피 강하게 흡입해버리면 결로는 입으로 따라들어오기 마련입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50_2199.jpg
베이스의 하단입니다. 25라는 숫자와 함께 디자인과, 생산을 긱베이프에서 했다고 각인해놨군요 ㅎㅎ
센터핀의 총 길이가 거의 TFV4처럼 꽤 긴 편이라 방열판 중 나사 2개로 조절하는 타입에서나 사용이 가능했습니다.
예전에 이빅미니인가...TFV4 꼽지 말라고 했던 가변기기가 있었던듯 한데..이것도 만만치 않게 깁니다.
센터핀 접점은 금도금되어있는지 금색빛이 도네요.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50_6513.jpg
대략적으로 보셔도...겉 하우징을 포함해도 우측 TF-R3덱의 코일보다는 좌측 그리핀의 덱이 훨씬 큽니다.
사진 구도 자체가 잘못 잡혀서 큰 차이가 안나는것처럼 보이지만(오히려 우측이 커보일 수도 있지만) 실물을 확인하면
차이가 확연하게 느껴집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2_5599.jpg
탑캡+경통의 사이즈 자체는 TFV4와 비슷합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2_9125.jpg
오늘 빌드에는 동사의 칸탈 클랩튼 와이어 28게이지 X2 + 32게이지로 해볼까 합니다.
고와트를 잘 버티는지가 오늘 빌드의 관건입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3_4556.jpg
가위를 빼고 찍긴 했지만 오늘 빌드에 사용할 툴입니다.
니포는 프라모델용이지만 아직까지는 잘 잘립니다.
핀셋이야 흔한 핀셋이고..저 송곳같은 것은 3mm가이드로 사용중입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3_7274.jpg
위의 칸탈을 스페이싱 방식으로 4바퀴 반씩 2개를 만들었습니다.
위에서도 적었지만 3mm로 감았더니 나중에 링 고정하기 상당히 짜증났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4_1448.jpg
벨로시티 덱은 역시 코일 고정이 정말 편한 스타일입니다.
이런 편리함이 벨로시티 덱이 유행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니었을까요?
퍼포먼스...는 딱히 뭐라 할 말은 없지만 확실히 편리함 자체는 아직까지는 벨로시티 덱 만한 덱이 없는것 같습니다.
에어홀 조절 링은 클릭감이 느껴지고, 멈추는 부분이 있어서 사용하기 편리해서 좋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4_562.jpg
저정도로 띄워서 고정해줍니다.
사실상 덱에 그냥 똑바로 끼워주기만 해도 코일 높이에 대해서는 고민하실 일이 없이 자연스레 저정도 높이가 됩니다.
딱 한가지 아쉬웠던 점은..덱 포스트가 조금 커지고, 1.5mm였으면...했지만 1.27mm로도 충분히 사용할만 합니다 ㅎㅎ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4_9349.jpg
뚝딱뚝딱 2개의 코일을 고정해줍니다.
다리를 바짝 잘라주셔야 반대편 코일에 닿아서 쇼트를 발생시키는 불상사가 없습니다.
조금 더 안쪽으로 붙혀서 고정한다면 링 고정이 좀 더 쉬웠겠지만...저는 그렇게 하지 않았기에 저 링 우겨넣느라 조금 짜증났습니다.
덕분에 쉬웠어야 할 솜 조절을 솜 쑤셔넣느라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5_3211.jpg
지지기 셋팅입니다.
클랩튼 코일이라고 해도 단순히 생각하면 엄청나게 두꺼운 선재정도로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오히려 감는 횟수가 증가할 수록(저항치가 높아질 수록) 발열 속도가 심각히 낮아지는지라 고와트가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프리히트 기능이나 게인 기능등이 있는 기기에서는 굳이 이런 짓을 할 필요가 없지만
제 아이스틱200W는 그런 기능이 없기에 빠른 지지기를 위하여 고와트 셋팅을 맞춥니다.
0.3옴에서 100W대를 사용할 줄은 저도 몰랐네요^^;;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5_6405.jpg
물론 와트가 높으니..엄청나게 밝게 지져집니다만 그것을 카메라로 잡으면 코일 모양이 잘 안보이기에 식을때 찍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66_0637.jpg
이번 리빌드가 실패한 이유인 솜 량입니다.
적게 넣으면 누수 난다길래 상당히 많이 넣어보겠다고 낑낑 집어넣었는데
탄맛납니다.
바늘같은거로 쑤셔줘야할 듯 합니다-_-;;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76_3697.jpg
일단 잡내날리기까지는 완료 해 줍니다.
2.5mm로 다시 코일 감고, 솜을 저것의 절반 좀 안될 정도로 넣어도 누수는 없었습니다.

c5c4be9d63334b64fa7e7f51bf88ab6c_1464670576_7209.jpg
액상 공급이 원활하다면 만만하게 사용했을 셋팅이지만 아쉽게도 액상의 유입이 더뎌서 탄맛이 좀 납니다.
그래도 솜만 살짝 정리해주면 큰 무리 없이 발할라로 갈 수 있는 무화기라는 확신이 듭니다.
액상 주입시에는 경통을 잡고 돌려서(저는 끝까지 조이면 닫힘상태더군요)유입구를 막고 액상 주입 후 다시 열어줍니다.구조의 무지에 따른 문제였습니다. 액상 유입구를 컨트롤 하는 링은 별개로 베이스에 붙어서 돕니다.

긱베이프의 짜집기(...)기술의 결정판 그리핀 25입니다.
이러 저러 무화기들에서 좋아보이는건 하나씩 주워다 만들고..
그것도 모자라서 Cubis등의 상부 에어홀 파츠마저 줏어다 옵션을 만들었군요^^
허나 이 무화기는 뻥액상 저장량이 문제입니다.
카라플도 같은 문제가 있는데요.
상부 탑캡이 안쪽으로 파여있는 형상이라 생긴 문제일겁니다.
경통을 분리 후 유입구 틈으로 뾰족공병으로 하부주입을 한다면 액상 유입구 직전까지 찰랑찰랑히 채울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상부 주입을 한다면 상부 탑캡의 공간 만큼 액상을 넣을 수 없기에..
넣고 뒤집어 보면 경통의 절반 수준까지만 들어가 있습니다.
그것을 제외하면 준수한 무화기지요^^
액상 주입이 편하니 괜찮다...라고 하지만 액상 소모량이 워낙 많으니 꽉 꽉 채우고 싶은게 사람 마음일 듯 합니다 ㅎㅎ

간만에 제 돈(그것도 비싼 돈)주고 산 무화기라 그런지 상당히 맘에듭니다.
빌드 실패야 제 손 탓이니 그렇다 쳐도..액상을 머금을때까지 기다려서 베이핑 해보면 확실히 좋은 무화기입니다.
적당한 허당 흡입압, 적절한 무화량등은 정말 맘에 들고, 맛에 대해서는 개인 취향이 강해서 이야기 하기 싫습니다.
단순하게 단맛은 강하게 잘 올려준다 정도만 표현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RTA, 벨로시티덱, 25mm, 상부주입. 이 4가지 만으로도 다른 사람에게 충분히 권할 가치가 있는 무화기라고 표현해보며 리뷰 마무리 하겠습니다.

언제나처럼의 길고, 지루한 글 봐주신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추천 7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60

안재술님의 댓글

안재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135)
회원아이콘 리뷰 감사합니다 뽐이 오네요 ㅠㅠ
근데 모바일 사진안나오는게 몇개 있습니다
어 아닙니다!!! 다시확인해보니 잘나와요!! 죄송합니다ㅠㅠ

유하몬님의 댓글

유하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6.129)
회원아이콘 리뷰 잘 봤습니다 . 탑에어플로어를 최초(?)로 상용화한 헤플을 워낙 만족스럽게 써서
저는 탑에어홀 버전으로 구매, 사용중인데
갖고있는 헤플과비교해봐도 그리핀 25 가 좀더 개량한점이 몇가지 눈에 띕니다
상부 닫고 하부로만 베이핑보다 상하부 풀오픈시에
좀더 고전압 고와트가 가능하기에 연무량은 확연히 늘어나고 ,맛은 약간 연해지지만 오히려 디테일한 맛이 더하더군요
허나 상부를 닫고 하부로만 전압과 와트를 내려서 베이핑시의 만족감이 덜한것은 저만의 느낌일지도 ㅎㅎㅎ

후리후니님의 댓글

후리후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47.55)
회원아이콘 리뷰잘읽었습니다^^
저도 스탠다드버젼 사용중인데요
새로들인 리본보다 그리핀25가 주력입니다^^;;
26+28 패러럴코일감아서  듀얼 0.28옴에 65와트정도 사용중인데 무화량은 드리퍼급이고 맛표현도 제입에는 엄청 찐하네요^^
지금 탑에어플로우 파츠 주문해서 오고있습니다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Newant80감사합니다^^;;
중복 촬영 파일 삭제한다는게 마지막 조립부분을 다 날려먹어서
용두사미로 끝내버렸네요 ㅎ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유하몬사실 없어서 못산걸 안샀다로 자위하는 느낌도 조금 있다보니...
저도 탑 에어 플로우 파트를 따로 구해봐야겠습니다^^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후리후니저도 나중에 탑 에어플로우 파트만 따로 구해다가 한번 맛좀 봐야겠습니다 ㅎㅎ
전 빌드 실수로 탄 맛을 보는게 지금..실패네요 ㅎㅎ

개얼굴님의 댓글

개얼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1.*.2.115)
회원아이콘

그리핀 사용해보니.. 상부에어홀없어도 될정도던데.. 구입하시다니..
탑에어플로우장착후 리뷰 기다리고있겠습니다.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개얼굴아무래도..차도 마찬가지로 별 필요 없는 옵션이어도 꼭 넣고 싶은 그런 느낌이 있죠..
이놈도 그런 것 같습니다^^;;
베이핑 해보니 사실 필요 없겠다 싶긴 한데..
호기심이 동하네요^^;;
내일 일할 곳 가보고 일하게 되면 미뤄지는거고..안하면 금방 사게 될 듯 합니다 ㅎ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꼼탱이생각외로 단순한 구조에서 오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똑같은 잉화자 V2 사용시에는 크라운탱크 0.25, TFV4(R3, Q4), 그리핀25 0.3옴 듀얼 클랩튼 중에선
그리핀쪽이 가장 맛있네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꼼탱이밀봉 트게행 하실 예정 아니시라면...한번쯤 뜯어보심도....
단지 절삭유가 꽤 있네요^^ 꼼꼼한 세척이 필수인듯 합니다 ㅎ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후리후니그냥 남 말만 듣고 죽자고 우겨넣었다가 망해서
칸탈 쪼가리로 대충 흩어놓으니 장타, 연타는 안되도
3~4회 베이핑은 가능해졌습니다 ㅎㅎㅎㅎ
코일도 다시 감을 생각이니..한카토 다 비우면 다시 빌드해야지요^^

후리후니님의 댓글

후리후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49.90)
회원아이콘 @잉모탈그리핀이나 크리우스 등 벨로덱쓰는 무화기들이 솜양이 적어도 신기하게 누수가 안나더라구요 크리우스는 이래도되나 싶을정도로 넣었는데 한방울도 안새더라구요ㅎㅎ
하프리빌드하세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후리후니코일도 0.1~0.2옴대로 내려놓을 생각입니다 ㅎㅎㅎ
코일을 너무 여러바퀴를 감았더니 와트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사용되는게
영...맘에 안듭니다 ㅎㅎㅎㅎ

짬뽕곱빼기님의 댓글

짬뽕곱빼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88.110)
회원아이콘 저도 이거 배송 기다리고있죠

클랩톤말고 칸탈로 제기능을 뽑을수있는 세팅값이 궁금합니다

칸탈22와 24로 최적의 세팅값을 찾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짬뽕곱빼기좋은 무화기의 곧 도착을 축하드립니다^^
사실 벨로시티덱 자체가 워낙 유용하다보니..
22게이지, 24게이지 모두 0.1~0.2옴 정도는 충분히 가능할듯 합니다 ㅎㅎ

후리후니님의 댓글

후리후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49.90)
회원아이콘

@후리후니저도 클랩튼으로 0.3~0.4옴대 맞췄을때 너무 고와트를 써야되더라구요
지금 쓰는 패러럴이 딱 좋은데 잉모탈님 글 보고 집에가서 클랩튼으로...ㅎㅎ

우다리님의 댓글

우다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2.*.8.116)
회원아이콘 짜집기의 결정판이 아니라 짜집기의 시초로 역사에 남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미니 메가, 빌로v3, 모라딘25, 크리우스 플러스, tf-rta g2......덱만 따지고 탱크형 rdta까지 치면 아로마마이저랑 tf-rdta랑 보레아스까지....
그건 그렇고 싱글빌드용 부품중에 세라믹은 두개가 똑같은데 실리콘파츠는 공기구멍 뚫린거랑 막힌거랑 한개씩입니다
제 생각엔 막아놓은게 더 좋은 듯ㅋ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그린비당분간...혹은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나름 생각이 많아지더라구요 ^^;;;
잘 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후리후니님의 댓글

후리후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47.197)
회원아이콘 @우다리네 없습니다
페텍에 클론만 나온상태라 클론으로 주문했습니다
대부분 정품이나 클론이나 호환이 잘되더라구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그린비PC도 없고..아무 시설이 없는 곳으로 가기도 하고..
일 시작 하면 어느 정도 요령 생길때까진 이베이프 접속 유지는 어려울 듯 합니다 ㅎㅎ
간간히 모바일로 댓글정도나 달 수 있을 듯 하네요 ㅎㅎ;;

게다가..베이핑 자체가 가능할지 아닐지도 잘 모르는 상태입니다;;

그루브즈님의 댓글

그루브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106.147)
회원아이콘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tip&wr_id=19945
제 리빌드 팁을 참고하셔요 ㅎㅎㅎ 솜양은 가능한한 적게 쓰시는게 액상유입이 잘되더라고요
구형 그리핀은 크랩튼으로 빌드할때 2.5미리  이상으로 빌드하면 쇼트났는데 미묘하게 더 넓어 졌나 보군요

카페온베이프에서 포장 안뜯은 상자를 구경만 했는데
기존 단점이었던 빌드덱 분리 톱니가 밖으로 돌출되서 분해가 쉬워졌을것 같고
액상유입구가 타원으로 커지면서 종종 구형 그리핀 에서 공기방울이 맺혀서 액상유입이 잘 안되던 단점들이 개선되었을것 같았는데..
이제 싱글리빌드도 가능하군요....

이런 단점들에도.. 그리핀이 제 무화기들 중에서 가장 맛있다고 생각했는데.. 언제 그리핀 25도 꼭 체험해보고 싶네요
(신기한게 비슷한 구조에 그리핀의 단점들이 모두 해소된 재미니는 맛이 이상하게 별로인거 같아요..ㅠㅜ)

한니발님의 댓글

한니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180.211)
회원아이콘

역시 친절한 잉뷰씨~
항상 리뷰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참 깔끔하게 리뷰 잘 만드십니다.
선추천 후 감상 했습니다.
이로써 그리핀 25 뽐이 +10 상승하였습니다 ㅡㅡ;;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44.56)
회원아이콘

@한니발어휴 모자른 글에 과분한 칭찬이십니다ㅎㅎ
확실히 탱크형 무화기에 폐호흡을 주력으로 하시는 분이라면 한번쯤 들여놔볼 가치가 있는 무화기라고 생각합니다ㅎㅎ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7)
회원아이콘 잉모탈님 궁그만게 있습니다.
제가 이 그리핀으로 리빌드를 시작하려고 하는데..
이 그리핀같은 경우 몇카토 정도 만에 새로 리빌드를 해야하나요?
아님 솜만 교체해줘도 되나요? 솜하고 같이 코일도 같이 새로 해야하나용??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장제이아무래도 액상의 슬러지 유발에 따라..리빌드 주기가 다릅니다^^
슬러지가 적다는 지화자같은 경우에는 코일 자체는 꽤 오래 사용할겁니다^^
중간중간 솜만 교체해주면 되겠지요 ㅎㅎ
그러나 캐슬롱등을 사용하신다면...그 주기가 매우 짧을겁니다^^
코일 선재들은 사용하면서 서서히 열과 액상으로 인해 산화된다고 합니다.
칸탈 같은 경우는 희뿌연색으로 변하는걸 본적이 있는데 다른 선재들은 못봤습니다.
워낙 리빌드를 자주 하는편이기도 하구요 ㅎㅎㅎ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84.80)
회원아이콘 @잉모탈또 질문으로 귀찮게 해서 죄송합니다ㅠ
캐슬롱이나 수입액상이 아닌 디알발 심플리퀴드 액상
처럼 VG 비중이 40정도되는 액상들을 사용한다치면..
하루에 10ml 정도 2~3번정도 카토에 액상을 채우는
편입니다. 리빌드코일 자체의 수명이 2일은 갈까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장제이확실한것은..액상 유입에 관련해서 위의 그루브즈님의 댓글에 달린 게시글 보시고
탄맛만 안나게 잘 셋팅 된다면 2일정도는 넉넉하게 충분합니다.
현재 1일 5~6회(약 30ml가까이)사용하는 중인데
제가 액상 바꾼다고 리빌드 하지 않는한 일주일정도는 사용중입니다 ㅎㅎ
물론 액상 자체가 슬러지가 적은 지화자계열이긴 하지만요^^;;
그마나 캐슬롱 같은 경우는 그냥 심플하게 한카토 사용 후 솜 제거하고 지지기하고 솜 갈아주고...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ㅎㅎ
어차피 저는 요즘은 클랩튼 쓰면서 풀리빌드는 잘 안하고 하프리빌드를 주로 하다보니
솜만 며칠에 한번씩 갈아주고 있습니다 ㅎㅎ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84.80)
회원아이콘 @잉모탈제가 리빌드를 안하다보니 잉모탈님의 말씀을 잘 이해한건가 모르겠네요 ㅠ
그러니까 1일 30ml정도 이용하시는데
코일은 안갈고 탄맛이 느껴질때쯤
 솜만 교체하시면서 일주일정도 코일을 유지하신다는 말씀이시져!?
캐슬롱이나 슬러지가 잘끼는
액상 이용시에는 그주기가 짧고 코일도 솜없이
지지기로 정리후에 솜을 교체하신다는 말씀..
맞나요!? 친절한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ㅜ
이번주말동인 잘 머릿속으로 정리해서 다음주에 구매할까해서요 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장제이네 맞습니다^^
물론 심심할때는 코일째로 갈긴 하지만 그게 슬러지나 산화로 사용 못할 정도인적은 없었습니다^^;;
특히나 클랩튼 코일은 가격이 좀 비싸서 최소한 일주일 이상은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슬러지가 적든, 많든 코일 지지기를 통해서 어느정도는 재사용이 가능하니
주기가 그렇게 짧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즉 풀리빌드 주기는 비슷해도 하프리빌드 주기는 액상에 따라 천차만별이라는 결론이지요 ㅎㅎ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7)
회원아이콘 감사함니다^^ 확실하게 이해했고 더욱더 그리핀25를 사고 싶네요.
제가 질문답변에도 글을 올렸는데.. 그리핀이용하시면서
추천하고픈 클랩튼코일의 옵션이나 솜(브랜드)가 있으신지요..?
그리고 그리핀25를 국내몰에서 주문할까하는데 어디가 괜찮을지 여쭤봐도 될까요? ㅜ 너무 초보적인 질문만 드리고 시간빼앗는
것 같아서 죄송하네요ㅜ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42)
회원아이콘

저는 국내몰 구입시에는..협력업체 혹은 네이버에서 검색해서 최저가를 찾아 구입하고 있습니다^^
이번 그리핀25같은 경우는 라온베이프에 방문해서 구입했습니다.
현재 제가 검색한 것중 그리핀25 단품 최저가는 레고는진리다에서 판매중인 34000원입니다.
http://storefarm.naver.com/legojinli/products/400456197?NaPm=ct%3Diozm05s8%7Cci%3D142ad82f750680e1f9db80be0398d06a586dd1c8%7Ctr%3Dslsl%7Csn%3D282309%7Cic%3D%7Chk%3D7a11da697332450aa87ef05e6e9fed78bd3ee476

클랩튼 코일은 저도 동사의(긱베이프의)28X2 + 32밖에 써보지 못한지라 따로 추천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코튼은 요즘 주력으로 사용중인건 맥심 오가닉 코튼볼을 사용중입니다^^
맥심 오가닉 코튼볼 같은 경우는 직구가 아닌 이상에는 라온베이프에서 소분 판매하는게 낫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ㅎㅎ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7)
회원아이콘 @잉모탈네 레고는진리다 저기에다가 그리핀을 주문하고
리빌드 툴을 보다가 코일감으실때 몇미리로 감으시는지요.
너무 질문 많이하네요 ㅜ 담주에 물품받으면 더욱 궁금한게 많을텐 그때 또 질문드려도 될지요..ㅜ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04)
회원아이콘

@장제이질문이야 언제든...아는 범위에서라면 알려드리겠습니다 ㅎㅎ
리뷰쓸때는 3mm로 감았는데요, 막상 감아보니 3mm에서는 약간 딱 맞거나, 혹은 너무 크거나..정도로 느껴져서
지금은 2.5mm로 감고있습니다^^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7)
회원아이콘 @잉모탈클랩튼코일 감으실때 코일지그로 감으시나요?
코일마스터 v3 을 살지
코일가이드봉을 사서 직접 손으로 감을지
고민되네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04)
회원아이콘

@장제이둘 다 씁니다 ㅎㅎㅎ
아쉽게도 2.5mm는 제가 코일지그만 가지고 있어서 코일 지그로 감고
그 후에 완성된 코일을 다시 스페이싱으로 간격을 벌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2mm, 3mm는 드라이버나 가이드봉같은걸 쓰다보니...ㅎㅎㅎ;;;;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80.204)
회원아이콘

@장제이물론 편리하다는 점에서는 코일지그가 더 편하긴 하지만..
28X2 + 32클랩튼만 해도 쿠로코일러구멍에는 좀 빡빡하게 들어가는 편이라
그 이상..24게이지대 클랩튼이나 기타 다른 두꺼운 와이어들은 어차피 쿠로코일러 사용을 못합니다^^
게다가 처음부터 코일러보다는 가이드핀등을 사용하는게 버릇이 되다보니..
크게 어렵거나 귀찮지는 않습니다^^;;

장제이님의 댓글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7)
회원아이콘 @잉모탈감사합니다 저는 그럼 그냥 코일마스터나 쿠로코일지그 는 장바구니에서 빼고 가이드멀티봉으로 직접 손으로 감으면서 해봐야겠습니다 ㅎ
손으로 감을 때 힘이 많이 필요치는
않은지요 ㅎ?

리뷰게시판 목록

전체 14,675건 622 페이지
리뷰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634 Origen RDA 잉뷰; 댓글+55 인기글첨부파일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463  3
1633 본인요청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복돌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004  0
1632 시겔레이 문샷, Sigelei Moonshot RDTA Atomizer 댓글+50 인기글첨부파일 개얼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3034  5
1631 glas 클론 용트림 스위치 개선버전 !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폭시타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680  3
1630 카이푼 5 에 대한 리뷰 댓글+16 인기글첨부파일 Casino딜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3213  3
1629 간만에 회귀한 입호흡기로 펴본 몇가지 액상 후기 댓글+7 인기글 기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65  0
1628 긱베이프 쓰나미 RDA 24mm 리뷰 댓글+14 인기글 까시나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1773  8
열람중 Geekvape Griffin 25 Standard 잉뷰; 댓글+60 인기글첨부파일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1690  7
1626 시겔레이 213, Sigelei 213W TC Box Mod 댓글+45 인기글첨부파일 개얼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3443  4
1625 (쿼드 deck) 한발 늦은 TF-RTA G4 리뷰/언박싱 입니다.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자무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1325  4
1624 bachelor nano(독거남 나노) 리뷰. 댓글+21 인기글첨부파일 그린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2845  5
1623 Avocado 24 (geekvape) 리뷰 댓글+14 인기글첨부파일 빙판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189  5
1622 유행지난 TFV4 mini 리뷰 입니다... 댓글+11 인기글 자무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395  2
1621 망고스무디 by Sleepy 레시피 후기 댓글+9 인기글 김아스트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601  0
1620 Cloud One MTL RTA [styled-굇수님 제공] 잉뷰; 댓글+44 인기글첨부파일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794  5
1619 안녕하세요 aspire cleito 리뷰입니다 댓글+4 자무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804  2
1618 TF-RTA G4 by 스모크 리뷰 댓글+16 인기글 까시나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645  10
1617 뒤늦은 드립박스 후기 댓글+6 인기글첨부파일 농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2664  1
1616 초보자의 르제피르 물따로 체험기 댓글+11 인기글첨부파일 고로케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926  2
1615 아로마마이저 슈프림 RDTA by 스팀크레이브 리뷰 댓글+16 인기글 까시나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2018  15
1614 리밋리스 RDTA 간단 리뷰입니다. 댓글+9 인기글첨부파일 johnnyca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1205  1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