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elei 213 TC mod Review
본문
안녕하세요 까시나무입니다.
시겔리 213 온도조절 가변기 리뷰입니다. 앙가쇼핑센터에서 리뷰를 위해 지원받은 제품입니다.
시겔리 213 가변기는 디자인과 소재의 고급스러움, 슬림한 사이즈, 213w출력과 디테일한 온도조절모드 설정,
2A 밸런스급속충전과, 프리힛기능으로 무장한 시겔리의 플래그쉽가변기입니다.
2A 밸런스급속충전과, 프리힛기능으로 무장한 시겔리의 플래그쉽가변기입니다.
[기본스펙]
색상 : 건메탈 & 골드
메인재질 : 카본파이버 &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와트출력범위 : 10W~213W
온도조절범위 : 100-300C / 200-570F
출력전압범위 : 1.0V-7.5V
배터리지원 18650배터리 듀얼
출력모드 : Power SS(304,316,317) Ti1 Ni200 TCR TFR / TCR&TFR 5가지 설정저장
저항범위 : 0.1옴 ~ 3.0옴
충전 : USB 패스트 발란스차징 DC 5V/2A
프로텍션지원 : 고전압 / 역베터리 / 저저항 / 베터리 불균형 / 저전압 / 단락 / 과열
[장점]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소재, 슬림한 사이즈
-프리힛기능을 통해 Power모드에서 하드한 빌드도 쾌적한 베이핑이 가능
-온도조절 지원의 다양함 (SS 304,316,317지원과 5개의 메모리설정 TCR & TFR)
-18650배터리 두발로 최대 213W의 출력
-USB포트를 이용해 5V/2A의 패스트 밸런스 차징을 지원
[단점]
-부담스러운 가격
-TC모드에서도 동일한 최소지원저항 0.1옴
------------------------- 추가분 -----------------------
신도림님의 댓글(온도조절관련 문제점)을 보고 해외영상 몇개를 시청해봤습니다. 놓친 부분이 있을수 있어서요.
립트리퍼의 리뷰영상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지 않는 다는 것을 체크했습니다. 아래는 몇개의 영상에서 체크한 내용입니다.
-TC모드에서도 동일한 최소지원저항 0.1옴
------------------------- 추가분 -----------------------
신도림님의 댓글(온도조절관련 문제점)을 보고 해외영상 몇개를 시청해봤습니다. 놓친 부분이 있을수 있어서요.
립트리퍼의 리뷰영상에서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지원하지 않는 다는 것을 체크했습니다. 아래는 몇개의 영상에서 체크한 내용입니다.
-USB포트를 통한 펌웨어 업그레이드 불가
-TCR모드에서 온도조절모드 이용시 문제점 발견-Sigelei.com 홈페이지의 공지글에 TCR 이슈에 대한 반응이 있네요.
접속하면 공지글로 뜹니다.링크(http://sigelei.com/) 시겔리는 해당내용에 대해 루머라고 하는거 같은데요.
제가 영어가 짧은편이라 구글번역기의 힘을 빌려 해석한 내용입니다.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으니 영어 잘하시는 분이 도움주시면 좋겠네요.
[내용]
섭씨단위의 TCR계수가 정확히 작동하지 않는 다는 이슈에 대해 루머라고 해명합니다.
시겔리213은 내부적으로 화씨베이스의 TCR 계산법을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섭씨베이스보TCR 보다 정확도가 높은 방식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시겔리 측에선 해당 이슈에 대해 루머일 뿐이라고 했지만 섭씨기반 TCR계수를 화씨기반의 TCR계수로 변경해주는
자체 툴을 홈페이지에 개시했습니다. 문제를 인지한것 같은데요. 툴링크(http://sigelei.com/tcr.php)
신도림님의 댓글에 링크영상을 보면 섭씨기반 TCR과 화씨기반TCR에 대해 수학적으로 비교하는 영상인거 같습니다.
20도의 온도차이구간에서 섭씨기반과 화씨기반의 공식을 보면 TCR계수가 다르게 산출되는거 같습니다.
시겔리213는 화씨베이스 TCR을 사용하고 푸차이213의 경우 섭씨베이스 TCR을 사용하는 걸로 보여지네요.
좀더 완벽한 번역글이 발견되면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총평]
시겔리 213은 약간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슬림한 사이즈와 소재의 고급스러움, 디테일한 온도조절 지원,
프리힛 기능, 급속충전기능으로 시겔리의 플래그쉽 가변기로 출시가 됬습니다. 럭셔리한 두발지원 가변기를 찾으시는 분,
거기다 충전기가 없는 분들한테는 좋은 제품이 될거 같네요.
거기다 충전기가 없는 분들한테는 좋은 제품이 될거 같네요.
[기능설명]
◈ 모드변경 : Fire 3번 빠르게 클릭 /Power/SS/Ti1/Ni200/TCR/TFR
◈ 파워모드조절 : -,+ / 최소10w ~ 최대213W (0.1w 단위변경 , 100w이후 1w단위변경)
◈ TC모드조절 : -,+ / 섭씨 100C~300C(1도단위) / 화씨 200~570F(5도단위)
(TC모드에서 와트조절 / 아래의 프리힛 기능으로 와트설정)
◈ 시스템잠금토글 : Fire 5번
◈ 버튼락토글 : - 와 Fire 3초 (-와+ 버튼은 잠기고 Fire버튼만 작동가능)
◈ 저항읽기/저항고정 : 온도조절모드에선 무화기를 교체시 저항을 읽어주어 저항값을 고정해야 한다.
파워모드에선 무화기 교체 혹은 배터리 교체후 Fire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변경된 저항을 인식할수 있다.
온도조절모드시 코일이 식은 상태에서 읽어야 올바른 코일저항값을 가져올 수 있다.
-와 +버튼을 동시에 3초간 누르면 Resistance Rock / Read 메뉴가 표시된다.
-,+버튼으로 Lock/Read 중 선택후 Fire버튼으로 확정
저항을 잠근 상태에서 다시 재실행할경우 Unlock/Exit 메뉴가 표시된다.
◈ 프리힛 파워/시간 설정 : +와 Fire 3초간 클릭
해당버튼을 누르면 Preheat Power Ajustment가 표시된다. 3초간 누르고 있으면
왼쪽에 Watts 오른쪽에 Seconds가 표시된다. 필요한 와트(0.5단위)를 설정하고 시간(0.01초단위)을
설정후 Fire버튼으로 저장하고 나오면 베이핑시 설정시간만큼 설정와트로 밀어준후 기존에 입력된 W로
출력을 해주게 된다. 하드한 코일세팅(두꺼운 클랩튼)시 코일을 달구는데 필요한 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EX) 40w설정인 와트모드에서 프리힛메뉴로 진입후 80W/3.00 Seconds로 설정하게 되면
파이어버튼을 누를경우 3초동안 80W로 출력후 그이후엔 40w로 밀어주게 된다.
※온도조절모드에선 Seconds값은 적용되지 않으며 Watts값만 작동한다.
◈ 온도보상설정 : 온도모드에서 -와+ 그리고 Fire버튼을 3초간 누르면 Compensate 0.0C가 표시된다.
온도모드 사용시 온도를 보상할수 있다. 섭씨모드에선 섭씨로 표시되고 화씨모드에선 화씨로 표시된다.
설정값범위 : 섭씨모드 (-35C ~ 40C) 화씨모드 (-95F~104F)
◈ 공장초기설정복원 : -누른상태에서 배터리삽입
충전 : 배터리의 전압이 3.6볼트 이하이거나 두배터리의 전압차이가 0.35V 이상인 상태에서 파이어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에 ‘The Battery is Imbalance’ 메시지가 표시된다.
아래는 개봉기 끝부분에 추가된 온도조절과 TCR, TFR에 대한 내용입니다.
[온도조절과 TCR계수]
온도조절모드에서 파이어버튼을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와이어의 저항이 올라가는것을 볼수 있죠.
칸탈와이어와 달리 온도조절용 와이어는 열을받아 온도가 상승하면 와이어의 저항값도 같이 상승합니다.
이렇게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변화폭은 온도조절 와이어마다 다릅니다.
널리 사용되는 와이어중 니켈이 가장 변화치가 크고 그뒤로 티타늄, 스테인레스스틸 와이어 순입니다.
이렇게 와이어 종류별로 서로다른 온도상승폭 대비 저항변화치를 TCR계수라고 부릅니다.
가변기에서 지원하는 Ni, Ti,SS 온도조절모드는 제조사에서 가변기의 칩셋에 해당 와이어의 TCR계수를 프리셋 형식으로
미리 설정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가 파이어시 가변기의 칩셋은 와이어의 저항치 변동을 캐치하고 TCR계수에 대입하여 현재 와이어의 온도를 예측하게 됩니다.
그리고 예측한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리밋온도와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와이어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차단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콘트롤 합니다.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를 세팅하였다면 끔찍한 드라이힛을 배제한 건강한 베이핑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예측한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리밋온도와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와이어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거나 차단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콘트롤 합니다. 사용자가 적절한 온도를 세팅하였다면 끔찍한 드라이힛을 배제한 건강한 베이핑이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가변기 제조사들이 TC(Temperature control)기능을 유행처럼 내장하여 출시를 하지만 가변기 칩셋 제조사별로 TCR계수를
이용하여 온도를 예측하는 방식과 정확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온도예측의 TCR계수의 정확성, 디테일한 설정면 에서 이히칩과
이볼브의 DNA칩은 아직도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용하여 온도를 예측하는 방식과 정확성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온도예측의 TCR계수의 정확성, 디테일한 설정면 에서 이히칩과
이볼브의 DNA칩은 아직도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Linear TCR / Temprature Coefficent Resistance]
TCR모드는 저항변동치와 온도상승폭이 일정한 비율을 가지는 리니어타입입니다.
운용가능한 온도구간에 한가지의 TCR계수를 대입하여 전구간의 온도를 예측합니다.
예를들어 0.1옴의 저항변동시 온도가 20도 상승하는경우 0.5옴의 저항변화에는 100도라는 온도를 예측하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가변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와이어 혹은 니켈, 티타늄, SS와이어등을 사용자가 TCR계수를 입력,
편집하여 사용하기 위한 모드이며 시겔리213의 경우 5개의 TCR 값을 저장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TFR방식에 비해 입력,사용이 간편하지만 온도조절의 정확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TFRCurve / Temprature Factor Resistance]
TFR은 TCR과 달리 한개의 고정된 TCR계수가 아닌 운용 가능한 온도구간의 특정온도에 서로다른 TCR 계수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온도상승폭의 구간에 따라 저항의 변동치도 다르다는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률적이고 고정적인 TCR모드에 비해 정확성이 높지만 온도구간별 저항변화치를 기록한 데이터시트가 필요합니다.
시겔리 213 가변기의 TFR모드는 섭씨100도부터 50도 단위로 300도까지 총 다섯구간의 온도별 저항변화치를
입력, 편집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처음 온도조절 입문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가변기에 설정된 SS,Ti,Ni를 사용하는게 가장 간편합니다.
머리아플 일도 없구요. ^^
추천 8
댓글 26건
MacaoKing님의 댓글

![]() |
리뷰 감사 합니다.. 질렀습니다... |
나태한목소리님의 댓글

|
궁금했던 점을 잘 정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TC 모드에서 0.1은 조금 아쉽군요 |
신림살아요님의 댓글

|
우선 잘감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유튜브 리뷰들을 보면 온도조절에서 문제가 있다고 하던데 혹시 자세히 아시는게 있으신지요? |
에카님의 댓글

![]() |
TC 정보를 모르는 분들이 봐도 좋을 리뷰네요!!
영상을 여러번 찍으셧다고 봣는데 퀄리티가 높은 영상입니다. 리뷰 잘보고 갑니다~ |
까시나무님의 댓글

|
@MacaoKing비싼걸 지르셨군요.. ^^ 아껴주세요 |
까시나무님의 댓글

|
@나태한목소리감사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로 해결이 됬으면 좋겠네요.
온도조절을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에겐 당황스런 부분이네요.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신림살아요온도조절에서 문제점이 최소지원저항 부분 아닌가요?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에카감사합니다. |
신림살아요님의 댓글

|
@까시나무예전에 봤던 유튜브 다시 가보니
초기버전에서 있던 불량이였던거 같네요 혹시 https://www.youtube.com/watch?v=GzM0x46JOCA 이영상 보셨는지요.. 푸차이와 시겔의 온도조절칩차이 설명인거같은데 섭씨 화씨에 따른 분모값변화에따라 값이달라져 시겔과 푸차이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혹시 저게 온도조절에 어떤결과를 미치는지 아시나요?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신림살아요댓글보고 다른 해외 영상몇개 찾아보고 있는데 문제점이 보이네요.
체크하고 본문 수정할게요 |
개얼굴님의 댓글

|
슬림한사이즈는 아닌듯.. 너무뚱뚱해요ㅠㅠ |
까시나무님의 댓글

|
@개얼굴제가 가진 가변기 중엔 젤 슬림하네요 ㅎㅎ
저도 베이프맥스 갖고 싶습니다. ㅠㅠ |
개얼굴님의 댓글

|
|
자무스님의 댓글

![]() |
와 대박 추천누르고갈게요....! |
청잠바님의 댓글

|
선생님 역시 완벽하십니다 저 슈프림 중고샀어요 4MI |
까시나무님의 댓글

|
@개얼굴헐..그럼 시겔이 130그램에 배터리 두개해서 90그람인데
베멕 무게가 40g 인가요? 당장 지를까요? ㅎㅎ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자무스감사합니다.^^
어릴때 친구가 제임스딘을 보고 자무스 딘이라고 읽더군요. ㅎㅎ |
개얼굴님의 댓글

|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청잠바-_- 그런 호칭은 심히 부담스럽습니다. 청잠바님
여튼 감사합니다. 제대로 리뷰를 하고자 하는데 쉽지 않네요 ^^; |
커피곰님의 댓글

|
TFR이 지원되는 기기가 드디어 수면 위로 나오기 시작하는군요.
Linear TCR에 회의적이었는데, 본격적으로 TC의 세상이 오려나 봅니다. :) TFR 와이어로 테스트해보고 싶어 졌습니다. 좋은 리뷰 감사드립니다!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커피곰감사합니다. ^^ |
콥더글라스님의 댓글

|
![]() |
까시나무님의 댓글

|
![]() |
콥더글라스님의 댓글

|
![]() |
yh8420z님의 댓글

![]() |
까시나무님 리뷰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유투브에서도 잘 보고 있고요.^^
근데 이 제품은 on/off 기능은 없나요?? |
개탱이님의 댓글

|
컥...! 영상리뷰도 리뷰지만 장문의 연구서같은.. 대박 역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