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놈 VPN3 0.8,1.2,1.6옴 기성코일 리뷰. > 리뷰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연구실 인기글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리뷰게시판
회원아이콘

베놈 VPN3 0.8,1.2,1.6옴 기성코일 리뷰.

페이지 정보

Owlre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82.157) 작성일 님이 2017년 11월 06일 01시 16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6,481 읽음

본문

1b61d6afcf4c1e083966d2d3f5466e32_1509896394_4053.jpg
안녕하세요 Owlrey입니다.

오늘 리뷰할 제품은 저번 베놈 웨블리 리뷰에서 이야기했던 VPN3 코일입니다.

VPN3 코일은 이전에 리뷰한 적이 있었던 VPN2 코일의 후속작으로서

베놈저스트포그바이퍼 같은 하부코일을 사용하는 기성기기류에 호환되는 코일입니다.

시간 여유가 있으시다면 VPN2 코일 리뷰를 먼저 보신 후에 무엇이 달라졌는지 비교해가면서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VPN2 코일 리뷰는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그럼 일단 패키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7985_2866.jpg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7985_4478.jpg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7985_5791.jpg

패키지는 알약 파우치 포장으로 직사각형 상자에 들어있었던 VPN2와는 달리

이번에는 정사각형 모양의 상자에 밀봉된 비닐 포장으로 5개가 기본 한세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코일의 종류도 0.8옴 한 종류였던 전과는 다르게 0.8, 1.2, 1.6옴 세가지로 늘어났네요. 선택의 폭이 넓어진 것은 좋은 일입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016_8459.jpg

VPN1 코일부터 VPN3 코일까지전작들과 함께 모아보았습니다.

VPN1에서 코일 상단 탑쉴드의 구조를 대폭 수정변경했던 이전에 비해 일단 코일의 기본적인 규격과 형태는 전작과 같습니다.

여러 기기에 호환 되어야 하니 규격자체가 크게 바뀔 수는 없겠죠.

VPN1에서 VPN2로의 변화가 리뉴얼이었다면 VPN2에서 VPN3로의 변화는 전작의 단점을 보완한 업그레이드같네요.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039_224.jpg

일단 디자인적인 요소의 변화로는

상단 널링이 빠지고 VPN3 로고 각인이 추가되었습니다세 개의 액상 유입홀과 개선된 공기흐름을 형상화한 듯한 모양이네요.

널링이 빠져서 액상이 뭍어있는 코일을 탈착할 때 조금 미끄러운 감은 있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095_2609.jpg

각인의 경우 카토마이저 안으로 저렇게 보이는게 꽤나 이쁩니다.

각인이 보이는 것은 카토마이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메사1,2는 코일을 덮는 방식이라 안보입니다..)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기능적 요소의 변화를 살펴보면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109_1995.jpg

가장 먼저액상 유입구의 형태가 변경되었습니다.

기존 사선 형태의 액상 유입구가 원형으로 바뀌면서 각각의 유입구 면적이 줄어든 대신 유입구의 개수가 2개에서 3개로 늘어났습니다.


아마도 이유를 추측해보자면,

전작인 VPN2와 함께 출시된 베놈 웨블리메사파이톤2같은 베놈 3세대 카토마이저들에 상부주입 기능을 적용하면서,

상부주입에 익숙하지 않았던 많은 초보자 분들이 액상 과유입으로 인한 누수 등의 불편함을 느끼셨었다고 들었습니다.

또 초보자가 아니더라도 상부주입 구조상 누수가 아니더라도 

액상 주입 후 첫 흡입 시 거글링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약간의 과유입은 있었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132_9628.jpg

그래서 전작에서 문제되었던 상부주입 시 과유입 현상을 잡기 위한 방안으로,

 4mm X 2mm 크기의 기존의 사선 액상 유입구의 크기를 약 지름 2mm의 원형 액상 유입구로 변경하여

액상과의 접촉면적을 줄이고 그대신 기존 2채널에서 3채널 액상 유입구로 변경하여

유입구의 크기 축소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코일 전체로의 액상 유입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실제로도 사용해보면 VG 70% 농도의 액상을 0.8옴 코일 25와트로 연타 및 장타해도 탄 맛 없이 원활하게 액상이 유입 됩니다.


상부주입으로 인한 과유입 문제는

메사1이나 웨블리의 드립팁을 통한 상부주입에서는 VPN2에 비해 과유입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메사2에서는 거의 없다시피 하였습니다.

(단, 코일 수명이 다해가거나 하루 이상 방치했을 때에는 약간의 과유입이 있었습니다.)


다만 1.2옴 코일이나 1.6옴 코일 사용시 강하게 흡입을 했을 때 흡입압으로 인해서 과유입이 발생하는지 약한 거글링 현상이 생기네요.

1.2옴 및 1.6옴 코일 사용시에는 적당히 부드럽게 흡입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248_7967.jpg

다음으로는 코일 하단의 에어홀 (공기 유입구)의 크기 변화입니다.

기존 VPN2 코일에서 직경 2mm 였던 공기 유입구의 크기가 양 끝이 조금 잘린 2.5mm 로 조금 더 커졌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280_4993.jpg
따라서 코일 베이스 하단의 내부 공간도 조금 넓어졌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305_682.jpg

뿐만 아니라 늘어난 공기 유입구의 크기만큼 코일의 내경 또한

VPN2 0.8옴 코일의 경우 약 2.1mm 정도의 내경을 가지고 있던 것을

VPN3 0.8옴 코일에서는 하단 공기유입구 크기에 맞게 2.5mm 내경으로 변경하였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339_966.JPG

(공식 홈페이지 홍보이미지 갈무리)

따라서 유입부터 코일을 거쳐 나올 때까지 공기의 흐름이 매우 원활해졌는데요,
VPN코일의 특징인 버티컬 코일에서는 코일의 내경이 흡입압이나 흡입감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밖에 없는데,

작은 차이임에도 흡입압과 흡입감이 조금 더 시원시원해지고 그에 따라 흡입 소리도 살짝 거칠지만 VPN2 보다는 조금 순해졌습니다.

다만 흡입압이 미묘하게나마 넓어진 만큼

0.8옴 코일로 빡빡한 입호흡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카토마이저의 에어홀링 조절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79604f7ed66220a708a03fb431f39022_1509898460_3271.jpg

하지만 1.2옴 코일과 1.6옴 코일의 경우

공기 유입구의 크기는 0.8옴과 같은 2.5mm지만 코일의 내경이 2mm로 0.8옴 코일보다 작게 나왔는데요,

입호흡을 위한 저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코일이기 때문에

오히려 이 코일들까지 내경이 늘어났었다면 무화량 대비 많은 공기유입량과 헐렁한 흡입압 때문에 아쉬웠을 것 같은데

2mm 내경을 유지함으로써 0.8옴 코일에 비해

조금 더 흡입압이 빡빡해졌고흡입 소리가 0.8옴보다는 꽤나 정숙해져 입호흡에 좀 더 어울리게 된 것 같습니다.



발열에 있어서는 VPN2에 비해 확연히 좋아졌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VPN2 코일을 사용할 때에는  

파이톤 나노2(웨블리 킷같은 14mm 카토마이저에서 연타시에 꽤나 뜨겁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는데,

VPN3 코일은 한 카토마이저를 한번에 2/3이상 비울 정도로 연타를 해야 조금 뜨뜻하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VPN2 대비 발열이 약 60% 정도는 감소한 느낌이네요.

 위에서 적었던 공기흐름의 개선이 발열 개선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그 외에 전작과 마찬가지로

상당 실리콘 패킹의 넓은 홀로 결로가 쉽게 고이지 않아 결로로 인한 액상 튐이나 거글링을 방지한 점,

버티컬 코일을 사용함으로써 수평코일에 비해 코일의 수명이 길어진 점 등은 여전히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고,

또 코일 제조를 맡은 공장이 이노킨 사로 변경되면서 내부 코일의 균일함이나 고무오링을 실리콘 오링으로 교체한 점 등 세세한 변화도 있네요.

 

맛표현 자체는 VPN2와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습니다.

애플버블 보리얼을 먹으며 테스트했는데 맛의 세세한 디테일을 살짝 뭉뚱그려 표현하는,

약간 선명도가 떨어지는 느낌입니다그래도 기성 하부코일에서 이정도 맛표현은 상당히 좋은 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무화량

0.8옴 코일의 퍼포먼스는 아무래도 코일 자체 크기 등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같은 저항의 리빌드 무화기보다는 조금 부족한 느낌이지만 1.2옴 코일이나 1.6옴 코일은 생각보다 꽤 잘나옵니다.

세가지 전부 스텔스 베이핑하기에는 어렵고,

흡연실 같은 공공장소에서 무화량 때문에 눈치가 보이신다면 1.2옴이나 1.6옴 코일을 사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0.8 코일은 조금은 주위의 이목을 끌 수 있을 정도입니다.

 

0.8옴과 1,2, 1.6옴 코일을 전부 비교했을 때 개인적으로 0.8옴 코일이 제일 만족스럽고 추천드리고 싶었습니다.

공기유입구나 액상유입구도 0.8옴을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 느낌이고,

코일 내경이 넓어져 시원시원한 흡입감과 만족스러운 퍼포먼스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맛표현에 있어서도다른 두 코일보다 더 진함을 느낄 수 있었구요.


다만 스틱형 배터리 같이 배터리 용량이 적어 출력이 금방 저하되는 정전압 배터리를 사용하신다면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 액상을 기화하는 속도가 액상이 유입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거글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1.2옴이나 1.6옴 코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4.6V 까지 커버하는 VPN3 코일의 특징을 생각하면

0.8옴 코일을 저출력으로 사용할 때에는 만족스러운 성능을 내기는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마지막으로 VPN3 코일의 장단점을 정리하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

장점

1.     과유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원활한 액상유입력

2.     공기흐름 개선으로 쾌적해진 흡입감

3.     눈에 띄게 줄어든 발열

4.     기성하부코일임에도 나름 만족스러운 맛표현


단점

1.     강한 흡입시혹은 스틱형 배터리 전압 강하시 발생하는 약한 거글링(꾸르륵거림)

2.     버티컬 코일 특유의 약간 널널하게 느낄 수 있는 흡입감

3.     액상이 뭍어있는 코일 탈착시 조금 미끄러움

 ------------------------------------------------------------------------------


이상으로 VPN3 코일의 리뷰를 마치겠습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owlrey 에서 원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방문 한 번씩만 부탁드립니다..ㅠㅠ)

추천 5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12

WTAPS님의 댓글

WTAP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26.76)
회원아이콘 잘봤습니다 !!! 웨블리 산지 얼마 안되어서 처음에 주는 vpn2 코일 쓰고 있거든요~! 계속 폐호흡으로만 사용 중 인데 vpn3가 폐호흡에 더 좋을까요?

리뷰게시판 목록

전체 14,676건 568 페이지
리뷰게시판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769 입호흡 무화기 사이렌2 리뷰 SIREN2 MTL GTA 댓글+26 인기글첨부파일 문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4888  8
2768 ADVKEN MANTA RTA(만타RTA) 리뷰 댓글+38 인기글첨부파일 디셉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8164  13
2767 Pico Squeeze Review 댓글+11 인기글첨부파일 yoshiking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2204  5
열람중 베놈 VPN3 0.8,1.2,1.6옴 기성코일 리뷰. 댓글+12 인기글첨부파일 Owlrey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 6482  5
2765 스고이 베이퍼 / 사쿠라 액상 입니다. 댓글+3 인기글 목격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3164  2
2764 처음으로 써보는 아레스 기기 사용기 댓글+5 인기글 KJean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924  0
2763 Advken 고지rda 사용후기 댓글+16 인기글첨부파일 아소토유니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2486  1
2762 OBS 크리우스2 RTA crius II 리뷰입니다~! 댓글+13 인기글 문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537  9
2761 Rofvape Warlock Peas 간단리뷰 댓글+15 인기글첨부파일 디아블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2196  4
2760 icare2 간단리뷰 댓글+4 인기글첨부파일 디아블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548  1
2759 하이리큐 액상 후기 댓글+6 인기글 리브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5738  0
2758 네이티브 블랜디드와 vcc코튼 댓글+12 인기글 베꼽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329  0
2757 UD 제피러스 v3입니다. 댓글+5 찡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724  3
2756 Rjmod cats2 시연후기! 댓글+14 인기글첨부파일 야이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630  4
2755 액상리뷰) RIPE VAPES - VCT 연초계 액상 리뷰!! 댓글+37 인기글 문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3819  6
2754 추천 입호흡용 RTA / 도기 SJMY 클론 리뷰를 올립니다^^ 댓글+9 인기글첨부파일 레드칸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864  2
2753 반디베이프 본자 rda. Vandyvape Bonza RDA. 댓글+12 인기글 찡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67  7
2752 싱글 드리퍼 "고지" 리뷰 (ADVKEN "Gorge" RDA) 댓글+31 인기글 송디송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660  11
2751 어그베이프 보리어스 v2. Augvape Boreas v2. 댓글+11 인기글 찡찡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1245  7
2750 시루콧토를 아시나요...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끽연마스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1108  0
2749 GORGE RDA 사용기입니다. 댓글+9 인기글첨부파일 당기세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1400  3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