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트코어 SC4 (배터리 수명 확인 불가능), XTAR VP4 PLUS win!
본문
(잘못된 정보가 있더래도 이해 바랍니다.)
[글을 작성하고 시간이 좀 지났지만 추가로 확인한게 있어 추가합니다.
SC4는 내부저항 측정 기능이 있지만, 사실상 무용지물입니다.
동일한 배터리를 충전기에 끼울 때마다 다른 값이 나옵니다. 일관되지 않고, 부정확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을 나이트코어사에 확인했고, 내부저항측정 기능은 없는 제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단지 기존 나이트코어 제품 보다 발열이 없게 설계한 점과, 충전만은 잘 되는 제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내부저항측정 기능은 엉터리 수준을 넘어 신뢰성이 제로에 가깝습니다.]
SC4는 배터리의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는 충전긴데요.
광군절 특별세일이라고 해서 36.5달러에 알리에서 구입했는데, 광군절 끝나고도 37달러인걸 보니, 결국 0.5달러 절약.
이 제품을 구입하게 된 계기는 vc4가 고장이 난 상태에서 임시방편으로 깜냥충전기를 쓰는데 마이너스 슬라이딩 슬롯이
뻑뻑하고 중간 중간 걸리기 일쑤라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충전기를 새로 살 수 밖에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기본구성물에 전원케이블 포함이고, 유럽플러그 방식을 선택하면 돼지코도 필요하지 않구요.
메인 전원단자 외에도 USB포트 옆에 조그만 단자는 차량용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실 수 있습니다.
USB포트는 출력포트이고, 충전 중일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마이너스 슬라이딩 슬롯은 매우 부드럽게 동작합니다.
버튼 설명을 하면,
보시면, C 버튼과, V 버튼이 존재합니다.
C 버튼을 누를 때마다 1번~4번의 충전포트(채널)를 순차적으로 선택할 수 있구요. 선택한 채널의 정보가 상단 우측에 표시됩니다.
C 버튼을 몇초간 길게 누르면 해당 포트의 수동설정 메뉴가 나옵니다.(수동으로 설정을 바꿀 경우만 사용)
V 버튼을 누를 때마다 3가지의 상태표시가 순차적으로 전환 됩니다.
V 버튼을 길게 누르면 3가지의 상태 표시가 수초 긴격으로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다시 길게 누르면 멈추구요.
배터리 수명 확인은 배터리의 잔량이 줄어들수록 배터리의 내부저항이 증가한다는 원리를 이용해
내부저항 측정기라는 별도의 도구로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SC4의 경우 위 이미지를 보시면
'Good 100' : 배터리가 쌩쌩하다, 내부저항이 100으로 낮음
'Poor 300' : 배터리가 다 됐다. 내부저항이 300으로 높음
내부저항이 250 미만이면 Good 이 표시되고, 250 이상이면 Poor 가 표시된다고 메뉴얼에 적혀 있네요.
결국 내부저항이 300 이 나오는 경우에는 배터리가 거의 죽음에 이른 것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Poor' 라고 표시된 배터리의 경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버리시면 됩니다.
안버리고 계속 쓰신다고 한다면,
충전 또는 사용시 줄게 더이상 없는데 뺏으려고 하니 배터리 스스로 버티기 즉 거센 저항을 하면서 열이 발생합니다.
SC4에 허준 기능이 생겼습니다.
배터리를 장착하였는데 충전이 되지 않고,
EE EE 표시가 뜬다면, 배터리는 0V로 방전된 상황에 있습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허준기능으로 일정 확률로 살릴 수도 있습니다.
살리겠다면, C 버튼과 V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배터리 복구모드로 들어갑니다.
살아나면 충전이 되구요. 반응이 없으면 여러번 시도를 해 봅니다.
나이트코어에서는 여러번 복구모드를 시도했음에도 살아나지 않는 배터리는 버리라고 권장하네요.
(주의 : 복구모드 진입하는 그 순간에는 역극성 보호 기능이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된다고 합니다.
즉, 배터리 +, - 단자를 특히 반대로 해서 충전기에 삽입해서는 안됩니다.
복구모드가 아닌 평상시에는 실수로 반대로 삽입해도 역극성 보호기능이 작동하기 때문에 안전하지만,
복구모드로 진입하는 순간에는 이 안전기능은 일시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 주의하셔야 겠습니다.)
기타 급속충전 기능은 배터리 한 알만 넣고 충전할 때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이외 1채널, 2채널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기능도 있구요.
4구 충전기에 4알을 충전하게 되면 전류를 분배해 줘야 하는데
아무래도 똑같은 양을 배분하면 전체적으로 충전속도가 느리게 되니
특별히 특정 채널의 배터리 2개를 더 빨리 충전할 때 쓰는 기능 같고,
최대 2A를 가지고 동작하게 될텐데 이게 4구 충전기의 한계인거 같구요.
8구 충전기도 있던데 그건 극복한 제품이겠네요.
충전기에 배터리 꼽아놓고 방치하면 만충된 이후에 방전이 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던데
충전기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는 방전이 안됩니다.
충전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는 배터리를 꼽아 놓으면 조금씩 방전됩니다
.
SC4나 대부분의 충전기들이 전원이 켜진 상태로 10시간 이상 방치하면 과충전보호 기능으로 전원공급이 중단될 겁니다.
이것이 작동 된 이후에는 조금씩 방전되겠죠.
그래서, 충전 후에는 충전기에서 배터리를 분리하는게 좋고, 충전기의 전원도 끄는게 제품을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를 오래 쓰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가변기에 넣고 사용을 하다가
배터리 남은 양이 전부 소진될 때까지 사용하지 마시고,
적당히 남아 있을 때 충전을 해 주는게 좋습니다.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장기 보관시에는
완전방전이 되지 않도록 6개월에 한 번 꼴로 충전을 해 주시구요.
이 때, 완충 할 필요가 없고, 절반 정도만 충전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배터리 새거도 장기보관시 충전을 해줘야 하는지?
새거 그 상태로 장기보관하면 된다고 합니다.
SC4의 단점
아이들(유휴) 상황에서 노이즈가 발생하니다. 고주파음 같은게 납니다.
충전을 시작하게 되면 노이즈는 사라집니다.
이것은 제품의 불량이 아니고, 종특으로 보시면 됩니다.
평가
SC4의 핵심 기능은 배터리 내부저항 측정 기능입니다.
제가 배터리 내부저항 측정기가 없기 때문에 SC4가 측정하는 내부저항의 정확도를 알 수가 없네요.
비슷한 값이 나온다면 이 제품은 꽤 훌륭한 제품이 될 겁니다.
그렇지 않다면... 돈 낭비겠지요.
지금까지 18650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빨리 충전이 되고, 빨리 닳아지는 감에 의존해
배터리의 수명을 판단해 왔습니다.
이 제품이 정확한다면, 배터리를 버려야 할 결정, 새 배터리를 구입해야 하는 결정을 하는데 확신을 줄 것입니다.
(추가)
SC4의 내부저항 측정 정확도가 정확한지 의구심이 있었는데
이 제품을 스코프로 측정한 리뷰에서 정확하지 않다고 하는군요.
반면, 경쟁사 제품인 XTAR VP4 PLUS 라는 제품도 내부저항 측정 기능이 있는데 일관되고 정확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가격은 VP4 PLUS가 SC4 보다 2배~3배 비싸고
USB 입력은 단점으로 보이고, LCD, 히트싱크는 SC4가 우수합니다.
이왕이면 정확하면 좋았을텐데, 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댓글 14건
벤데믹님의 댓글

|
오..좋네요 사야겠군요 |
sins님의 댓글

|
@벤데믹용자분이 나오셔서 배터리 내부저항 측정기로 값을 확인해 주시면 좋겠네요. 비교적 정확하다면 안심하고 사시면 될듯요. |
맨도롱또똣님의 댓글

|
오우 이런 자세하고 위험한부분도 콕콕 집어주시는
리뷰~~ 참치용 ~~ |
kimmm님의 댓글

|
와 비싼데는 다 이유가 있네요.... 가난한 학식충은 웁니다...ㅠㅠ |
허니군님의 댓글

|
안그래도 한국 몰에서 싸길래 어제 주문했는데 리뷰가 매우도움이 되었네요
사용후 댓글로 궁금한점 도와드리도록 노력햐보겠습니다 아마 내일 올듯 ㅎㅎ 윽 수정함니다 sc4가 아니고 i4네요 ;; |
이햫이햫님의 댓글

|
와...자세한설명 감사합니다!! 고마워요!! |
Parisien님의 댓글

|
efest blu6랑 xtar vc4 두개 쓰다가 요거로 지금 두대 쓰고 있는데 아주 만족스러움 ㅎㅎ
특히, 첫번째 슬롯은 단독 충전시 무려 3A로 충전도 되죠 |
sins님의 댓글

|
@맨도롱또똣ㅎㅎ 감사합니다. |
sins님의 댓글

|
@kimmm측정이 정확한지 아리송합니다. 충전기 아무거나 있으시면 살 필요 없어요. |
sins님의 댓글

|
@허니군i4를 사셨군요. LCD가 아마 없는 나이트코어 제품일거에요. |
sins님의 댓글

|
@이햫이햫네 ㅎㅎ |
sins님의 댓글

|
@Parisien저도 vc4 있는데 고장나서 봉인 했네요.. |
허니군님의 댓글

|
@sins그러네요 리뷰를 좀더 빨리 봤더라면 나도 저거 샀을텐데 ㅠㅠ |
sins님의 댓글

|
@허니군더 알아보니 내부저항 측정이 정확하지 않다고 하니 구입 안하실걸 후회하실 필요는 없겠네요. 본문에 추가할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