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푼v4 니켈리빌드 질문있습니다.
본문
카이푼v4에 니켈리빌드해서 온도가변으로 쓰려고 하는데요,
카이푼은 첨이라 .... 어렵게 풀분해 세척후 리빌드 하였습니다.
니켈200 28게이지 3미리 11바퀴 싱글리빌드 하였는데,
sxk 플라스크에서 0.26옴을 잡네요...
온도인식도 문제가 있는것 같아요.. 파이어 했을때 200화씨를 넘지 않습니다.(22와트 사용중입니다)
제생각에는 350화씨 이상은 될꺼같은데 말입니다....
28 11바퀴 동일하게 서브탱크미니에 리빌드했을때,
sxk 에서는 0.16을 잡는데, 카이푼은 왜이렇게 잡는지 감이오질않네요 ㅜㅜ
카이푼v4는 핫시그발 클론제품입니다.
추천 0
댓글 11건
솔개님의 댓글

|
구조상..
카4가 자체 저항값이 더 높은 이유도 있을 거에요.. |
박순봉님의 댓글

|
@솔개구조상 저항이 1옴이나 높을수 있을까요..?? 하 답답할 노릇입니다 ㅠㅠ |
kami917님의 댓글

|
카이푼4 는 스프링 때문에 온도 널뛰기 할때가 있습니다 스프링 빼고 하시면 그런점은 없어지지만 쥬스 넣을 때가 짜증 나더라고요 ㅜ.ㅜ 금스프링이면 괜찮다고 하기도 하지만 해본적은 없고 스프링 빼서 사용중입니다. 온도 조절기기가 보통 맥스로 0.15인가0.16옴 (니켈 잡아주는거로 알고 있는데요) 0.2면 그냥 칸탈 취급하는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
솔개님의 댓글

|
@kami917전 계속 잘 쓰고 있다가..
이번에 다른 액상 넣었더니 드라이코일에 쇼트 메세지 뜨고 난리가 아니네요.. |
솔개님의 댓글

|
@박순봉스피링 및 스프링 접점부 부식체크 해보세요..
의외로 스프링 및 접점부 부식이 있는 것들이 있더라구여.. |
MIRv님의 댓글

|
그래서 전 카이푼으로 니켈빌드 안합니다.
원본도 마찬가지구요. 구조 자체가 0.01옴이 왔다갔다할수밖에 없는 구조더라고요 개발 타겟 자체가 , 미세한 저항 차이에 영향 없는 1옴대 칸달로 한 듯한 느낌입니다. |
MIRv님의 댓글

|
그리고... 저항은 단면적에 반비례합니다. 스프링-센터봉-베이스 부분 접촉면이 간당간당한 곳이 있으면 그쪽에 저항이 높게 나타나지요 그게 합산돼서 높게 보입니다 |
kami917님의 댓글

|
@솔개베이핑 아트에 물어보니 어쩔수 없다는 식으로 말하더라고요 스프링 때문에 그런거라고 ㅡ.ㅡ 그래서 유튜브 뒤져보니 스프링 빼고 쓴다고 해서 그렇게하니 옴널뛰는 현상이 없어요^^;; 단점은 쥬스체널 영구 오픈 |
솔개님의 댓글

|
@kami917금도금을 거론했다면 부식(녹) 문제가 큰거 같은데요?..
의외로 스프링 부식이 심해요.. |
박순봉님의 댓글

|
@MIRv계속 분해 재조립해보는데 어디에서 그렇게 저항이 많이 걸렸는지... 0.1옴이나 높게 나오니 머리아프네여 ㅜㅜ 답변 감사합니당 |
박순봉님의 댓글

|
@솔개저는 왜 스프링을 빼버리면 sxk에서 low reg가 떠버릴까요 ... 머리아프네영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