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 희석시 방울 계량시 의문사항
본문
일단 다른 게시물에서 댓글로 주고받다가 의문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기본적으로 저울,피펫,플라스크 등 정밀 게측이 어려울땐 보통 방울로 용량을 대략적으로 나마 지표로 삼습니다.
저는 저울파라서 비중을 검색하고 무게로 재는편이지만 귀찮을땐 방울로 합니다.
그래서 예전에 니코틴1g(1ml)가 몇 방울인지 측정을 해봤습니다. 서너번 측정해보니 대략 38~42방울 오차는 있지만 대략40방울 잡으면 얼추 맞겠구나 싶어서 그냥 귀찮을땐 40을 1g지표로 삼았습니다.
병의 입구에 따라서 방울수가 100방울까지도 나올수 있다는 글에 아닐거란 댓글을 달았고 확실히 몇번을 계량했지만 100방울 가능하다란 대댓글에
저도 다시 저울을 꺼내서 1g을 측정했으나 40방울오차범위로 나왔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분이 100방울 가능하다란 글을 보니 제가 실수해서 혹은 다른 요소들이 작용한건지 사용하는 병(기구)의 입구 두께 때문인지
기타 이유로 오차가 40~100방울까지 생길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제가 잘못쟀다면 그동안 5mg라고 생각한것이 사실2mg로 먹어왔다는것이 될수도 있고, 반대로 5mg이라고 생각한것이 12mg으로 먹은것이 될수도 있어서 살짝 심각해졌습니다.
이게 맞다면 방울계량하시는분(저포함)들은 입구게이지 확인하고 방울수로 계량하셔야 할거 같아요
일단 차이는 입구 두께에 가장 큰 요인일것 같은데 모르겠네요 정확히는 알려주세요!
댓글 19건
에이취님의 댓글

|
액체의 표면 장력에 공병의 액 출구의 모양(마찰)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
둥글고 입구 면적이 넓은건 더 들어 갈수도 있고 좁고 뾰족한 모양은 덜들어 갈수도 있고 싶은데 그냥 제 상식선입니다 ;; 정확한건 다음분이 !! |
솔개님의 댓글

|
공학도도 아니고..
이과 출신이긴 해도 물리시간엔 딴짓이나 하긴 했어도.. 사람들이 잘 인식하지 못하는 물리현상들이 있죠.. 낙하하는 물체는 중량에 관계없이 동일한 가속도를 갖는 다는 것 등등.. 암튼.. 떨어지는 시점의 차이는 생기겠지만.. 중력에 의해서 낙하하는 액체의 방울은 같은 비중이라는 것이죠.. 정답이라는 것이 아니라.. 제 생각입니다..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에이취넵! 가장큰 요인이 이부분일것 같긴한데 오차가 너무커서 다른이유도 있을까 궁금합니다 ㅋ |
Whoareyou님의 댓글

|
저도 100방울 나온다고 해서 설마 나올리가 있겠어?
하고선 직접 세어봤습니다. 자게에 사진올려놓았고 1번병 그게 100방울 나왔습니다. 2번은 딱한번 쟀고 70방울 나왔구요 3번은 멀티 스포이드병 병입구가 더베이퍼 향료병이랑 같죠 그게 40방울 마지막 약국공병 이건뭐 30방울도 안나왔습니다.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솔개일단 저두 같은 생각이어서 같은 무게 방울일거란 생각으로 접근했는데 다른 의견을 들어보니 맞을수도 틀릴수도 이젠 자야되는데 궁금해서 잠이 안오네요 ㅋ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Whoareyou오차범위가 더 벌어지네요;;
30~100이 가능하군요 와 이거 몰랐으면 계속 실수할뻔했네요 |
알왕님의 댓글

|
이런 니코틴은 무게 비중과 방울로는 예민한 부분이기에 복잡한 계산 회피하려 하구요 무조건 주사기 ml 로 계산하네요..
이게 훨씬 빠르고 정확하고 간편해서.. 도움 못드려 죄송해요 입구 게이지 계산하고 하면 너무 복잡해서 주사기에 방울수 스킵하고 원하는 ml 짜놓는게 나을거에요 |
솔개님의 댓글

|
@Whoareyou그렇다면..
출구를 통일시켜야만 동일한 방울수가 나온다?.. |
Whoareyou님의 댓글

|
@수정구왕발팁게 가장처음 나왔던 병두개
그거도 차이나잖아여 25방울 40방울 저도 설마 100방울 안나오겠지 생각하고 해본것입니다. |
Whoareyou님의 댓글

|
@솔개입구없이 출구 표면장력과 중력 두가지만 봤을때
출구 작을수록 방울크기도 작다. 이거죠 |
수정구왕발님의 댓글

|
@알왕그렇게 해야겠네요. 생각보다 결과가 충격적이네요. 오차범위가 저리 크게 나올줄 알았다면 항상 주사기로 하든 저울로 측정하든 했을것인데 조심해야겠네요. |
알왕님의 댓글

|
@수정구왕발네
그래서 항상 오프매장 니코틴에 대해 논란이 많은게 저렇게 통용화된 병을 쓰는게 아닌데 방울수로 계산해서 이건 몇 세기다 몇세기다 잘 모르는 소비자에게 판매하는게 문제였죠 사장님 또한 잘 모르시고.. |
Whoareyou님의 댓글

|
@알왕제가보기에도 알왕님이 말씀하신게 최고라 생각합니다. |
유하몬님의 댓글

|
@Whoareyouㅋㅋㅋ 전 몇달전에 친구 때문에 1ml 100방울 세보고
오늘 또 세보고 혹시나해서 3 ml 308 까지 세봤습니다 다음에 친구한테 바늘 주사기 사다 줘야겠습니다 ㅋㅋ |
Whoareyou님의 댓글

|
@유하몬전 유하몬님이 거짓말 하시는지알고 글 보자마자 해본거여요
그런데 저에게는 충격 유하몬님이 말씀하신 하이네 바늘공병 100방울 진실이였다는것에요 |
유하몬님의 댓글

|
@Whoareyou제밌는건 공병의 입구가 작을수록 방울수가 많아지고
방울수가 많아질수록 투하용량의 정확성이 올라갑니다 ㅋㅋ 고로 피치못하게 방울로 넣으실때는 하이네 바늘공병을 추천합니다 |
Whoareyou님의 댓글

|
@유하몬전 라온베이프에서 주사기 여러개 구해놨어요 그냥 그거 써야죠 ㅎㅎㅎ |
비익연리66님의 댓글

|
http://www.steam-engine.org/juice.asp
ml로 계산하는 것이 훨 편하겠네요..주사기 킹왕짱 |
유하몬님의 댓글

|
이글을 라온베이프님이 좋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