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가변 와트가변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볼트가변 와트가변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작성일 님이 2016년 02월 18일 01시 46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3,523 읽음

본문

볼트가변이나 와트가변이나 전압을 조정하기위해 존재하는것이다 라는건 알겠는데

볼트가변이 카토에 맞춰 적정한 볼트를 조절해주는것이라면

와트가변은 도대체 왜 존재하는걸까요?

적정볼트에서 만족하지못하기에 더 좀더 세밀한 조작을위해 그러는걸까요?

적정볼트를 넘어서게되면 단순 타격감이 강해지는것에서 그치는지 아니면 솜이 타버리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빅미니를 사용하는중인데

옴의법칙에 의해 안전한 볼트는 20a,0.25옴 기준 4.2정도가 최대치라고 들었습니다

이때 와트를 조정한다면 볼트값이 뛰게 될텐데 안전하게 항상 4.2볼트에 유의해서 사용해야하는겁니까?

추천 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27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볼트가변은 예를들어 4.2볼트 해놓으면 무화기를 바꿔도 알아서 와트계산이 되고 볼트는 고정이되서 편합니다.
그리고 옴의법칙에 의해 안전하다 하신 부분은 맞긴하지만
가변기기 칩으로 어느정도 보완하는 부분이기도 하며
승압, 감압을 통해 칩 자체가 부하를 견뎌주는 거고 못견딜시 배터리의 폭발보다는 칩이먼저 타버릴 확률이 높습니다
또한 각 선재의 힛플럭스가 틀려서 5볼트 이상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안전이 최고라는 주의라서 궁금한게 너무많네요
볼트x전력=와트로 알고있습니다
고로 볼트가변을 사용하면 적정와트로 쏴준다는말이되는데 그럼 여기서
볼트를 고정시킨후 와트를 가변하면 전력이 강해지니 단순히 맛과 타격이 강해지고
전력소비가 커지는게 다인가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게이볼트아니요 볼트가변은 와트 신경 안쓰시고 볼트로만 조작합니다. 와트는 사용자의 볼트변경에 따라 자연스레 변하는거고 사실 이거의 장점은 아까 말씀하신 안전범위를 맞춰놓으시면 저항치가 다른 무화기를 아무리 바꿔도 전압은 일정하게 쏴주기에 탄맛 볼 일이 없지요ㅎㅎ와트가변은 무화기 변경시마다 저항치가 틀리니 매번 조작해줘야하구요.
말씀하신대로 w=vi이고 이걸 메커니컬(아날)모드로 사용하신다면 배터리의 자체 능력, 한계만 믿고 쓰셔야 하는 부분이라 당연히 배터리의 스펙상 안전범위를 벗어나면 안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변모드기기는 일정한 전압을 자체적으로
(브릿지회로든, mosfet이든, tr이든..자체적인 승압, 감압회로를 이용하겠지요?전공이 아니라 자세한 부분까지는 모릅니다)승압 혹은 감압을 통해 무화기에 전달하는 구조라 배터리의 연속적인 방전을 통한 발열은 있지만 아날로그 모드에 비해 자체적인 "칩"이라는 안전장치를 하나 더 두고 있다고 보시면 되며 대부분의 배터리 스펙을 넘어서는 와트가변은 연속적 출력이 아닌 1010같은 펄스출력-PWM을 통해 그 부담을 줄인다고 들었습니다.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귀찮으실텐데 염치불구하고 몇가지만 더 여쭤보겠습니다
그렇다면 볼트가변이 와트가변 이후의 진보된 기술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왜 많은분들이 안전하고 적정출력을 맞춰주는 볼트가변을 놔두고 와트가변을 사용하는지 이해가안갑니다
그리고 온도조절에 대해서 설명해주실수있나요?
온도조절이란게 볼트,와트에 상관없이 온도만 일정하게 조절해주는것인지
아니면 설정온도에 따라 볼트,와트를 알아서 조절해주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게이볼트오히려 볼트 가변에 비해 와트 가변이 나중에 유행한 기술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물론 두가지 다 본질은 비슷하나 제조사 입장에서는
좀 더 자유로운, 세세한(특정 볼테이지에 얽메이지않는)셋팅이란 부분과 발열량이라는 부분을 표시함에도 w가 더 적합했을것 같습니다.
적어도 w는 전압과, 전류를 모두 포함해서 출력하는 값이니 더욱 전문가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vv모드 초창기는 1453류에 들어가는 그녀석..같은 느낌이지요ㅎㅎ그저 볼트만 알려주는..
tc는 일종의 온도제한치를 설정하면
그 설정된 온도까지 역시나 설정한 와트를 이용해서 가파르게 상승 후 설정 온도 도달시 출력을 줬다 끊었다 하며 조정합니다.
니켈같은경우 재질의 특성상 0.1옴대를 사용하는데
이녀석을 쉽게 계산하면 50와트로 지지면..열이 오르는 효율이 좋지않죠ㅎㅎ
안그래도 어제 읽은 글이 고와트는 온도조절에 필요한 기술이다..라는 글을 읽었는데 ㅎㅎ 그 개념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들어 0.1옴을 칸탈사용시 200와트가 적정이라고 치면 온도조절에서도 같은 수준으로 생각하되 요기에는 최대발열 제한이 걸리게 됩니다.
만일 와트가 너무 낮아 모자르다면 최대온도에서 출력을 끊어서 식혔다가 다시 최대온도까지 올라가는 텀이 길어져서 자연스레 증기가 미지근한 쿨베이핑이 될것입니다. 그러나 와트가 적절히 지원해준다면 최대온도에서 끊어진 출력이 식었다가 다시 최대온도까지 가는 시간이 빠른 발열을 통해 텀이 짧아지고 좀더 연속적인 선형 출력에 가까운(사람이 느끼기에는)칸탈 베이핑에 가까운 특성을 나타냅니다.
말그대로 1발씩 장전하는 펌프액션 샷건과
기관총의 비교랄까요?
시간당 나가는 총알수가 기관총이 더 많죠ㅎㅎ
와트와 온도조절간의 관계도 비슷한관계입니다
즉 모두가 원하는 탄맛없는 칸탈같은 베이핑은 와트와 세분화된 온도 검출속도, PWM이 도와줘야 가능한 일이죠ㅎ.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늦은밤 귀찮으실텐데 답변 감사합니다
진짜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부탁드리겟습니다..
배터리를 보면 흔히사용하는 배터리의 최대 와트가 4.2인데
이런 배터리를 사용한다면 최대로 올릴수잇는 와트가 4.2인가요?

sick남님의 댓글

sick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10.231)
회원아이콘 @게이볼트덧붙이자면
와트가변을 쓰는 이유는, 입력값인 v를 고정하는것보다
출력값인 w를 고정해놓고 쓰는 것이 일정한 베이핑에 도움이 된다 라고 여겨서 라고
생각이 됩니다.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sick남아날로그 모드라면 네 맞습니다.
가변모드라면 칩이 만들어내는 펄스로 그 이상의 출력을 냅니다.
최소한의 부하로 최대의 효과를 노리는게 좋은 가변칩이 행하고자 하는 부분이지요.
대부분의 가변기기는..음..가정용충전기 같은거에요.
스맛폰충전기도 교류220볼트 받아서 요래 조래 감압해서 직류5볼트만들죠?
반대로 인버터란놈은5볼트든 12볼트든 받아서 승압시켜서 교류 220을 만들어요
그 회로의 소형화 버전이 우리가 쓰는 가변기기에요.
저기처럼 5볼트가 220이 될 그런 수준이 아닌
끽해야 직류4.2볼트로 직류8볼트정도도 못만드는 그런 수준이에요.
심지어 직류에서 교류로 바뀌는것도 아니구요.
그러니 작고, 싸지요ㅎㅎ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sick남흐음.. 그렇다면
제가 0.5 옴달아서 20a인 배터리를 쓰고있는데
http://www.steam-engine.org/ohm.asp
여기사이트에 0.5옴과 20a를 대입하면 10v와 200w가 뜨는데
그렇다는건 저상황에서 볼트가변을 이용해 10v까지 올려 사용하거나
와트가변을 이용해 200w까지 사용하는건 안전하다는 말이 되는건가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sick남가변칩이 지원한다면 예스입니다.
그러나 한발가변은 그 크기와 효율때문에 아무리 빡세게 설계하고 만들어도 90와트를 못넘기고있죠
그래서 배터리 2발 직렬로 최소 7.4~8.2볼트 입력에서 고와트는 승압, 저와트는 감압해서 두루 사용합니다.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아닙니다 그동안 그린스모크같은 스틱형만쓰다가 가변기기 사용하니 이래저래 광적인 안전주의자라 고민이 많았었는데 구글링을 아무리해도 풀리지않던 궁금증이 싹다 해결된느낌이네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게이볼트ㅎㅎ 적어도 물어보신 부분을 이해하기 가장 좋은 수단은
가정에서 쓰는 도란스입니다ㅎㅎ
하는일은 비슷해요
110을 220으로 승압해주든지(업트랜스)
220을 110으로 다운해주든지요(다운트랜스)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정말 진짜로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묻겠습니다 ㅠㅠ
그렇다면 제가 쓰고있는 이빅미니기준 0.1옴짜리를 쓰더라도 20a를 넘지않는 40w나 2v에 고정해서 쓰면 안전하단 얘기가 되는군요 반대로 40w, 2v를 넘어서게되면 20a를 넘게되니 위험하게 된다는말이 되구요
적정암페어에 최대한 가깝게 출력을 올려버리면 어떤 단점이있나요? 배터리, 액상의 급소모와 솜이 탄다는것 뿐인가요?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게이볼트안전하다와는 다릅니다.
어느것인들 안전하다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칩이 버티는겁니다.
칩이 못버티면 칩이 먼저 죽는거고 그게 정말 희박한 확률로 역전압이나 서지같은게 튀면 배터리가 폭발할 수도 있겠지요..단지 그 확률이 정말 미미할뿐.
안전하다고 여기시는 값 이상이라면 배터리와 액상의 급속 소모 및 "기기와 무화기의 발열"이 있습니다.
스펙상의 안전범위를 사용한다면
20A미만, 0.2옴이상, 4.2볼트 미만을 잡아야 한다는거고 제가 주로 쓰는 1.1옴이 현재 3.9볼트 15와트 사용중입니다. 암페어는 4암페어정도 나오구요ㅎㅎ 이정도면 안전범위보다 한참 남는값이지만 여전히 발열도 있고, 배터리소진도 빠릅니다.
너무 노이로제같이 어렵게 생각하시기보단 가변기기는 액정에 정보가 나오니 칸탈사용시 최대방전치 근처인3.7~완전충전치4.2볼트사이, 0.3옴 이상만 사용하셔도 허용범위에도 들어가고 모자를 셋팅이 없습니다.
계속 간과하시는 부분이 가변기기의 칩은 보호장치도 겸한다는 부분입니다....
퓨즈처럼 칩이 죽다보니 아날에비해서는 안정성이 있는편이죠.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그렇군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0.25옴 써보고싶었는데 그놈의 안전땜에 걱정되서 못하고있었는데
3와트맞추면 36w로 12a 정도로 사용할수있겠네요
내일 당장 사러 달려가야겟습니다

잉모탈님의 댓글

잉모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34.190)
회원아이콘

@잉모탈그래도 0.25옴에 힛플럭스 높은 SS코일 특성상 한발로는 힛플럭스를 못맞춰서 제성능내기는 딸립니다ㅠㅠ
저 힛플럭스, 열 유속부분이 크탱 코일 재질인 SS특성상 같은 옴의 칸탈보다 꽤 높은 와트로 지져야 칸탈과 비슷한 특성이 나옵니다..
못쓸건 아니지만 만족스럽진 못하지요ㅎㅎ
그리고 안전범위 보실땐 칩 자체 스펙도 같이 확인하시면 편리합니다ㅎㅎ 이빅미니가 0.05옴까지 검출, 사용가능일거에요..와트가 많이 모자르겠지만요ㅠㅠ저도 이빅미니쓰고있는데 카라플에선 남는군요ㅎㅎ

게이볼트님의 댓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6.*.47.140)
회원아이콘 @잉모탈칩의 스팩까지고려해서 0.05옴까지 가능한다 명시되어있다면
배터리 암페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되나요?
계산기에 20암페어 때려박으니 1볼트에 20와트로 뜨네요 이게 맞는건가요?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154건 8380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8195 트리톤에 대해서 여쭙고 싶습니다. 댓글+2 봉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788  0
18194 모드기기 초보자를 위해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댓글+22 Redix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857  0
18193 피쉬본플러스 세라믹없이빌드 댓글+4 첨부파일 사람답게살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614  0
18192 상부에어홀의 필요성 댓글+7 인기글첨부파일 사람답게살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304  0
열람중 볼트가변 와트가변 초보가 질문드립니다 댓글+27 인기글 게이볼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3524  1
18190 탄맛 질문 드립니다 댓글+5 PBH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567  0
18189 김장숙성 질문 드립니다. 댓글+8 인기글 필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088  0
18188 크탱 액상과다유입? 댓글+16 진리의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787  0
18187 질문인듯 질문아닌 질문같은 글 댓글+12 알엘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475  0
18186 스모크 엑스큐브2 와 크탱 댓글+5 오늘입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825  0
18185 아틀란티스 코일 리빌드 해보신 분 계신가여? 댓글+6 첨부파일 카카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734  0
18184 입호흡용 액상 니코틴질문 댓글+3 인기글 tlagud8520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993  0
18183 코일 타면... 목넘김 댓글+3 인기글 두에그라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406  0
18182 지지기하고 냄새맡으면 원래 비린냄새나나요 ? 댓글+3 인기글 별이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551  0
18181 이펀탑 구매 문의 드립니다. 댓글+2 박카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879  0
18180 카라플 누수 도와주세요ㅠ 제발~ 댓글+11 오명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595  0
18179 안녕하세요. 리빌드와 탱크 가변기기 제품 문의드립니다. 댓글+9 첨부파일 선명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577  0
18178 가습현상을 막기위한 액상추천 댓글+20 인기글 프로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022  0
18177 sx mini ml 가지고 계신분? 커넥터 핀만 확인될까요? 댓글+4 첨부파일 sins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556  0
18176 액상 제조 질문 있습니다!! 댓글+1 개상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434  0
18175 생초짜 전담러의 고민! 댓글+1 갓수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582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