듀얼 하부코일 2.0옴 리빌드 할때 저항과 배터리 출력관련...
본문
http://www.hiliq.net/pts01-atomizer
지인들도 쓸만하다는 평이 많은... 가성비 괜찮은 기기입니다
2옴짜리 기성코일을 분해해서 리빌드하려는데
모드기기로 저항 체크해보니 2.0~ 2.15옴 정도가 나옵니다
그런데 제게 1.8옴과 2.0옴짜리 레디와이어가 있어서
이것들로 리빌드를 하면 저항이 1옴 아래로 떨어져버립니다
그래서 당연히 1453용 기성배터리에 연결하면 출력이 약해서 무화량이 적을 줄 알았는데
왠걸 몇번 빨지도 못하고 코일이 다 타버리더라구요
1번 질문. 1453용 기성 배터리는 출력이 4볼트정도에서 사용하다가
점차 전압이 떨어져서 3.5볼트 정도까지 내려가고, 다시 충전하면 4볼트 언저리로 올라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잘못된 게 있나요?
2번질문. 1453배터리는 출력 (W)가 고정으로 알고있는데 아닌가요..?
3번질문. 기성코일보다 저항이 낮은 리빌드 코일을 기성코일을 사용할때와 동일한 1453배터리에 연결했는데
왜 코일이 순식간에 타버리는 건가요?
제 생각대로면 오히려 출력이 모자라서 액상이 기화가 잘 안될거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차라리 2.0옴짜리 코일 하나만 이용해서 리빌드를 했더니 그게 그나마 나은데..
그래도 하루이틀 지나면 탄맛이 나네요
좋은 방법 없을까요?
댓글 5건
쪽빛내음님의 댓글

|
혹시 듀얼코일로 2옴 잡히는 걸 1.8옴 레디와이어 듀얼로 리빌드 하신겁니까?
그러면 0.9옴이라 코일이 타버릴겁니다. ;;; 저항의 병렬 연결 시 전체 저항은 절반이 됩니다. |
빌리어스님의 댓글

|
@쪽빛내음답글 감사합니다
배터리의 전압은 정해져 있는데 코일의 저항이 낮아지면 소모전력(W, 출력?)이 늘어나면서 코일이 타버리는건가요? |
쪽빛내음님의 댓글

|
@빌리어스2옴일 때 8와트 나오고,
(4V × 4V / 2 OHM = 8W) 0.9옴일 때 약 18와트로 두배 넘게 나오네요. (4V × 4V / 0.9 OHM = 17.7W) |
빌리어스님의 댓글

|
@쪽빛내음감사합니다. 제가 전기쪽으로 문외한이라.. 1453배터리에서 전압은 정해져있고
코일의 저항에 따라 와트수가 자연히 올라간다는 말씀이시죠? 배터리도 빨리 닳게 되는거구요? |
쪽빛내음님의 댓글

|
@빌리어스와트 계산을 간편히 계산해 보여드린 겁니다.
전류는 저항과 반비례하니 배터리도 빨리 닳는 게 맞습니다. 1453 배터리는 1옴보다 넉넉히 높게 잡고 사용하시는게 안전합니다. 아래는 전압, 전류, 저항의 공식들입니다. http://evape.kr/bbs/board.php?bo_table=free&wr_id=7756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