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mg/L 농도면 1:2를 의미하는 건가요?
본문
1리터의 총용량에 니코틴은 0.5g 밖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의미 아닌가요?
검색해서 보면 1000mg = 1L 라는 의미로 계산하시는 것 같던데 제가 수에 약해서 조금 친절하게 알려주세요ㅠㅠ
추천 0
댓글 12건
알엘님의 댓글

|
단위가 이상한데요
퓨어 10ml 에 pg 10ml 넣으면 500mg/ml 이 나오는데 500mg/l 이면 그건 니코틴 0.5mg/ml 인데 거의 무니코틴에 가깝네요 |
보키님의 댓글

|
대게 연초에 빗대어 보시면 편할거라 생각되네요.
국내발매 연초의 라이트의 경우에는 6mg으로 맞춰져있죠 그로 인해 6mg의 니코틴을 액상에 첨가하는겁니다. 마찬가지로 1mg의 연초를 하셨다면 1mg의 니코틴을 첨가하는거죠. 이건 입호흡기기에 비례하는 이야기구요 폐호흡 기기나 드리퍼에는 들어가는 연무량이 훨씬 많기때문에 대게 절반의 니코틴을 첨가합니다. 퓨어니코틴 10ml가 1000mg이기 때문에 독극물로 보시면 될정도로 강합니다. 눈이나 피부에 닿게되면 치명적이기에 대게 90ml의 pg에 1000/10 mg/ml를 투여하여 100/100 mg/ml로 만들게되고 200/50 mg/ml 이라던가 500/20 mg/ml 으로도 만들기도합니다 ^^ 장점은 일단 희석이 됫기에 독성이 덜하다는것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점이구요. |
웁짜바라님의 댓글

|
@알엘오프라인 매장들중에 mg/L 라는 표기를 쓰는 곳들이 있어서 제가 착각했나보네요.. mg/L 라는 단위 자체가 의미없는 단위고 실제론 mg/ml 이 우리가 사용하는 기준단위이고 그렇게 생각하면 모든 얘기들이 앞뒤가 잘 맞아 떨어지는 것 같은데 제가 잘 이해한 것 맞나요? |
알엘님의 댓글

|
@보키연초와 전담의 니코틴 흡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전담은 연초보다 2~3배 정도 많은 니코틴을 넣습니다 ( 1453기준 입호흡에서요 ) 전담이 연초보다 흡수가 더 조금만 됩니다 연초 6mg는 니코가 아니고 타르 입니다 니코는 0.5mg 정도 겠지요 그리고 이게 연초한갑이면 10mg 정도 일거고 전담액상은 1453기준 1~2ml 정도가 연초한갑이라고들 했었지요 ( 물론 2014년 기준이라서 지금은 의미 없지만요 ㅋ ) 그래서 1453으로 18mg 까지도 사용했었고요 퓨어 10ml 은 1000mg가 아닙니다 0이 하나 빠졌네요 |
알엘님의 댓글

|
@웁짜바라1:2 라는 비율이 나오면 333mg/ml 인데요?
mg와 ml을 잘 이해한것이 맞냐고 물어보신다면 pg에선 맞고 vg에선 아닙니다 |
그냥지나가다님의 댓글

|
@웁짜바라mg/L 란 표현은 의미 없는 자체적인 표기로 보이고 아마 1ml 용량에 500mg 이 들어있다.. 라고 보여집니다.
1:2 란 비율은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퓨어를 희석하는걸 의미한다면 500mg/ml 가 나오려면 니코틴과 퓨어가 1:1로 섞어야 합니다. 퓨어니코틴을 편의상 1000mg/ml 로 보기때문에 퓨어니코틴 0.5ml (500mg) + pg 0.5 ml 를 합하면 500mg/ml인 1ml의 니코틴 희석액이 탄생하게 됩니다. 계산을 쉽게 하려면 총용액(니코틴+pg)에 니코틴을 얼마나 넣느냐.. 란 관점으로 다가가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퓨어니코틴 2ml 에 pg 8ml를 넣는다고 보면 총 니코틴양은 2000mg (1000*2) 인데 완성액 총 용량은 10ml ( 2+8 )가 되죠 그러면 2000mg/10ml가 되는것이고 1ml 기준으로 보면 200mg/1ml 가 됩니다. 액상에 첨가해 넣을때도 같은식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
웁짜바라님의 댓글

|
@그냥지나가다mg/ml 라는 단위는 1ml 라는 희석액 총량에 니코틴이 몇 mg이나 들어있느냐? 라는 단위.
1000mg/ml = 퓨어니코틴 200mg/ml 의 니코틴희석액을 만드려면 1ml에 200mg의 퓨어니코틴이 들어가야 하니까 니코 200mg + PG 800mg = 1ml 를 만들면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1;2 라는 비율을 멍청하게 잘 못 이해하고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혹시 지금도 제 이해에 오류가 있을까요? 회원 여러분들 모두 친절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
알엘님의 댓글

|
@웁짜바라이해하셨네요
그냥 퓨어니코틴 + pg 1:1 은 500mg/ml 1:2 는 333mg/ml 1:3 은 250mg/ml 1:4 는 200mg/ml 1:9 는 100mg/ml 정도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 참고로 vg 는 무겁습니다 1ml 가 1.26mg 입니다 . 김장하실때는 vg도 알고 있어야 하니까요 ) |
보키님의 댓글

|
@알엘넵 감사합니다~ |
웁짜바라님의 댓글

|
@알엘VG에 대해서는 대강 알고있었는데 그런 사실은 몰랐네요 부피?보다 질량? 이 더 크다고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그럼 무게로 계산해야하는건가요? |
알엘님의 댓글

|
@웁짜바라김장 방법에 따라 다릅니다
눈끔공병이나 메스실린더 같은걸 이용해서 김장을 할때는 ml 로 그냥 1로 계산 하면 되고요 정밀 저울을 이용해서 김장을 할때는 mg 으로 1.26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
웁짜바라님의 댓글

|
@알엘아 그렇군요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