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날로그 기기 위험!!?
본문
1.하이브리드 형식(배터리와무화기가 직접닿는) 아날은 무화기 똥꼬가 플러스 가 나와있어야 되고 들어가있으면 마이너스 플러스 같이 닿아서 쇼트가 나는거죠?
2. 보통 박스형 모드기기나 아날로그기기 도 접점부가 나와있는거는 무화기 똥꼬 마이너스 플러스 같이 있는거 껴도 쇼트안일어나나요?
2. 보통 박스형 모드기기나 아날로그기기 도 접점부가 나와있는거는 무화기 똥꼬 마이너스 플러스 같이 있는거 껴도 쇼트안일어나나요?
추천 0
댓글 22건
TheBeast님의 댓글

|
1. 네 맞습니다.
2. 접점부가 나와있는거는 무화기 마이너스 플러스 같이 있는거 껴도 쇼트안일어나나요? << 무슨 말인지 이해가 잘 안됩니다.. |
수한무님의 댓글

![]() |
@TheBeast배터리와 무화기가 직접만나는게아니고 보통 박스형 모드기 아날로그기기 도 끼는부분이 똥꼬가 나와있는게 있잖아요 그럴땐 무화기 플러스마이너스 같이 닿아도 안터지나요? |
TheBeast님의 댓글

|
@수한무박스형 모드기(가변모드) : 회로에 쇼트 방지 설계가 되어 있는 경우 쇼트 발생 시 회로 차단합니다. = 안터집니다.
아날로그기기(메커니컬모드) : 터집니다. 뻥! |
쪽빛내음님의 댓글

|
하이브리드 멕모드에서는 무화기 510커넥터 부분에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에 쇼트를 예방할 충분한 단차가 있어야 안전합니다.
그외 수동 또는 자동접점 방식의 510커넥터는 플러스극, 마이너스극이 쇼트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나 액상 또는 결로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
수한무님의 댓글

![]() |
@쪽빛내음무슨 말인지모르겠어요 그냥 배터리와무화기가 만나는 아날은 똥꼬 플러스마이너스같이 닿으면 폭발 배터리와 무화기가 직접만나지않고 접점부가 나와있는거는 플러스마이너스 같이 닿아도폭발하나요 안하나요 |
쪽빛내음님의 댓글

|
@수한무무화기 하단을 보면 일자나사 모양으로 생긴 플러스극과 나사산 있는 외부 마이너스극이 있는데,
쇼트 예방을 위해 이 두극의 높낮이 차이가 있어야 합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는 이 무화기 하단부가 배터리 플러스극에 직접 닿는 구조이기에 자칫하면 나사산이 있는 무화기 마이너스극이 배러리 플러스극과 맞닿는 상태 즉 쇼트가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수동 (예 - https://www.fasttech.com/p/2228800 ) 또는 자동접점 (예 - https://www.fasttech.com/products/3023/10011689/2095500) 은 구조적으로 예방되어 있습니다. |
수한무님의 댓글

![]() |
@쪽빛내음접점부가 나와있는건 다 플러스마이너스 같이다 도 된다는거죠? (배터리가 무화기 안닿는 아날기기) |
쪽빛내음님의 댓글

|
@수한무플러스 마이너스 같이 닿으면 쇼트입니다.
그리고 둘이 같이 닿아도 된다고 글 적지 않았습니다. |
TheBeast님의 댓글

|
@수한무플러스와 마이너스가 같이 닿아도 되는 기기는 세상에 없습니다. |
가인님의 댓글

|
주제 넘게 한말씀드립니다
님이 궁금한거 일일히 답변 해주시는 분에게 공격적인 댓글 보기 안좋습니다 잘모르시니 답답해서 그럴수있지만 예의는 지키시길 바랍니다 |
수한무님의 댓글

![]() |
@가인공격적이지않았습니다만.. 저는 궁금한거만 말햇습니다만 |
TheBeast님의 댓글

|
@TheBeast질문의 요점이 뭐에요?
질문해서 답변드렸는데 ~하면 써도된다는데요 라고 하실거면 뭐하러 질문하시나요? |
가인님의 댓글

|
@수한무글쎄요... 댓글들 보면 저만 그렇게 느끼는건 아닐듯합니다 |
수한무님의 댓글

![]() |
@TheBeast뭔말인지알았습니다 하이브리드킷이아닌거는 구조상 마이너스가 닿을수가없다는거군요. 겉에는 절연체가 있고 가운데만 나와있어서 구조상 무화기 채결시 플러스만 닿는다는거군요. |
수한무님의 댓글

![]() |
@TheBeast이해가 안됬어요 이거맞나요 |
TheBeast님의 댓글

|
댓글 몇개 스스로 지우셨네요?
공격적이지 않았고 궁금한거만 말했다는분이 왜..? ㅎ 앞으론 최소한의 예의는 갖추고 질문하세요. 여기있는분들, 님이 하는 질문에 답변할 의무가 있는 사람들 아닙니다. |
쪽빛내음님의 댓글

|
이해하셨다니 더 할 말은 없군요.
플러스, 마이너스가 닿으면 이렇게 됩니다. https://youtu.be/ZTzEHsJVZhA |
labnab님의 댓글

|
@쪽빛내음잘 봤습니다. 액 흐르고 끝인 줄 알았는데 마지막 폭죽쇼가 --;; |
쪽빛내음님의 댓글

|
@labnab본인의 안전이 최고입니다.
안전은 항시 대비해도 모자른 법이니까요. |
대한민국대표님의 댓글

|
@쪽빛내음후아... 무섭네요.
여름에 아날로그모드기 사용하려고 했는데;; 죄송한데 질문 하나만 드려도 될까요??ㅎㅎ 18650의 경우 +극과 -극이 모두 상단에 위치하나요?? 제가 글을 읽어도 이해가 잘 안가서요;; 제가 보기에는 510커넥터쪽에는 +극이 하단부에는 -극이 위치해서 딱히 접접이 될만한 부분은 없어보였는데 어떻게 해야 쇼트가 나는 건지 이해가 잘 안되요ㅠ 액상 누수로 인한 것은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데.. 그외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아서요..ㅠ |
쪽빛내음님의 댓글

|
@대한민국대표무화기 하단에 나사산 있는 몸통부가 마이너스극이잖아요.
이게 수동/자동접점 커넥터에서는 그리 문제되지 않아요. 커넥터 구조적으로 둘이 맞닿을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하이브리드 멕모드는 몸통과 스위치로 구성되는 단순한 구조.. 다시 말해 무화기와 멕모드의 연결부품이 없는 단지 멕모드 몸통 상부에 무화기 나사산과 같은 너트형식의 가공이 전부인 겁니다. 하이브리드 결합 시 무화기 똥꼬 (+극) 가 무화기 몸통 나사신 결합부 (-극) 와 높낮이 차이가 거의 없는 상태라면, 무화기 코일을 거치는 정상 회로와 배터리 +극과 -극을 직접 연결하는 쇼트상태 가 병렬로 구성됩니다. |
대한민국대표님의 댓글

|
@쪽빛내음아.!!!
완전 감사합니다.ㅎㅎ 하이브리드는 무화기 체결부위가 별도로 없어서 그부분에서 쇼트가 난다는 말씀이신거죠??ㅎㅎ 이제 이해했네요.ㅋㅋ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