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니코틴 농도 계산법
본문
니코틴 농도 계산 공식이
넣어야할 니코틴 총용량 = [목표 니코틴농도(MG) X 액상용량(ML)] / [니코틴농도(MG) - 목표 니코틴농도(MG)]
라고 적혀있습니다 이게 도대체 무슨말인지 영;;;
퓨어 니코틴 10ml를 PG90에 희석하면 100mg/ml라고 적혀있는데
저 공식에 어떤식으로 대입을해야되는지 영 감이 잡히질 않네요;;
추천 0
댓글 8건
잉모탈님의 댓글

|
희석 식 같은 경우는
999mg/1ml의 퓨어니코틴일 경우 90ml의 PG를 더해서 총 100미리로 희석해서 1ml당 농도를 계산하려면 999 X 10(퓨어니코틴 농도 X 퓨어니코틴 용량) /100(PG+퓨어니코틴 용량)입니다. 즉 9990나누기 100이니 1미리당 99.9mg의 농도가 나옵니다. 이를 대략적으로 100mg으로 표기합니다 ㅎㅎ |
잉모탈님의 댓글

|
@잉모탈100mg/1ml의 희석 니코틴을 만들었을 때에
100ml액상을 약 2mg/1ml의 농도 액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2(목표 니코틴) X 100(액상량) /102(목표 니코틴 양 + 액상 양) 으로 약 1.96mg/1ml의 농도 액상이 나옵니다. 같은 계산 방법으로 200ml의 액상에 5mg/1ml농도 맞추는 것 또한 5 X 200 / 205를 해주시면 액 4.87mg..즉 5mg의 근사값이 됩니다. |
Cyler님의 댓글

|
이게 헤깔릴수 있는게..
일단.. 퓨어 990mg / ml 라고 치고요. 1ml에 990mg의 니코틴이 있는겁니다. 그러니 대략 10ml짜리를 구입했다고 치면 9900mg의 총 니코틴인거죠. 엑셀표에 a셀2번줄 현재농도숫자 /b셀2번줄 현재용량숫자 /c셀2번줄 목표농도mg 숫자 d셀에 =(A2*B2/C2)-B2 입력 하시면 목표 농도에 맞는 필요한pg용량 나옵니다. 총량은 b셀용량 + pg용량 하면 전체 용량 이구요. 예로 현재농도 990 / 현재용량 10ml / 목표농도 100mg = 89ml pg용량 나오고 희석시 전체량은 99ml(100mg/ml)입니다. |
흑곰팅님의 댓글

|
제가 알고 있는 계산법은
액상총용량(ml) * 목표 니코틴 농도(mg) / 희석 니코틴(mg) = 넣어야할 니코틴 양 100mg 희석 니코틴이 있고 100ml용량을 만든다고 하였을때 목표니코틴을 3mg로 잡으면. 100 * 3 = 300 300 / 100 = 3ml 이렇게 알고있었는데.. 이건 잘못된건가요 ㄷㄷㄷㄷ |
Cyler님의 댓글

|
@흑곰팅100mg/ml의 니코틴으로
3mg/ml 짜리 100ml를 만드신다면 vg+pg+향료등등 97ml + 100mg/ml 니코틴 3ml 넣으시면 됩니다. |
흑곰팅님의 댓글

|
@Cyler잘못알고 있던것은 아니군요 ㅎㅎ |
영작이름님의 댓글

![]() |
댓글 달아주신분들 다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이제야 이해가 좀 되네요 ㅎㅎㅎㅎ |
천주황님의 댓글

|
@영작이름저도 헷갈렷던 사람으로써 다행이라고 생각되네요.. 자꾸 저 공식에 대입해보고 직접계산해보면서 인터넷에 희석하는 예시 글들 보면 이해가 더 빠르져.. 더 좋은건 계산 실수해서 니코틴 작렬로 만든 액상 한번 먹어보는 경험을 하면 됩니다.. ㅎㅎ 즐베이핑 하십셔 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