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문자 질문드립니다 ㅎㅎ
본문
안녕하세요 김장 순서가 궁금해서 질게에 글을 올립니다 (꾸벅)
현재 준비물은 무니코틴액상 100ml (향료30ml +PG/VG합성액 70ml) - 따로따로 가지고 있습니당. (섞기전임..)
희석니코틴(12mg/ml) - 40ml (퓨어니코틴 10ml + PG 30ml) -따로따로 가지고있습니당. (섞기전임..)
무니코틴액상 20ml당 희석니코틴을 1ml 넣으라고 하던데
저기 위에 100ml 짜리 액상에 희석니코틴 5ml넣어서 총량 105ml짜리 니코틴액상을 만들면 되는건가요..?
2번질문은// 숙성기간은 최소 2주? 정도 잡으라고 하시던데
따로가지고있는 향료와 PG/VG합성액으로 무니코틴액상을 먼저 만들어 숙성을 2주시키는건가요
아니면 니코틴까지 다 넣은 뒤 2주 숙성을 시키는 건가요..?
마지막질문..! ㅎㅎㅎㅎ// 마스크랑 장갑은 니코틴 주문할때 같이 주문했습니당.
또 필요한 준비물이 있을까요.. ㅎㅎ
추천 0
댓글 2건
흐헤히후님의 댓글

|
1. 일단 퓨어니코틴 10ml랑 pg 30ml를 섞으시면 희석니코틴의 농도는 12mg이 아니라 250mg이 됩니다.
무니코틴액상 20ml당 희석니코틴 1ml를 넣으라는 말을 어디서 들으셨는지는 몰라도 지금 가지고계신걸로 100ml액상+5ml의 희석니코틴을 넣으시면 250*5/105 = 12mg이 조금 안되게 나오네요 저도 1453같은 기성기기를 쓸때는 12mg으로 먹긴했지만...모드기기로 넘어오면서 니코틴을 많이 줄였습니다. 작성자분께서 사용하시는 무화기는 뭔지, 폐호흡을 하시는지, 입호흡을 하시는지, 평소에 농도는 몇으로 맞춰서 드셨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자세하게 말씀은 못드리겠습니다만, 저는 입호흡은 카라플이나 노틸을 쓰며 6mg에 맞춰서 먹고, 폐호흡은 크탱과 독거남을 쓰며 2mg에 맞춰서 먹습니다. 질게에서 검색하셔서 다른분들이 어떻게 드시는지를 참고하셔서 니코틴은 넣으시면 될듯합니다. 2. 중탕과 교반을 한다는 전제하에 최소 2주를 잡습니다만... 향료에 따라서 한달을 잡는것도 있습니다. 저는 귀찮아서 모두 한달을 잡고 김장합니다. 무니코틴액상을 먼저 만든다음에 숙성하시고, 20~30ml정도 소분해서 거기에 희석니코틴을 첨가하신다음에 드시는걸 추천합니다. 숙성중에 니코틴이 변질될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3. 니코틴 희석하는데는 마스크랑 장갑만 있으면 희석니코틴을 담을 용기 외에는 딱히 필요한건 없습니다만, 희석니코틴을 액상에 정확한 양을 측정하여 넣기 위해서 저는 주사기를 쓰고있습니다. 저울을 쓰시거나 방울수로 계산하시는분도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저는 희석니코틴의 정확한 비중을 모르겠어서 저울은 안쓰고, 방울도 용기마다 방울의 크기가 다르기때문에 정확한 양을 넣기에는 주사기가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
강뿌잉님의 댓글

![]() |
자세하고 친절한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꾸벅)
많은 도움이 됐어요! 추가질문 하나 더 드리자면 무니코틴액상을 만들고 숙성할 땐 상온에서 하는건가요 냉장보관하는 건가요..? 그리고 숙성 후엔 희석니코틴을 넣고 바로 사용하나요 아니면 따로 숙성기간이 더 필요한가요..? 그리고 다 만들어진 액상을 무화기에 넣고 남은 액상들은 어떻게 보관하는게 좋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