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서 병렬연결 질문합니다.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박서 병렬연결 질문합니다.

페이지 정보

massiv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98.192) 작성일 님이 2016년 05월 29일 05시 06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969 읽음

본문

32793edec2fb563ab822d269ed548a73_1464465868_8614.jpg

[사진은 현빈님의 게시글에 올라왔던 사진입니다]

부가적으로 yihi 200w v2 칩인데요 병렬연결하면 100와트로 떨어지나요? 100와트라면 충분할꺼 같아서요


전기선은 동봉된 두개로 충분한가요? 사진에는 길어보여서 따로 구매해야하나요?


저 방식대로 병렬연결한다면 배터리는 어떻게 넣어야 하나요? + - 가 위아래 어느쪽인지...



전기쪽에 무지해서 질문이 많네요 ㅠ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14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지금 상태가 병렬 상태인듯 보이는데요? 대신 배터리를 꼽는건 직렬처럼 서로 반대로 꼽으셔야할겁니다.
흥미롭게 만들어졌군요.
왼쪽 배터리는 +가 위로 가게 넣고 오른쪽 배터리는 -가 위로 가게 넣으시면 되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그리고 sx같은 직병렬 전환가능 보드에서 배터리 두개를 쓸때 고와트라는 장점을 가진 직렬방식을 버리고 병렬로 가는건 장점이 없어요. 병렬이 배터리 용량이 두배라고 알고 계시겠지만 가변모드에서 직렬과 병렬은 사용시간 면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습니다.
직렬방식에 비해 전류량을 두배를 끌어다 쓰거든요.
한가지 생각해낼수 있는 장점인 배터리 병렬구성으로 인한 배터리 내부저항의 감소도 더 높은 전류량으로 인한 기기에서의 손실로 상쇄가 되고요. 오히려 전류량이 높은 병렬이 기기의 내구성이나 안전에도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꼼탱이님의 댓글

꼼탱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141.56)
회원아이콘 @eesh호잉?
가변모드에서 직렬과 병렬이 사용시간 면에서 별다른 차이가 없어요?
아니던데..
저도 고와트 필요없고 해서 오래 쓰려고 일부러 SX350J 병렬로 바꾸었는데..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꼼탱이만약 출력와트를 30와트로 맞춰서 사용을 할때 보통 가변기기들이 컨버터 자체의 5프로 조금 넘는 손실과 기기 자체의 부품에 의한 손실 합해서 대략 평균 10프로 정도 손실이 생겨요. 그럼 33와트 정도의 파워가 필요합니다. 33와트의 파워를 배터리에서 전달해줘야하는거죠. 배터리 한발이나 병렬 두발은 배터리의 전압을 3.7볼트라고 가정할때 대략 8.9암페어 정도의 전류가 필요해요.병렬이면 배터리 하나 당 4.45암페어를 끌어내고 있는거죠. 그럼 이 세팅을 직렬에서 본다면 배터리가 직렬이니 7.4볼트로 4.56암페어 정도를 끌어다 씁니다. 직렬이니 배터리 둘 다 같은 전류량을 뽑아내게 되죠. 별 차이 없어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꼼탱이컨버터의 원리를 아신다면 이해하기 쉬울거에요. 입력와트=출력와트+손실 입니다. 손실이 무시할 정도로 작다면 입력와트=출력와트가 되죠. 30와트를 내기 위해선 배터리도 30와트를 내줘야한다는 뜻이죠. W=V*I니 전압이 두배가 된다면 전류는 반이 됩니다. 그런데 병렬회로는 어느 곳이나 전압이 같아요. 전류의 양은 달라질수 있죠. 반면에 직렬회로는 어느 곳이나 전류의 양이 같아요. 대신 전압이 다릅니다. 병렬구성이나 직렬구성이나 다 배터리 하나 당 평균 4.5암페어의 전류가 흘러나오게 됩니다.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그거야 사람마다 취향에 관련된거니 자신이 맘에 드는걸 선택하시겠죠^^ 직렬병렬에 관해 좀 더 얘기해보자면 병렬은 입력전압이 낮다보니 높은 와트를 만들기 위해 전류량을 높이게 되요. 직렬에 비해 두배죠. 물론 배터리 자체에서는 두 배터리에서 나눠서 뿜어내게 되니 그리 큰 문제는 안됩니다. 만약 30암페어의 전류가 필요한 상황에서도 배터리 하나 당 15암페어씩만 내주면 되기 때문이죠. 그러나 그 이후에 문제가 될 수 있어요. 두 배터리의 전류가 합쳐진 후에는 온전히 30암페어의 전류가 PCB와 부품들을 지나게 되죠. 30암페어라는 전류량은 적지 않은 전류량이거든요. 전류량이 높다는건 가변기의 부품을 지날때 그 부품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많아지는걸 뜻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면 배터리 두발 들어가는 직렬 모드의 경우 200와트라는 미친 와트의 제품도 나오곤해요. 그런데 병렬구성으로 된 모드는 그렇게 큰 와트의 제품이 안나옵니다. 대략 100~120와트의 제품들이 나오고 있죠. 두개 다 배터리 2발을 사용하고 두 배터리의 총 와트는 같은데 최고출력에서 차이가 나게 되죠. 효율적인 면에서 직렬모드가 좀 나은 면이 있어요.

massive님의 댓글

massiv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98.192)
회원아이콘 @eesh답변 감사합니다 저사진은 병렬연결이라고 올라온 사진입니다. 1.2.3번 모두 제가 써놓은 글이 맞는 말인가요? 근데 흥미롭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정석적인 연결은 아닌가요? 200W기기인데 200와트까지 쓸 일이 없을꺼 같아서 병렬로 가려고 하거든요 직렬이 기기를 안전하고 오래쓰기에 더 좋을까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massive일반적으로 병렬은 배터리의 방향을 같게 놓죠. 왼쪽이 +가 위로 가면 오른쪽도 위로 가게 놓습니다. 같은 극을 이어줘야 하기 때문이죠. 항상 작업을 할때 선은 없는게 가장 좋고 그 다음이 짧은게 좋습니다. 저런 식으로 엇갈려놓으면 선이 길어지죠. 1,2,3번 다 맞는 말이에요. 3번 부분은 4가닥을 이어서 납땜하고 수축튜브로 마무리한거 같습니다. -극은 다 이어져도 상관이 없습니다. 어떤 경로를 통하던 배터리의 -극에 이어지기만 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가변기기에 쓰이는 보드는 선이 4가닥이 쓰입니다. 보드에서 510커넥터로 들어가는 + -극 두개, 배터리에서 보드로 들어가는 + -극 두개죠. 그런데 -극의 선은 어떻게 이어도 상관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에서 직접 510커넥터로 들어가도 되고 배터리에서 보드로 들어간 선을 거쳐서 바로 510에 이어도 됩니다. 저 사진의 경우처럼 다 묶어서 이어도 상관이 없죠.
직렬 병렬 문제는 꼼탱이님에게 말씀 드린 대로 취향에 관련된 문제 같아요. 고와트 안쓰고 병렬로 쓰고 싶으시다는데 "그럼 안돼!"라고 할 만한 문제가 아니죠^^;; 그런데 만약 저에게 어떤 선택을 할지 물어보신다면 전 무조건 직렬입니다. 앞으로 어떤 상황이 올지 모르는데 처음부터 와트 봉인을 하지는 않을거에요.

massive님의 댓글

massiv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98.192)
회원아이콘 @eesh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위에 방법 이외에 점프 하지않고 병렬로 연결 하려면 선 정리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리고 이동영상이 직렬로 연결한거 맞나요? 따라해도 괜찮은지 여쭈어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6uqtzWVwIg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28)
회원아이콘 @massive직렬연결이네요. 직렬은 선이 3개가 쓰이고 병렬은 4개가 쓰입니다. 직렬이나 병렬이나 + -선 두가닥은 공통이고 직렬은 +와 -를 잇는 선 한개, 병렬은 +와 + , -와 -를 잇는 선 두개가 들어가게 되죠. 병렬 작업을 하고 싶으시다면 위 사진 기준 좌상 우상 두 배터리컨택트를 이어주고 이어진 상태에서 빨간선처럼 보드의 +구멍으로 들어가면 됩니다. -극은 좌하와 우하의 배터리 컨택트를 이어주고 선 두개가 하나는 보드, 하나는 510커넥터의 링에 이어지면 됩니다. 아니면 동영상처럼 510링에 선 두개를 땜질해서 하나는 보드로 잇고 하나는 컨택트로 이으면 되겠네요.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311건 8131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3581 니코틴 농도 계산이요 ㅜㅜ 댓글+2 홍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457  0
23580 기성코일 폐호흡 무화기! 댓글+7 키드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604  0
23579 이제 슬슬 주력액상을 정해도 될까요? 댓글+4 신지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523  0
23578 오링세트 구매해보신분? 메카닉유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455  0
23577 아이스틱 베이직 무화기 선택? 댓글+9 말보로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869  0
23576 지금 페텍 쿠폰 있나요? 댓글+1 eBayProfil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363  0
23575 서펜트 미니 경통 구입 3일만에 해먹었습니다 댓글+6 늘입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526  0
23574 시겔 213 + 그리핀 25에 몇옴으로 베이핑 해야 할까요? 댓글+5 강테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477  0
23573 RDTA 추천 하나만 좀 해주세요.. 댓글+10 정빠돌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888  0
23572 하이엔드 아날로그 모드가 뭐가있을까요 ? 댓글+7 폭시타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680  0
23571 하이네 망고스무디 댓글+4 한도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776  1
23570 벨로시티 RDA, RDTA 써보신분 계신가요? 댓글+5 체꽃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603  0
23569 서펜트미니 사용자분들께 급질문 댓글+5 우다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574  0
23568 아이스틱 피코 스타터킷 입문 했습니다. 댓글+10 인기글 기공탱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1314  0
23567 담배를 피면 커피마신것처럼 잠이안옵니다 댓글+19 설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652  0
23566 페텍 환불관련질문 댓글+9 첨부파일 lsjin97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482  0
23565 서펜트 미니 입호흡 가능하겠죠..?? 댓글+12 인기글 메쏘드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1494  0
23564 그리핀25 유리경통 사망했네요 따로 판매처가 있나요? 댓글+1 니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432  0
23563 파이어버드 유리경통 댓글+2 웅이아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358  0
23562 듀얼 무화기 추천부탁드립니다.. 댓글+18 신림살아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629  0
23561 안녕하세요. 댓글+1 마린인형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9 360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