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만 더 질문할게욥!
본문
저는 리빌드영상은 까시나무님것도 보고 버튼앤스위치님꺼도 다 봐서 리빌드가 궁금한게 아니구요~ 코일을 질문했었습니다. 예를들면 듀얼은 싱글보다 뭐가 더좋고 트위스트는 뭐가더좋고 그런 지식을 볼수있는 자료가 있나 질문 드렸었는데 다들 리빌드는 여기서 보시면돼요~ 그래서.. 쪼끔 당황스러웟어요..
추천 0
댓글 9건
꼼탱이님의 댓글

|
에궁~
저는 댓글을 안달었었지만 핀트가 안맞었었군요.. 근데.. 싱글과 듀얼.. 그리고 트위스트 클랩톤.. 이게 좋다 나쁘다를 따지려면 예를들어 무화량 측정기라던지, 액상 맛 감정사라던지.. 그러한 분들이 가지고 나온 객관적 자료가 있어야 비교가 가능하고 자료가 존재 할텐데요 순전히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이렇게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면서 자기한테 젤 맞는걸 찾아가는 방식이라 생각한다면 이런걸 단순히 비교할 수 있는 자료는 만들수도 찾아볼수도 없을거 같아요 |
초보뿌뿌뿜님의 댓글

|
@꼼탱이아.. 그렇군요.. 그래서 아무리 찾아도 자료가 없었군요.. 니코틴계산기도 있고 옴에따른 와트계산기도 있는데
코일관련해서는 당최 무슨말인지 모르겟어서 찾아봣는데 그게 되게 주관적인 거였군요 감사합니다 |
꼼탱이님의 댓글

|
@초보뿌뿌뿜하나씩 경험해 보시면서 가장 본인에게 맞는 코일말이법을 찾아내시면 되요.. |
초보뿌뿌뿜님의 댓글

|
@꼼탱이감사합니다~ |
꼼탱이님의 댓글

|
@초보뿌뿌뿜자게나 포게에 보시면 선하네아빠님이 코일을 엄청 잘 말고 계세요
한 구경해 보시면 좋을꺼예요 |
목겨자님의 댓글

|
싱글 듀얼 등등등
무화량 차이 맛 진하기 차이 고와트로 얼마나 많은 액상을 밀어주는가의 차이 |
절제님의 댓글

|
|
nicname님의 댓글

|
그게.. 개인마다 입맛이 다르기에 어떤분은 칸탈 하나로 좋다고 하시는분도 있고 패러럴이 좋다고 하시는분도 있고 클랩튼리 좋다고 하시는분도 있으셔서... 개인적인거라 자료가 명확하게 나와있지 않을겁니다ㅠ 직접 이런저런 빌드를 해보시고 자기에게 맞는 코일을 만드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ㅠ |
우다리님의 댓글

|
코일을 감는 와이어의 단면적이 넓어질수록 전기가 더 잘 통합니다 -> 전기저항 낮아짐
와이어의 전체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기가 잘 안 통합니다 -> 전기저항 높아짐 코일을 감은 권선수가 늘어날수록 전기가 잘 안 통합니다 -> 전기저항 높아짐 듀얼빌드로 양쪽에 감거나, 두가닥으로 패러랠코일을 만들거나, 또는 두가닥을 꼰 트위스트와이어로 코일을 만들면 전기가 두배 잘 통합니다 -> 전기저항 절반으로 낮아짐 굵은 단선이든, 패러랠이든 트위스트든, 좌우지간 와이어의 단면적이 넓어지면 그에 비례해서 질량이 늘어나는데, 그만큼 잘 안 달궈집니다 -> 더 높은 전력 필요 단면적이 같은 경우, 예를 들어 22게이지 단선과 25게이지 패러랠이 있을 경우, 후자의 표면적이 더 넓어서 같은 파워를 밀어넣었을 때 주스를 좀더 잘 기화시킵니다 -> 무화량 늘어남 만들어진걸 사서 쓰는게 아닐 경우, 트위스트는 패러랠에 비해 더 번거롭지만 같은 권선수로 말았을 때 자리를 덜 차지해서 더 많이 감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3~4바퀴 정도로 적게 말 경우 솜과의 접촉면적 측면에서 패러랠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클랩튼은 기타리스트 에릭클랩튼의 이름을 딴 와이어라고 하는데, 26게이지 정도의 굵은 와이어가 심선으로 있고, 30게이지나 그보다 가늘은 와이어가 그 굵은 와이어의 표면에 뚤뚤뚤 감겨있는 형태입니다 클랩튼의 특징은 비슷한 단면적의 단선이나 트위스트 등에 비해 표면적이 엄청 커서 무화량과 미세한 맛의 표현에 유리하다고 하는데, 무화량은 차이가 확 나지만 저는 맛은 아직 잘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