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316 클랩튼 써보신분?? + 온도조절 초보질문
본문
패텍에 주문 넣으려고 이것저것 보던중...
http://www.fasttech.com/products/4089903
이런걸 보게되었습니다.
온도조절을 아예 써보지 않아서 어떤 느낌인지 사용법은 많이 다른지도 모르는 상태이구요.
1. 니켈 티타늄 스테인리스 세종류가 있는것 같은데 각 와이어마다 다른 점이 무엇인지?
2. ipv5사용중인데 SS304가 아니라 SS316을 사용해도 되는것인지?
3. SS316 클랩튼 사용시 기존 단일 SS316와이어와 다른점은 무엇인지?
4. 온도조절 기능 사용시 주의할 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추천 0
댓글 2건
yoshiking님의 댓글

|
1. 기본 저항도 다르고,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가 다 다르고, 강도 등등 다 다릅니다. 온도 조절에 제일 정확하게 반응하는건 니켈->티타->스뎅. 빌드 편리함은 스뎅->티타->니켈. 깔끔한 맛은 티타=?스뎅->니켈. 하지만 니켈은 고온에서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얘기가 있어서 비추천드립니다.
2. Ss316이면 TCR모드를 사용합니다. 수치가 아마 0.00092였던걸로 기억합니다 3. 여타 다른 빅 코일과 마찬가지로 표면적이 넓어 무화량이 높습니다. 하지만 가열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잘 밀어주는 가변기가 필요합니다. 클랩튼의 큰 장점은 코일 자체가 솜 같은 위킹이 됩니다. 가까이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액상을 코일에 떨어터리면 엄청난 양의 액상을 흡수합니다. 감겨진 와이어 틈사이로 표면장력에 의해서 엄청난 양의 액상을 저장합니다. 따라서 일반 코일보다 무화량이 높고 맛도 잘 올려줍니다. 다만... 확실히 못밀어주면 액상 튐이 좀 많은거 같습니다 4. 여러 온도와 와트(joule) 세팅으로 자신에게 맞는 세팅 찾으시길 바랍니다. 이상, 빅코일은 triple 트위스트, 패래럴, 버티컬, 클랩튼, 퓨즈드 클랩튼 정도 사용한 초보의 팁이였습니다. 온도조절은 ss써봤네요... 제가 아는 부분들은 대부분 저도 공부하면서 배운거라.. 다른 텝들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qrpp님의 댓글

|
@yoshiking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궁금한 점이 해소되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