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입문이라 질문을 계속올리게되네요 ㅠㅠ
본문
다름이 아니라 궁금점이 리빌드시 코일감을때 감는수만큼 옴이 증가하는건 알겠는데요
제가 입호흡 카미삼을 할것이고 코일은 스텐코일 28ga로 하라고 하더라고 그리고 코일감는 봉으로 말때
굵기를 25짜리로 하라고 하던데 보니까 20, 25, 30 이렇게 세종류가 있던데 코일감을때 굵기는
무슨차이가 있나요?
추천 0
댓글 7건
yoshiking님의 댓글

|
위 코일 계산기 보이시죠? 28게이지에 동일한 회전수에 코일봉 외경만 바꿔보시고 비교해보세요. 이런검 그냥 답을 드리는 것보다 직접 해보시는게 더 좋을거 같아서.. |
깁슨님의 댓글

![]() |
@yoshiking넵 감사합니다 |
yoshiking님의 댓글

|
@깁슨흠.. 이베이프 계산기로는 좀 이해하기 함들 수도 있네요... 맨날 스팀엔진만 쓰다보니...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동일 와이어, 동일 바퀴수일 경우 봉 굵기가 굵을수록 저항이 올라갑니다 |
깁슨님의 댓글

![]() |
@yoshiking넵 계산기 해보니 대강은 감이 잡히네요 ㅎㅎ 그런데 봉굵기차이에 따라 코일이 감기는 양이 달라지는건데 많이 감김과 적게감김의 무슨차이 때문인가요? ㅠㅠ |
이선생님님의 댓글

|
가이드봉의 굵기가 굵어지면 같은 6바퀴일지라도 감아지는 와이어의 길이가 더 길어져서 저항이 더 높게 잡힙니다..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아 사족을 덧붙이자면 와이어가 두꺼운 게이지 (낮은 게이지) 일수록 저항이 낮아집니다 (반대로 얇을수록 높은 저항) |
eesh님의 댓글

![]() |
저항은 굵기에 반비례하고 길이에 비례하죠. 굵을수록 저항은 내려가고 길수록 저항은 올라갑니다. 길이에 영향을 주는건 감는 횟수와 가이드봉의 지름(보통 양키들은 ID라고 표현해요. Inner Dimension)이에요. 보통 저항을 낮추려고 할때 감는 횟수를 줄이던지 ID를 줄이면 저항은 낮아집니다. 그런데 이 감는 횟수와 ID를 줄이면 윅(솜)과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요.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를 못하면 열의 과다한 집중으로 탄맛을 느끼게 되죠. 그리고 ID가 작으면 솜을 끼우기도 힘들어요. 저같은 경우 코일의 감는 횟수는 적어도 5바퀴 이상은 유지하는 편이고 ID도 최소 2.5미리는 넘기는 편이죠(손이 곰손이라..). 리빌드할 수 있는 공간인 리빌드덱이 허용하는 한 3미리까지도 활용합니다. 이렇게 코일의 길이에 영향을 주는 감는 횟수와 ID는 어느 정도 리빌드 하는 사람의 기준에 맞아야 하기에 저항을 더 낮추기 위해서는 코일을 더 굵은걸 찾게 되죠...
이런 식으로 저항을 맞춰가게 됩니다. 처음엔 남들이 추천해주는 세팅으로 연습좀 하시고 익숙해지면 자신만의 세팅을 찾아보는 데 도움이 될거에요. |
깁슨님의 댓글

![]() |
@eesh아아~~ 정말감사합니다~~ 완전히 이해가됬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