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니컬 모드 질문 드립니다...
본문
요즘 멕모드에 꼿혀서 매일 구글링하는중입니다..
가변기기 자작이야 칩사서 케이스에 넣고 납땜만 하면 끝이지만,
멕모드는 와..엄청나게 복잡하네요.
현자타임이 멕모드에의해 끝날줄이야;;
각설하고, 일반적으로 아날은 배터리가 닳수록 전압도 같이 떨어지는데
이걸 방지해주는 부품이 따로 있나요?
볼트미터가 볼트를 설정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정전압을 유지해주는 역할도 해주는지요??
추천 0
댓글 17건
개얼굴님의 댓글

|
|
인쵸리님의 댓글

|
@개얼굴그렇겠죠..? 테슬라 인베이더는 어떤가요?
배터리따라 출력도 저하되나요?? |
개얼굴님의 댓글

|
@인쵸리아니요. 배터리랑 상관없이 설정볼트로 쭉쭉갑니다!! |
인쵸리님의 댓글

|
@개얼굴흠..그렇군요..어떤 부품을 사용해야 정전압으로 쭉쭉갈런지..ㅠㅠ |
개얼굴님의 댓글

|
@인쵸리원형을 원하시면.. 프로베리p3가있는데...
비싸기도하고.. 고와트는 사용을 못합니다. |
eesh님의 댓글

![]() |
왠만하면 sx나 dna같은 보드 사서 만드시는게 나아요. 예전에야 두발직렬 기기가 그다지 많지 않을때는 경쟁력이랄까 그런게 있었는데 요즘은 워낙에 기기들이 싸게 나와서 그다지 메리트가 없습니다. 그리고 스위칭 컨버터들이 전담에만 쓰이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전담 전용 컨버터처럼 마구잡이로 최고출력와트를 늘리고 그러질 않아요. 철저히 계산된 안전범위 내에서만 제품이 나옵니다.
그리고 제작도 전담전용 보드처럼 쉬운게 아니에요. 단순히 와이어가이드만 보고 따라 만든다면 그리 어려울 것도 없지만 그 부품이 왜 들어가야 하는지 어떤 작동을 하는지 알아가면서 제작을 한다 치면 상당히 어려운 공부가 됩니다. 모드 자작의 가장 기본인 언레귤 모드를 만드는 것도 모스팻의 원리부터 공부하면 꽤 시간좀 들죠. "꼭 그런것까지 공부해가면서 만들어야하나?" 라고 생각이 들지도 모르지만 사람이 웃긴게 만들다보면 궁금해져요^^;; 그렇게 고생해가면서 만들어버리면 이제 컨버터를 이용한 가변모드에 관심이 가기 시작합니다. 그럼 또 공부를 시작하게되요. 이게 제가 모드제작을 하게 된 동기입니다 ㅡ.ㅡ;; |
eesh님의 댓글

![]() |
테슬라 인베이더에 쓰인 보드는 전형적인 벅컨버터에요. 감압방식이죠. 테슬라에서 자체제작한 보드입니다. 따로 팔지는 않을거에요.스팩이 좀 과한 면이 있는데 어쨌든 어느정도 받쳐주는 모양입니다. 대신 소니배터리를 강력히 권장한다더군요.
그래도 어찌됐던 간에 어떤 컨버터도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서 벗어날수는 없어요. 배터리 자체의 파워 이상을 낼수 있는 제품은 없습니다. |
개얼굴님의 댓글

|
제작기기는 언제공개되는겁니까!? |
eesh님의 댓글

![]() |
@개얼굴무슨 제작기기 말씀하시는겁니까!? |
개얼굴님의 댓글

|
|
eesh님의 댓글

![]() |
@개얼굴요즘은 모드 제작 잘 안하는데요 ㅡ.ㅡ 인두질만 하면 눈이 침침해져서 잘 안만듭니다. 예~전에 한두번 사진을 올리긴 했는데 어찌된 이유인지 나중에 검색해보니 게시물이 다 없어졌길래 그후로는 게시물 작성 안해요. 댓글질만 하는 이유입니다.
아! 얼마 전에 smart PWM개발자 페이스북에서 PWM보드 giveaway에 당첨이 됐었네요. 페북에 완성품 사진 올리는게 당첨된 자의 도리같아서 만들기는 할거에요. 그때 사진 올려보죠 ㅡ.ㅡ;; |
개얼굴님의 댓글

|
|
eesh님의 댓글

![]() |
@개얼굴답글 갯수 제한 있나봐요 ㅎㅎ 아..대강 만들려고 했는데 개얼굴님의 저 이모티콘을 보니 신경써서 만들어야겠는데요.ㅎㅎㅎ 보는 순간 그네타면서 웃는 개가 뇌리에 딱!
모드제작 공부도 오래전에 끝났고 만든 것들도 고장도 잘 안나다보니 의욕상실인가봐요. 요즘은 어머니 로션만들기나 아로마향초 만드는데 주력하네요..전자저울이나 교반 중탕이 능해지니 수월하더군요. 으하하하하 |
개얼굴님의 댓글

|
|
eesh님의 댓글

![]() |
으악 개님때문에 이야기가 딴데로 샜네요.
볼트미터는 볼트설정이나 유지랑은 관련이 없어요. 그냥 전압만 재서 표시해주는 기능만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네메시스같은 메크모드에 + - 부분에 볼트미터를 달아도 기능상의 차이는 생기지 않아요. 그냥 전압만 보여줍니다. 전압의 설정이나 유지는 컨버터가 담당하는 부분입니다. 컨버터가 달리게 되면 더이상 메크(언레귤)모드라고 부를수가 없어요. |
인쵸리님의 댓글

|
@eesh와..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처음엔 massive-mods에서 만든 멕모드들을 들여다 보다가(얘네는 메카니컬이긴 한데 하몬드 안쪽 바닥에 기판을 깔아놓고 만드네요?;;) 하나하나 검색하면서 알아가고는 있는데.. 진짜 전기쪽 지식이 없으면 만들기가 무지무지 힘들겠네요 모스펫이니..듀얼모스펫이니 컨버터니 pwm,15k resist..n channel.....뭔소린지 하나도 모르겠네요ㅋㅋ 정말 안전하게 만들려면 작정하고 공부해야겠어요 어제 다른 글에서 말씀하신 smart pwm 찾아봤더니 AXmod에서 하나 만들던데..정말 궁금하네요. 난중에 제작하시고 꼭 후기 올려주세요ㅎㅎ |
eesh님의 댓글

![]() |
@인쵸리massive-mods 검색해보니 PCB쓴거네요. 언레귤모드이긴 한데 전선 대신 PCB를 이용한 겁니다. 공간절약과 메인스위치(슬라이드 스위치) 자리잡는데 용이해요. 제작을 하다보면 메인스위치 고정하는게 애매할때가 많습니다. 언레귤모드는 단순해서 굳이 PCB안써도 됩니다.
모스팻은 파이어스위치처럼 전류의 단락을 시켜주는 부품이에요. 모스팻 없이 파이어 스위치를 전선의 중간에 연결해서 직접 단락을 시켜주는 경우 전류의 양이 클때 스위치가 녹아버리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스위치 누를때 생기는 스파크로 인해 스위치 수명이 빨리 줄게 됩니다. 그래서 스위치 대신 모스팻을 써서 전류의 단락을 대신하게 해요. 대신 파이어 스위치는 모스팻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스위치로는 큰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택트스위치 같은 정격이 낮고 작은 스위치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죠. 모스팻은 P채널 모스팻과 N채널 모스팻으로 나뉘는데 P채널은 하이사이드(쉽게 말하면 +극쪽)에 위치하고 N채널은 로우사이드(-극쪽)에 위치합니다. 배선이 좀 달라요. 원리만 알면 배선 차이는 쉽게 구분됩니다. 큰 전류가 흐르게 되는 소스핀과 드레인핀의 연결통로를 게이트핀이 제어하게 되는데 전압차를 기반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큰 전류가 흐르는 전압의 반대전압(+면 -, -면 +)을 게이트핀에 걸게 됩니다. 이건 설명하자면 좀 길어서 여기서 중략. ㅎㅎㅎㅎ 듀얼 모스팻은 모스팻을 두개 겹쳐서 사용하는 거에요. 모스팻에도 자체적인 저항이 있기 때문에 큰 전류가 흐를때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하게 됩니다. 모스팻은 열이 좀 많이 나는 부품이에요. 허용와트보다 더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면 방열판을 대기도 합니다. 모스팻을 병렬구조로 두개를 연결하면 저항이 반이 되고 전류의 양도 두개가 분산해서 담당하기 때문에 효율이 높아지죠. 병렬퓨즈와 병렬모스팻은 모더들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저항을 줄일수록 출력이 높아지는 메크모드라 좀 중요해요. 컨버터나 PWM은 근래 제가 여기저기 쓴 글이 많아서 패스 15k 레지스터는 모스팻의 소스핀과 게이트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달아줘요.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게이트부분이 충전이 되면서 통로가 생기는 방식인데 스위치를 띠었을때 게이트부분에 충전된 걸 소스핀을 통해 방전시키기 위해 달아줍니다. 거기다 Off때 전압을 확정시켜주는 풀업, 풀다운(P채널이냐 N채널이냐에 따라 명칭이 다름) 저항의 역할을 해요. 이게 없으면 오토파이어 확정! ㅡ.ㅡ;; 이것도 공부좀 많이 해야하는 부분이므로 패스할게요 ㅎㅎ 그래도 대략 공부해야 하는 부분은 거의 체크해 오셨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