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저울 니코틴 계산법
본문
안녕하세요 전자저울로 니코틴 계산법을 해볼려고하는데
검색해보니깐 순수 물 (4도) 는 1ml 당 1g 으로 같다 하던데
즉 1ml =1g 이란 소리인데 저는 액상제조로 전자저울을 쓸려고하는게 아니라 니코틴 계산만 할려고 하거든요 (주사기로 뽑는게 귀찮아서..ㅎㅎ)
니코틴 250 베이스, 니코틴 7mg/ml 를 액상 30ml 에 넣고싶다면 0.84 ml 가 나오는데 그럼 저울로 0.8 을 넣으면 7mg가 되는건가요??
( 액상 30ml + 공병 무게 = 0 으로 잡고 액상을 떨궈서 0.8을 넣는다는 가정하에 )
오랜만에 익숙치않은 공부좀 할려고하니 너무 어렵네요 ㅠㅠ
PG 와 니코틴은 순수 물도 아니고 온도도 틀리고해서 많이 어렵네요 흔히들 냉동보관하시고 사용하니 온도도 틀리테고요
도와주세요~~!!
추천 0
댓글 17건
스트님의 댓글

|
저울로 0.8g 맞습니다. |
꼬당님의 댓글

|
@스트감사합니다 ㅎㅎㅎ
만약 저 계산이 맞다면 주사기보다 저울이 엄청 쉬운거네요 !! |
스트님의 댓글

|
@꼬당ㅋㅋㅋ 저는 그냥 1ml짜리 주사기 씁니다 ㅋㅋㅋ |
꼬당님의 댓글

|
@스트근데 어떤분은 ml 와 g 이 완전 틀리다고 하시던데 ㅠㅠ..
그냥 그런거 계산안하고 PG 니코틴도 1ml =1g 보면 되는건가요 ?? |
스트님의 댓글

|
@꼬당물 1L의 무게는 1Kg입니다.
물 1000ml이 1000g 이니 1ml은 1g겠죠 물이 아닌 PG와 니코틴이니 조금 무게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불안하시면 공병 무게를 제외한 니코틴의 무게를 측정해보시죠 10ml 니코틴이 몇 그람인지 확인하고 나누면 될듯 한데말이죠... 제생각엔 미미한 차이기 때문에 별로 신경 안써도 될것 같은데요... |
꼬당님의 댓글

|
@스트넵 감사합니다 궁금증 해결되었습니다
어차피 미묘한 차이이니 0.8 =7 mg 니코틴으로 생각해야겠습니다 |
솔개님의 댓글

|
저울을 쓰시려면 각종 향료 및 재료들의 비중표가 있습니다..
그걸 토대로 중량계산을 하면 비교적 정확합니다.. |
스트님의 댓글

|
@꼬당오랫만에 덕분에 공부했네요
PG의 비중이 1.036~1.04고 니코틴의 비중이 1.0097네요 계산을 한번 해보도록 하죠 (99.9냐 99냐에 따라 미묘한 차이는 있겠습니다...) 니코틴 희석비가 250mg/ml 이니까 대충 계산해서 10:20으로 잡죠. 니코틴의 중량 10ml=10.097g PG의 중량 20ml=20.8g 250mg/ml 니코틴의 중량 30ml=31.77g 즉 희석니코틴 1ml=1.059g -> 31.77/30= 1.059 마지막으로 1.059*0.8=0.8472g 0.04 그램 차이내요 별차이 없다보시면 될듯합니다. 0.8~0.85 그램이면 OK라는거겠죠. |
뽀순님의 댓글

|
|
스트님의 댓글

|
@뽀순ㅋㅋㅋ 주사기가 안정밀하면 약은 어떻게 주사한데요 ㅎㅎㅎ 투약 용량이 정해진거니 정밀해야죠 ㅎㅎㅎ
저도 그래서 그냥 주사기 믿는 편이긴 합니다 |
스트님의 댓글

|
@솔개비중표로 일일히 계산하게되면 저희가 쓰는 니코틴 희석비도 오차가 있어요 ㅎㅎ
99%니코틴을 쓰냐 99.9%니코틴을 쓰냐에 따라 0.9%에 대한 오차가 있고 거기에 99%니코나 99.9%니코나 남은 0.1이나 0.01은 PG인데 그거에 대한 중량값도 계산해야되는건데 제생각엔 희석니코틴의 경우 비중까지 계산 안해도 얼추 맞는것 같아 보이네요... |
꼬당님의 댓글

|
저거 계산식은.. 무슨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ㅎㅎ 밑에 결과 값은 0.8~0.85 그램이면 OK 라고 하셔서 궁금증이 완전 해결되었습니다 ㅎㅎㅎ 어차피 사진상으로도 0.84 가 나왔는데 제가 빼고 그냥 0.8로 잡은거였거든요 ㅎㅎ 그니깐 0.8~0.85 이면 안전하다는 말씀이시군요!! |
꼬당님의 댓글

|
@솔개액상제조가 아니구 니코틴만 넣을려고하는데 향료에 따라서 차이도 있는건가요?! |
스트님의 댓글

|
@꼬당0.84ml를 넣는거라면 0.8~0.9면 OK입니다 ㅋㅋ |
솔개님의 댓글

|
@꼬당저울을 쓴다면 굳이 니코에 한정할 필요가 있나요?..
향료들도 비중으로 계산해서 담그면 무지 편합니다.. |
솔개님의 댓글

|
@스트그정도 오차를 신경쓸 정도라면 실험실에서나 가능하지 않을까요?..
오차를 따진다면 맑은날과 비오는날의 기압차로 인한 오차도 신경쓰는 사태까지 생길지도.. 업체의 설명을 읽어보면.. 최소 99%보증(?)이지 딱 99%는 아니라고 되어 있는 것들이 보이더군요.. 시그X의 경우는 99.8%와 99.9%로 되어 있고요.. 우리가 사용하는 기준은 정확한 수치라는 개념 보다는 일정한 비율을 유지한다는데 촛점을 맞추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
솔개님의 댓글

|
비중이 다른 두 액체의 혼합시 비중계산은 대충 하다보니..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