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x2/3 구조관련 (쇼트) 질문드립니다
본문
rx3은 [칩셋+2발장착구]와 [1발장착구] 를 연결해서 완성시키는데요
[칩셋+2발장착구]의경우 1번처럼 배터리를 장착한상태에서도 칩셋(저항)에 연결되어있어서 쇼트가나지않지만
[1발장착구]는 2번처럼 전지를 장착한채로 따로 두면 쇼트가나서 폭발하지않나요 ?
18650이 동전,열쇠같은 금속물질과 접촉할때 쇼트가나서 화재나 폭발할수있는데 2번의 경우도 그냥 금속에 18650을 연결한형태인데 위험하지않나요 ?
추천 0
댓글 10건
꼼탱이님의 댓글

|
배터리 하우징이 별도로 있어 괜찮아요 |
yoshiking님의 댓글

|
회로가 완성되어야합니다.
동전 두개를 준비합니다 동전 하나를 바닥에 깝니다 그위에 배터리를 올립니다 (-극 아래) 배터리 위에 다른 동전을 올립니다 (+극 위에) 쇼트 나는지 관찰합니다 |
긍정천국님의 댓글

![]() |
@꼼탱이배터리 하우징이 뭔가요 ?? |
긍정천국님의 댓글

![]() |
@yoshiking그런데 배터리 한쪽극에만 동전을 접촉하면 쇼트일어나서 막 스파크일어나고 불꽃튀고 그러는 영상도있던데..
한쪽극에만 금속을 접촉했을때가 위험한건가요 ? |
eesh님의 댓글

![]() |
쇼트는 ①회로가 완성됐을때 ②배터리가 필요로 하는 저항이 충분하지 못할때 일어납니다.
회로가 완성됐다는 말은 배터리의 +극에서 출발해서 -극으로 들어가는 길이 이어졌다는 말이에요. 요시님이 예를 들어주신 거나 2번그림이나 다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이어져 있지 않습니다. 쇼트를 위한 조건인 회로 완성이 안된거죠. 동전을 접촉해서 쇼트일어나는 사례는 플러스극쪽에 있는 절연체가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제대로된 배터리라면 그런 일이 안생기죠. 배터리는 플러스극쪽 지름 1센치 정도의 접점을 제외하고는 다 마이너스극입니다. |
yoshiking님의 댓글

|
@긍정천국일단 실험해보세요. 글 백번 읽는거보다 직접 경험하는게 알기 쉬워요.
실험 후 밑에 eesh님 댓글 다시한번 읽으시면 됩니다 |
긍정천국님의 댓글

![]() |
@yoshiking답변감사드립니다~~ |
긍정천국님의 댓글

![]() |
@eesh항상 친절한답변 감사드립니다 ~~ |
eesh님의 댓글

![]() |
@긍정천국ㅎㅎ 아마 긍정님이 보신 영상은 피복과 절연체를 제거하고 찍은 영상일거에요. 절연없이 쇼트되면 이런 결과가 일어난다 하는 보여주기식 영상일겁니다. 그 상황이 플러스와 마이너스가 연결되서 회로가 완성된 상황이고요. 동전의 저항이 낮아서 쇼트가 나는 상황입니다. 보통 pulse라고 부르는 상황입니다. 아주 잠시동안만 가능 방전량 이상을 내는거죠. 동전을 잠시만 댔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은 면하는 거에요. 동전을 지속적으로 대고 있으면 배터리가 결국은 터져버립니다. 스파크는 보통 접점이 붙을때나 떨어질때 발생을 하고요. 메크모드의 스위치 부분에서도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 스위치의 전도성을 낮추고 수명을 떨어트리죠. 단순해보이는 영상이라도 배울게 많아요. 알고보면 |
브리티쉬님의 댓글

|
@eesh그렇군요 오늘도 하나 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