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전기 충전 질문입니다
본문
현재 xtar mc1으로 돌돌 돌려가며 충전중입니다
그 동안은 연결한 아답터가 1a출력이라 신경쓰지 않았는데요
이번에 멀티 충전기를 구매하면서
포트당 출력이 어떻게 나가는지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xtar 충전기의경우 인풋 5볼트 500미리암페어
아웃풋 4.2볼트 500미리 암페어 라고 제품밑에 써있는데요
그 이상 출력의 아답터에 연결해도
자기 안전한 전압 전류로 충전되는건가요?
아니면 제품 인풋표시에 맞는 아답터를 찾아써야 히는 간가요
전알못이라 문의 드립니다
그 동안은 연결한 아답터가 1a출력이라 신경쓰지 않았는데요
이번에 멀티 충전기를 구매하면서
포트당 출력이 어떻게 나가는지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xtar 충전기의경우 인풋 5볼트 500미리암페어
아웃풋 4.2볼트 500미리 암페어 라고 제품밑에 써있는데요
그 이상 출력의 아답터에 연결해도
자기 안전한 전압 전류로 충전되는건가요?
아니면 제품 인풋표시에 맞는 아답터를 찾아써야 히는 간가요
전알못이라 문의 드립니다
추천 0
댓글 3건
eesh님의 댓글

![]() |
전류의 양은 주는 쪽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받는 쪽이 결정합니다. 무화기로 예를 들어보죠. dna200같은 경우 50A를 줄 능력이 있어요. 하지만 출력전압을 4볼트로 잡고 1옴의 코일을 꼽는다면 무화기에서는 4암페어의 전류만 끌어오게 됩니다. 당시의 전압에 따른 저항에 의해 전류의 양이 결정되는거에요.
그럼 이제 움바님이 가지고 계신 아답타와 충전기를 보죠. 움바님은 1A의 전류공급이 가능한 아답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충전기는 0.5A의 전류를 사용하는 기기에요. 그럼 아답타에서 1A의 전류를 보내는게 아니라 0.5A의 전류를 보냅니다. 충전기가 0.5A의 전류를 원하는데 0.5A의 전류도 못보내주면 문제가 될수 있겠죠. 아답타에 쓰인 1A는 무조건 아답타에서 1A의 전류를 보내는게 아니라 1A의 전류량까지 감당할수 있는 아답타라는 의미입니다. 최대한 보낼수 있는 전류량이라는거죠. 이제 충전기와 배터리를 보죠. 앞에도 말했다시피 전류의 양은 받는 쪽이 결정합니다. 그럼 받는 쪽의 저항을 보죠. 보통 고방전 배터리들은 0.02~0.04옴 정도의 저항이 있어요. 0.04옴이라도 4.2볼트 기준으로 볼때 100A이상의 전류량을 받아들일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는 그렇게는 안되죠. 그전에 사고가 납니다. 아무튼 배터리는 엄청난 양의 전류를 받아들일수 있는 놈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대로 다 줘서는 안되고 충전기쪽에서 주는 전류량을 제한하게 됩니다. 움바님이 가지고 계신 충전기는 0.5A의 전류만 보내주는거죠. 환원작용이 일어나는 충전은 방전에 비해 그렇게 능력이 뛰어나지 않아요. 전류의 양을 낮게해서 최대한 발열을 막아줘야 배터리 수명에 무리가 없습니다. |
움바움바님의 댓글

![]() |
@eesh으어 감사합니다.
이해가 아주 잘 됬어요. 뭔가 써주신만큼 감사의 말을 길게 써야겠는데, 아이고. 하여간 알고싶던 부분이랑 알아야할 부분까지 쉽게 설명해주셔서 시원해졌습니다. 이베이프 밖에서도 검색하고 해서 대강 결론은 알겠었는데, 이렇게 만족스러운 설명은 못봤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저녁되세요 |
eesh님의 댓글

![]() |
@움바움바ㅎㅎ 이해가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전담인들이 자주 쓰는 표현 중에 밀어주는 힘이라는게 있죠. 그 표현을 볼때마다 좀 재밌어요. 엄밀하게 말하면 밀어주는건 없습니다. 끌어당기는게 좀 더 맞는 표현이겠죠. 보통 load라고 표현하는 주 에너지소모원(전담에서는 코일이겠죠)이 필요로 하는 전류량만을 뽑아오게 되있어요. 주로 저항값이 결정하죠.
기회가 나시면 조그만 LED구성하는 거에 대해 공부해보세요. 단순하지만 전압깍는 법이나 전류량 맞추는 법에 대해 이해하기 쉬울거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