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스트 코일 옴수 질문 드립니당..
본문
현재 듀얼 빌드로 0.1옴이 뜨는데
륄로에 hg2 두개로 파이어 해도 괜찮을까요?
27~28a 왔다갔다 거리네요ㅜㅜ
추천 0
댓글 7건
꼼탱이님의 댓글

|
27~28a 가 모예요? |
dlwnstjd98님의 댓글

![]() |
@꼼탱이암페아 같은데요 |
빵또아님의 댓글

![]() |
@꼼탱이암페어요 hg2 제원표를 보니 20a 까지만 가능 하다고 본 것 같아서요ㅜ |
eesh님의 댓글

![]() |
배터리의 전류가 그대로 무화기로 전해지는게 아니에요. 설명을 할려면 EMF같은 어려운 것도 나오니 반증만 써볼게요.
0.1옴으로 27암페어정도 소모를 한다면 전압은 2.7볼트에 출력은 73와트정도 됩니다. 무화기에 27암페어가 전해졌다고 배터리에서 27암페어를 빼올까요? 27암페어를 빼온다고 가정하고 계산을 해보죠. 직렬 두발에서 27암페어를 빼온다면 전압은 배터리의 공칭전압으로 계산해도 대략 7.4볼트가 되겠죠? 그럼 그때의 배터리가 내주는 와트는 7.4*27해서 거의 200와트에요. 배터리에서 200와트를 빼와서 무화기에 73와트만 주진 않습니다. 그러면 실제로 배터리에서 몇 암페어의 전류를 빼올까요. 배터리 하나의 당시 전압을 공칭전압인 3.7볼트로 계산해보면 9.86암페어 정도 나오고 실제로 손실을 생각해도 대략 10암페어 조금 넘는 전류량을 필요로 해요. 배터리의 직렬 갯수가 늘어날수록 배터리의 전압은 늘어나고 전압이 늘어나는 만큼 필요로 하는 전류의 양은 줄어듭니다. DNA200이 출력전류 50A까지 지원하는데 그걸 그대로 배터리에서 빼온다면 배터리팩이라도 만들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겠죠. |
빵또아님의 댓글

![]() |
@eesh상세한 설명 감사 드립니다. |
eesh님의 댓글

![]() |
@빵또아잘 이해가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간단하게 컨버터의 역할을 설명하자면..컨버터는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입니다. 그런데 알고보면 전압뿐만 아니라 전류까지 조정하고 있어요. 직렬배터리 두발 이상을 사용하는 벅(강압)컨버터는 높은 (배터리)전압을 낮은 (출력)전압으로 바꾸는 일을 합니다. 배터리 3개를 사용하는 륄로가 대표적이죠. 11.1볼트 정도의 전압을 낮춰서 우리가 원하는 4볼트대의 전압으로 바꿔줍니다. 그런데 전류의 양은 위에서 설명했다시피 적은 전류를 빼와서 많은 전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해줘요. 전압과는 반대가 되죠. 전압과 전류가 반비례하게 됩니다. 공식은 아니지만 공식으로 표현하자면.. (높은 전압)X(적은 전류) = (낮은 전압)X(많은 전류) 이런 식으로 됩니다. 효율에 의한 손실값을 제외하면 배터리에서 빼오는 와트와 무화기로 전해지는 와트는 같아지게 되죠. 반대로 배터리 한발이나 병렬배터리를 사용하는 부스트 (승압)컨버터는 벅컨버터와는 반대현상이 일어나죠. (낮은 전압)X(많은 전류) = (높은 전압)X(적은 전류) 이런 식이 됩니다. 우리가 실사용하는 전압대가 3볼트 후반대부터 4볼트 후반대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전압을 그리 많이 높이지는 않아요. 강압을 하는 벅컨버터에 비해 바뀌는 전압의 차이가 그리 심하진 않습니다. 그래도 올리긴 올리는 것이라 전류의 차이가 발생하죠. 승압컨버터에서 코일의 저항을 낮춰서 출력전류를 올리게 되면 배터리에서는 더 큰 전류의 부담이 생기게 됩니다. 어차피 배터리의 방전량은 정해져 있기 때문에 고와트 구현이 힘들죠. |
빵또아님의 댓글

![]() |
@eesheesh님 덕분에 많은걸 배웠네요^^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