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모드에 트위스티드 코일...
본문
26게이지 트위스티드코일 듀얼빌드 하려고하는데
맥모드에서 사용하시는 혹은 사용해보신 분이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베터리는 LG노랭이에 26게이지 2가닥 꼬아서 3.5구경 8바퀴 감아서 대략 0.3옴 언저리 나올거같은데
무리 없는지 궁금합니다 ㅎㅎ
위험하다 위험하다 싱글코일 빌드하자 빌드하자 하다가
아무래도 연무량 욕심이 나서...
추천 0
댓글 12건
개얼굴님의 댓글

|
트위스트로 감으면.. 열기가.. 더디게 올라와요.
가변 고와트도 오래걸려서.. 잘안쓰고있어요;; |
화력참모님의 댓글

|
@개얼굴헛 아날모드면 타격이 더 줄겠군요... 일단 감았으니 빌드는 해봐야될거같습니다 ㅠㅠ
답변 감사합니다 ㅠㅠ |
개얼굴님의 댓글

|
|
까시나무님의 댓글

|
전 멕쓸땐 주로 0.16옴 세팅을 하는데요.
22awg 3mm 가이드 듀얼 6랩을 주로 사용합니다. 배터리 방전량을 따져봤을때 무리가 간다고 볼수 있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할경우구요. 손으로 감싸잡고 사용하는 멕모드의 경우 배터리의 과부화를 손으로 쉽게 느낄수 있기 때문에 큰문제는 되지 않는다고 생각해요. 일정이상 통전이 보장된 멕모드라면 지속방전량을 넘는 저항값이 크게 문제되진 않는다 보여집니다. 멕모드의 코일세팅에서 제가 중요하다 느끼는건 베이핑에 필요한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인거 같아요. 그래서 클랩튼이나 많은 랩수의 코일링은 자제하는 편입니다. |
yoshiking님의 댓글

|
멬모드에서는 일반 와이어만 쓰세요 |
eesh님의 댓글

![]() |
@까시나무지속방전량을 권장하는건 정상적인 상황보다 비정상적인 상황인 경우 안전을 더 많이 보장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포켓파이어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는 메크모드에서 자신이 그런 경우가 안생길거라고 생각하는건 지나친 자신감이죠. 보통 메크모드의 원통이 배터리의 발열을 식히는데 도움이 되는 역할도 하지만 반대로 무화기에서 전해져오는 열이 배터리를 가열하기도 합니다. 실수로 파이어버튼이 눌려져있는 경우 생각보다 배터리의 열이 더 오르게 되죠. 그리고 코일을 0.16옴을 꼽아서 26A까지 방전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셨을텐데 실제로 그렇게 방전 안합니다. 보통 고방전 배터리들이 0.025옴 정도 자체저항을 가지고 있다고 하고 실측을 하는경우 0.04옴 정도까지 저항이 측정되곤 하죠. 거기에 메크모드의 몸통이나 무화기의 몸통의 저항도 더해져야 합니다. 통전이 아무리 좋다해도 저항의 총합(배터리+모드)이 0.1옴은 넘을거에요. 직렬 저항의 총합은 모든 저항을 더해야하니까요. 그렇게 되면 총 저항은 코일까지 합해서 대략 0.26옴은 넘는다는 소리죠. 방전되는 전류는 풀충전한 배터리라도 16A 조금 넘어요. 지속방전량 이상을 사용하는데 괜찮더라가 아니라 실제로는 지속방전량도 못넘긴 수치입니다. 이글을 보고 "아 그럼 코일 저항을 더 낮춰도 되겠네!"하는 분이 있을까봐 걱정되긴 하지만 남들이 0.16옴도 괜찮다는 글 보고 무작정 따라하는 분이 있는 것도 걱정스럽네요. |
화력참모님의 댓글

|
@개얼굴같은바퀴 패러렐과 비교했을때도 패러랠이 저옴인데 더 빨리올라오고 트위스트가 조금 느린감이 있네용 ㅎㅎ 그래도 평타는 뽑아줘서 솜탈때까진 쓰려구요 |
개얼굴님의 댓글

|
|
화력참모님의 댓글

|
@까시나무답변감사합니다 ㅎㅎ 0.1옴대역은 저는 무서워서 아직 못해보겠습니다 ㅠ 페트리로 듀얼빌드할때보단 연무량 늘고 파이어시간은 조금 찗은거같습니다(제 체감;;) |
화력참모님의 댓글

|
@eesh전 코일 막 감고 0.1대 뜨면 바로 가변기 직행합니다 ㅋㅋㅋㅋ |
화력참모님의 댓글

|
@yoshiking24미리 드리퍼에선 왠지 욕심이 나버려서 그만..ㅠㅠ |
eesh님의 댓글

![]() |
@개얼굴ㅎㅎ 개얼굴님 안녕하십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