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와트 (75w 이상) 지원하는 기기들의 필요성에 대한 궁금점
본문
먼저 제가 쓰는 기기를 소개해드리자면 모드는 베이퍼샤크 사의 플라스크 dna 133과 크라운탱크 아토마이저를 사용중입니다.
이전에는 kangertech사의 탑박스미니라는 기기를 사용했었구요. (처음 시작을 탑박스로 입문했어요)
바로 질문을 드릴게요. 대체 고와트는 언제 쓰는것인가요? 현재 사용중인 모드기기도 133와트 까지 지원을 하고 탑박스 또한 75와트 까지 지원을 하지만 저는 40와트를 넘겨서 사용해 본적이 없네요.
기성코일을 애용하고 보통 0.25-0.5옴 정도 사이의 코일을 즐겨 씁니다만 0.25옴의 코일을 쓸때도 요즘은 30w에 머물러서 핍니다. 35와트까지만 올려도 코일솜이 타는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궁금해져서 질문 드려요. 아무리 낮은 옴의 코일을 써도 70-80w 이상으론 절대 올라가면 버틸 것 같지 않을 것처럼 느껴지는데 요즘 좀 좋은 기기들은 기본 100w 이상 높으면 200w까지도 지원을 하더군요.
지금 사용중인 모델의 하위호환격인 75w를 샀어야 하는 회의감이 드는 요즘...
답변 기다릴게요~
이전에는 kangertech사의 탑박스미니라는 기기를 사용했었구요. (처음 시작을 탑박스로 입문했어요)
바로 질문을 드릴게요. 대체 고와트는 언제 쓰는것인가요? 현재 사용중인 모드기기도 133와트 까지 지원을 하고 탑박스 또한 75와트 까지 지원을 하지만 저는 40와트를 넘겨서 사용해 본적이 없네요.
기성코일을 애용하고 보통 0.25-0.5옴 정도 사이의 코일을 즐겨 씁니다만 0.25옴의 코일을 쓸때도 요즘은 30w에 머물러서 핍니다. 35와트까지만 올려도 코일솜이 타는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궁금해져서 질문 드려요. 아무리 낮은 옴의 코일을 써도 70-80w 이상으론 절대 올라가면 버틸 것 같지 않을 것처럼 느껴지는데 요즘 좀 좋은 기기들은 기본 100w 이상 높으면 200w까지도 지원을 하더군요.
지금 사용중인 모델의 하위호환격인 75w를 샀어야 하는 회의감이 드는 요즘...
답변 기다릴게요~
추천 0
댓글 18건
녕원님의 댓글

|
크탱 0.25옴면 80와트도 거뜬하던데... 심지어 드나칩이면 스뮤스하게 올려줘서 더 거뜬항텐데... |
푼탱이님의 댓글

|
|
kimgom님의 댓글

![]() |
@녕원흠 지금 .25옴으로 25와트 지지면 3.9볼트 떠요... |
kimgom님의 댓글

![]() |
@푼탱이딜레이라는 부분에 대해서 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kimgom님의 댓글

![]() |
@kimgom아 실수.... .5옴으로 25와트요 |
녕원님의 댓글

|
@kimgom5볼트까지 무난하게 버티던거같은데여.. ipv5에 크탱물려서 80부터 100까지 왔다갔다 하면서 피웠어요 |
푼탱이님의 댓글

|
|
사골사골님의 댓글

|
@kimgom딜레이는 파이어 버튼 눌렀을때 코일이 달궈지는 속도나 코일에 전압공급까지의 최초시간을 통합해서 생각하시면 편하십니다. 솔직히 딜레이는 저와트냐 고와트기기냐보다는 칩셋특성이 더큽니다. 표기된 와트 범위내에서는 DNA75나 DNA133~200기기 딜레이는 확 체감될 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배터리 효율로 봤을때 승압보다는 감압이 안정감이 훨씬 뛰어납니다. 즉 높은 와트기기가 일정하고 꾸준하게 밀어준다는 느낌을 받는다는것이죠. |
mmoonn님의 댓글

|
@푼탱이동일한 와트로 밀어줄땐 거의 차이 없다고 봐도 됩니다
단순한 칩셋과 박스의 조합인 전담이 자동차의 비교처럼 극단적인 만족감의 차이를 줄 수 있는 요소도 거의 없구요 |
꼼탱이님의 댓글

|
어쨋든 저쨋든 저랑 같은 GOM 이시군요..ㅎㅎ |
yoshiking님의 댓글

|
라이터로 실바늘 지집니다. 가열 잘되죠? 라이터로 스뎅 냄비 지집니다. 가열이 안되죠? 가스렌지에 올려야죠.
질량이 높은 클랩튼 같은 코일들은 가열하기 위해서 높은 파워가 필요합니다. 물론 저는 일반 와이어를 사용하고 25와트 이상 안씁니다 |
kimgom님의 댓글

![]() |
@푼탱이아하 미미하지만 탑박스와 베샥 플라스크 사이에 딜레이 차가 느껴지긴 하네요 ㅎ |
kimgom님의 댓글

![]() |
@yoshiking그럼 일반 칸탈 와이어 사용에는 제가 느끼는 바가 정상이라고 봐도 되겠죠? |
kimgom님의 댓글

![]() |
@꼼탱이Gomgom :) |
kimgom님의 댓글

![]() |
@사골사골정확한 답변 감사합니다 |
꼼탱이님의 댓글

|
@kimgomㅋㅋ..
반갑습니다 이벱에 곰님들이 많으세요 |
yoshiking님의 댓글

|
@kimgom정상입니다. 근데 일반 와이어도 듀얼 페래럴 같은 방법으로 무식하게 질량 올릴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ㅎ. 빌드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필요한 파워도 달라집니다. |
kimgom님의 댓글

![]() |
@yoshiking가장 궁금한 부분이었는데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