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베이더3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인베이더3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꼬맹아앗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8.145) 작성일 님이 2017년 01월 01일 21시 41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601 읽음

본문

안녕하세요.

인베이더3를 사용하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인베이더3를 대부분 '반가변기'라고 통칭을 하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내부적으로는 아날로그 방식에 안정성을 위해 특정 칩이 들어간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베이더3는 내부적으로 전압을 가감할 수 있는 컨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존재가 없고,

아날로그랑 비슷하게 배터리의 현재 출력 전압을 기준으로 본인이 설정한 전압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맞는지요?

 

제가 현재 인베이더3를 0.15옴으로 약 5볼트를 놓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볼트 조절 레버 눈금 레벨3~4 중간점)

대충 계산해보면 160~170W 사이겠네요.

LG HG2 배터리 기준으로 잔량이 50%정도 남은 상황에선 배터리가 없다고 껌벅거리더군요.

제가 이해한대로라면 전압이 아닌 전류량 때문에 컷을 하는 거 같은데.. 찾아봐도 이해가 좀 힘드네요.

요즘 고와트에서 지지다가 잔량이 분명 더 있는데 배터리 잔량 없다고 컷하는게 좀 불편하더군요.

 

제가 이해한대로라면 둘다 50% 남은 상태에서 컷을 해줘야 정상인데,

막상 같은 조건에서 큐보이드나 H-PRIV 사용했을 땐 배터리를 앵꼬낼 때 까지 사용했었던 기억이 있어서 여쭈어봅니다.

 

타 가변모드기는 컨버터라는 존재로 인해 조정되면서 저 배터리를 인베이더3나 귀뚤2와 다르게 최대한 더 쓸 수 있게 되는건지..

아니면 인베이더3랑 비슷하게 50% 남은 상태에서 배터리 잔량 없다고 컷을 해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추천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7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9)
회원아이콘 가끔 이베이프를 보다보면 반가변이라는 말이나 인베이더나 헥스옴같은 모드기를 가변이 아니라는 식으로 얘기하는걸 보게 되는데 반가변이라는 것은 없고요 두 기기 다 가변기기입니다.
모드기기는 크게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입력전압을 변화시킬수 있는 레귤레이트 모드와 입력전압을 변화시킬수 없는 언레귤레이트 모드입니다.
레귤레이트 모드는 크게 PWM과 스위칭방식의 DC/DC컨버터로 나눠지게 됩니다.
언레귤레이트 모드에는 스팅레이처럼 아예 전기부품이 없는 메크모드와 전기부품은 달려있지만 전압변화가 불가능한 아이저스트2 같은 모드로 나눠지게 되죠.
인베이더의 경우 스위칭방식의 DC/DC컨버터를 사용하는 VV기기입니다. VV기기나 VW기기나 TC기기까지 다 컨버터는 전압을 변화시켜서 출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가변기가 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는 방법은 전압을 통해서입니다.
그런데 배터리의 전압은 사용하지 않을때의 전압과 사용했을때의 전압이 달라요.
사용할때의 전압은 그 회로에 있는 저항에 의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저항이란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저항도 따라 올라가게 되있어요.
배터리의 전압이 3.7볼트일때도 170와트를 내기 위해 필요한 전류는 대략 23A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배터리의 전압이 3.2볼트일때는 26.5A정도의 전류가 필요해요.
배터리가 저렇게 고방전을 하게 되면 배터리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저항이 올라가면서 전압이 떨어지게 됩니다.
전담을 빠는 시간이 짧아서 괜찮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르지만 생각해보셔야할게..
파이어버튼을 누르게 되면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파이어버튼에서 손을 때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기 시작하죠.
그런데 그 온도가 채 처음 상태로 돌아가기 전에 또 파이어버튼을 누르게 된다면 약간 높은 온도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처음 눌렀을때보다 온도가 더 올라가게 됩니다. 그게 반복이 되면 전압은 확 떨어지게 되겠죠. 연타를 치면 무화기가 뜨거워지는 경우와 같습니다. 가산적이죠.
결론적으로 배터리가 무리하게 방전을 하게 되면 온도상승과 함께 저항이 증가하게 됩니다. 저항이 증가하면 전압을 떨어지게 되죠. 그래서 충전기에서 볼때(배터리를 사용하지 않을때)보다 실제 사용할때 전압이 더 낮아지게 되고 그 낮아진 전압이 기기가 정한 컷오프 전압에 도달하게 되면 기능을 멈추게 되죠.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9)
회원아이콘 참고로 충전기가 배터리잔량 0%를 2.9V로 잡는 충전기라면 50프로는 3.55V입니다. 기기가 컷오프를 3.2볼트에 한다고 치면 대략 0.35볼트가 떨어지는 거에요.

꼬맹아앗흥님의 댓글

꼬맹아앗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112.130)
회원아이콘 @eesh아.. 자세하고 알기 쉬운 덧글을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대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제 충전기는 XTAR VC2 입니다.
눈금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3.0v부터 눈금이 있으며, 보통 제가 본문에 남겼던 증상이 발생되는 전압은 3.5~6v 정도에서 그런 걸로 압니다.
(대충 50%에서 조금 아래부터 진행됩니다.)
제 예상으로는 인베이더3가 컷오프 6.4v 부터이니 대충 3.2v로 예상됩니다.
말씀대로 하면 대충 0.3v 정도가 감압이 되는군요.

이건 그럼 전압 강하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니,
배터리나 모드기를 바꾸어도 사실상 이 증상을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군요.
실질적으로 강화를 줄이는 방법은 출력 볼트나 와트를 줄이는 방법 외엔..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리며, 올해도 즐거운 일이 가득하시길 빕니다.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9)
회원아이콘 @꼬맹아앗흥네 맞아요. 기기가 어찌됐던간에 배터리는 내보내는 전류량에 따라 온도가 상승해요. 보통 두발 직렬이라도 120와트 정도가 안정권이고 그 이상은 가능은 하겠지만 그에 따른 패널티도 감안을 해야하는 와트입니다.
가끔 PWM모드를 만들어 쓰는 사람들을 보면 3S까지도 제작을 하곤해요. 출력볼트를 10볼트정도까지 올리기도 하죠.
그런 사람들을 위해 유명한 모더중 한명인 모드파더라는 사람은 직렬무화기를 제작하기도 했어요.
보통 3포스트 무화기가 양쪽사이드 포스트는 -극이고 센터포스트가 +극인데 반해 직렬무화기는 양쪽 사이드가 각각 + -이고 센터포스트가 뉴트럴인 무화기죠. 직렬코일링을 통해 저항을 높이고 전류의 양을 적게 하는 방식의 무화기에요.
저도 PWM기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 구해볼까 생각중입니다 ㅎㅎ

아 VC2충전기라면 0프로가 2.9볼트 맞아요 ^^;;
0.3볼트 감압이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을수도 있는데 보통 납땜질을 잘 못하는 사람이 제작을 하면 그보다 더 크게 감압이 될수도 있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꼬맹아앗흥님의 댓글

꼬맹아앗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128.145)
회원아이콘 @eesh무화기는 TFV8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녀석이 앵간히 마음에 들어서 이 녀석은 바꿀 생각이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무화기를 바꾸거나 제작하는 건 제 능력도 안될뿐더러, 그럴만한 여건이나 만족도도 도박하긴 좀 그런 상황이고..

덧글의 내용을 더 잘 알기 위해 검색을 통해서 일부 해결했습니다.
eesh님께서 남겨주신 덧글의 내용을 종합했을 때, 제가 지금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아무래도 2발이 아닌 3발 이상의 모드기로 가야 해결되겠구나.. 싶네요.

사실상 그 방법 밖에 없겠죠?
년초 되자마자 또 도움을 받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47.177)
회원아이콘 @꼬맹아앗흥네 170와트정도를 운용하려면 왠만하면 직렬3발 기기를 사용하는게 좋아요.공칭전압일때 170와트를 내도 전류량이 15A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꽤 안정적인 방전량이죠.

꼬맹아앗흥님의 댓글

꼬맹아앗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112.130)
회원아이콘 @eesh하아.. 결국 바꿀 수 밖에 없군요.
지금 그렇잖아도 4발짜리 가변기 스모크사의 GX350을 발견했습니다.
아직 프리오더라 두고봐야겠지만 이 녀석이 이뻐서 이걸로 해봐야겠네요.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130건 7657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3354 타겟프로 ccell 코일이 이상한데요 댓글+4 첨부파일 갈색머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724  0
33353 복귀 유저 조합 추천 부탁 드립니다 댓글+4 구포2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653  0
33352 연말에 시그뉴에서 니코 주문하신분들 댓글+6 힝힝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644  0
33351 디알발 깡패쥬스가 궁금합니다! 댓글+4 장제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716  0
33350 0.1옴대를 4.2볼트정도로 지져먹으려면 두발기기도 광탈인가요?? 댓글+12 베이핑핑ping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986  0
33349 피코 1.03 누적횟수 초기화 있나요? 얼빵이소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698  0
33348 vt75나노 에러현상?!?! 비단향꽃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514  0
33347 가습 전조증상은 뭔가요? 댓글+5 얼빵이소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669  0
열람중 인베이더3에 대해 궁금증이 있습니다. 댓글+7 꼬맹아앗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602  0
33345 (비전담) 기능성 베개 사용하시는분 계신가요? 댓글+5 일향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698  0
33344 PC 경통에서 사용해선 안되는 액상이 있을까요? 댓글+8 인기글 개굴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3559  0
33343 카이푼v5 질문있습니다 댓글+12 뚱뚜루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975  0
33342 Inawera.com 로그인 무한반복. 첨부파일 pcc76720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368  0
33341 저 액상 처음구매하려고 합니다.. 댓글+3 절대킹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441  0
33340 배터리 수명 다 되어갈때 증상이 궁금합니다 댓글+10 야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804  0
33339 전담 복귀...구매보류..? 댓글+4 배추도사무도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674  0
33338 리빌드 킷 가변기 추천부탁드려요 네네그래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702  0
33337 아스모더스 스트라이드 vr80괜찮나요? 댓글+13 인기글 나비잠자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2170  0
33336 타격제 및 액상 관련 질문입니다~ 댓글+1 인기글 apenow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1088  0
33335 vapx전류 하락 댓글+1 kubaa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358  0
33334 페텍 eta가 17년 말이던데 댓글+3 칼나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1 597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