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탈 게이지별 저항값 질문입니다
본문
이를테면
1.0옴을 만들고 싶은데
22게이지를 15바퀴 만들어서 1옴을 만드는 것과
26게이지를 7바퀴 돌려서 1옴을 만들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나요?
위의 숫자들은 모두 예시일 뿐이고, 빌드덱 사이즈는 고려하지 않고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0옴을 만들고 싶은데
22게이지를 15바퀴 만들어서 1옴을 만드는 것과
26게이지를 7바퀴 돌려서 1옴을 만들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나요?
위의 숫자들은 모두 예시일 뿐이고, 빌드덱 사이즈는 고려하지 않고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천 0
댓글 5건
아날로그님의 댓글

|
게이지가 두꺼우면 코일 예열 시간이 길어집니다.
그걸 보완?하려면 더 높은 와트로 쏴줘야하는데 그래도 오래걸립니다. 22게이지 버티컬로 0.7옴대로 쓰는 무화기가 있는데 40w이상으로 베이핑해도 좀 부족한 느낌입니다. |
잉모탈님의 댓글

|
와이어의 게이지가 낮은(두꺼운, 단위당 저항치가 낮은)경우에는
예를들어 28게이지가 1옴을 만들기 위해 약 5바퀴를 감고, 24게이지가 10바퀴를 감는다(그냥 예시입니다)라는 경우 두 코일의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발열 속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똑같은 3.7V를 인가시 코일이 달궈지는 속도가 다르기에 같은 저항치를 가진 코일이라도 높은 게이지(28게이지)의 코일의 발열 속도가 빠릅니다. 그래서 비슷한 반응성을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24게이지로 만든 1옴 코일은 더 높은 전압을 인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코일의 발열이 늦은만큼 냉각도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좋은 점은 발열 면적이 넓어진다는 장점이 있지요. |
베이핑핑ping님의 댓글

|
@아날로그답변감사합니다 |
베이핑핑ping님의 댓글

|
@잉모탈답변감사드립니다 뭐가 엄청난 차이점이 있는 것은 아니고 선택의 문제군요ㅋㅋ |
잉모탈님의 댓글

|
같은 서브옴 RTA도 26게이지, 24게이지등 선호하는 게이지가 다르니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