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드리퍼 입문자입니다!!(선배님들 도와주세요ㅠㅠ)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날씨가 더추워진다는데 다들 감기조심하세요!!
저는 아이스틱피코+멜로3,미니슈퍼탱크 를 쓰던 유저입니다!~
어제 드리퍼와클랩톤26+30와이어를구매해서 리빌드도 해보고하는데 0.4~0.5옴이잡히더라구요 리빌드도 처음해보고 쇼트도 무섭고....쫄아서...다완성한뒤에 피코한테 드리퍼를 물려줬습니다 하지만 저는 쫄보라 클랩톤와이어에 대해서 찾아보니 고와트 고볼트로 밀어줘야 하더라고요ㅠㅠ그래서 피코로 해보는데 연기는 많이안나오고 피코만 터질것처럼 발열되길래 쫄아서 그만두고 바로 rx-300하고 삼성배터리4발,방열판 방문수령하러 달려갔습니다 바로 지름신이 나와가지고ㅠㅠ하지만 이런 기기는 처음 쓰는거라서.....어떻게 사용해야할지 4발짜리라서 아진짜이건 잘못하면 한손 날라가겠다 이런생각에 쫄보모드로 있습니다.....preheat기능은 찾아서 50w1.0초로 했는데도 시원찮더라고요ㅠㅠ대체 저같은 쫄보는 어찌해야할까요ㅠㅠ모든분들이 클랩톤와이어가 좋다하는 글을 봐와서ㅠㅠ멋모르는 쫄보 초심자가 건방졌어요ㅠㅠ칸탈이나살걸ㅠㅠ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좀 부탁드릴게요ㅠㅠ그리고 클랩톤26+30와이어는0.2~0.3옴 잡을려면 어떻게 하는지와 제가한 리빌드에 문제가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ㅠㅠ
저는 아이스틱피코+멜로3,미니슈퍼탱크 를 쓰던 유저입니다!~
어제 드리퍼와클랩톤26+30와이어를구매해서 리빌드도 해보고하는데 0.4~0.5옴이잡히더라구요 리빌드도 처음해보고 쇼트도 무섭고....쫄아서...다완성한뒤에 피코한테 드리퍼를 물려줬습니다 하지만 저는 쫄보라 클랩톤와이어에 대해서 찾아보니 고와트 고볼트로 밀어줘야 하더라고요ㅠㅠ그래서 피코로 해보는데 연기는 많이안나오고 피코만 터질것처럼 발열되길래 쫄아서 그만두고 바로 rx-300하고 삼성배터리4발,방열판 방문수령하러 달려갔습니다 바로 지름신이 나와가지고ㅠㅠ하지만 이런 기기는 처음 쓰는거라서.....어떻게 사용해야할지 4발짜리라서 아진짜이건 잘못하면 한손 날라가겠다 이런생각에 쫄보모드로 있습니다.....preheat기능은 찾아서 50w1.0초로 했는데도 시원찮더라고요ㅠㅠ대체 저같은 쫄보는 어찌해야할까요ㅠㅠ모든분들이 클랩톤와이어가 좋다하는 글을 봐와서ㅠㅠ멋모르는 쫄보 초심자가 건방졌어요ㅠㅠ칸탈이나살걸ㅠㅠ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좀 부탁드릴게요ㅠㅠ그리고 클랩톤26+30와이어는0.2~0.3옴 잡을려면 어떻게 하는지와 제가한 리빌드에 문제가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ㅠㅠ
추천 0
댓글 17건
팀암스트롱님의 댓글

|
클랩튼에 칸탈 26게이지같은거 패럴렐 빌드하시면 0.1옴 후반~0.2옴 초반대 나올것 같습니다. |
slugang님의 댓글

|
패러럴 감는법
https://youtu.be/OD6hFPzL-Os |
새벽님의 댓글

|
클랩튼 듀얼이면 예열에 시간이 좀 걸려요..
볼트 기준으로 대략 5v이상 밀어줘야 딜레이타임이 많이 줄어들것 같습니다 0.2~3옴은 지금 리빌드 하신것에서 와이어만 24게이지로 바꿔줘도 될것같구요. 26게이지로는 바퀴수가작아져서 무화량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듯해요. |
지나펫님의 댓글

|
|
지나펫님의 댓글

|
|
지나펫님의 댓글

|
|
slugang님의 댓글

|
@지나펫영상도 26+36게이지 클랩튼에
24게이지싱글와이어라 조건이 딱 맞을거에여 |
지나펫님의 댓글

|
@slugang그패러럴을 그냥 제가가지고있는 클랩톤와이어를 6번이면 거기에 2배를 감아주면 되는건가요? 몇미리봉에 감으면될까요ㅠㅠ답변감사합니다! |
slugang님의 댓글

|
@지나펫클랩튼이랑 같은 직경으로 하심되요
3미리로 감았으면 3미리로 똑같이 감는바퀴수는 한바퀴 적은 다섯바퀴 클랩튼 사이에 싱글와이어를 감는거라 생각하심 됩니다 |
지나펫님의 댓글

|
@slugang아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너무도움됫어요ㅠㅠ그면 일반칸탈와이어몇게이지로 사야하나요?ㅠㅠ제클랩톤와이어는26+30인데 돈돈돈이네요ㅠㅠ |
eesh님의 댓글

![]() |
이해를하면 좀 쉽습니다.
우선 듀얼코일을 하셨지만 코일 한쪽만을 살펴보죠. 듀얼에 0.5옴 근처 잡혔으니 계산이 편하게 그냥 한쪽은 1옴이라고 해보죠. ID를 3mm로 했을때 26awg로 1옴이 나올려면 7바퀴를 감아야해요. 이제 그 26awg의 코어에 30awg의 랩핑코일을 감아서 클랩튼 코일을 만든다고 해보죠. 똑같은 ID에 같은 바퀴수로 감아도 저항은 생각보다 낮아지지 않습니다. 병렬저항의 합은 1/R = 1/R1 + 1/R2 + ... 이런 식으로 증가해요. 코어코일의 저항이 1옴이니 1/1이라서 그대로 1옴이고 랩핑코일의 저항을 계산해보면.. 아~계산하기 싫습니다.. 아무튼 30이라는 awg에 상당히 많이 감았으므로(=길이가 길어지므로) 저항이 상당히 올라가게 됩니다. 만약 5옴이라면 1 + 1/5 해서 0.83옴이 되겠고 만약 10옴이라면 1 + 1/10해서 0.9옴이 되겠죠. 랩핑코일이 가늘어질수록 그리고 많이 감을수록 클랩튼 코일 자체의 저항은 코어코일의 저항에 근접해지게 됩니다. 결론은 별 차이 없어진다는거죠. 저항이 비슷하면 전류도 비슷하게 흐릅니다. 그런데 문제는 코일의 굵기(=awg)에요. 26awg가 지름이 0.405고 30awg가 지름이 0.255에요. 이 코일들로 클랩튼 코일을 만들게 되면 클랩튼 코일의 총지름은 0.915가 됩니다. awg로 따지면 19awg가 되죠. 19awg의 코일로 ID3mm에 7바퀴를 감게 되면 0.25옴이 나옵니다. 같은 4볼트를 인가했을때 전류의 양은 4배가 되고 와트도 4배가 나오게 되죠. 전류는 열량이고 전압은 속도입니다. 비록 전류가 많이 흘러서 발열자체는 많이 된다해도 전압이 받쳐주지 못한다면 발열시간이 좀 걸리게 되죠. 19awg를 사용하려면 왠만하면 4볼트 중반 이상은 가야 좀 원활하게 사용이 될거에요. 그런데 같은 굵기를 가진 클랩튼 코일은 굵기는 굵으면서 전류의 양도 적습니다. 열 자체가 적게 나죠. 그걸 대신 전압으로 땜빵하게 되는 방식입니다. 예전에 메크모드를 많이 사용할때는 와트를 올리기 위해 전류사용을 극대화했어요. 그래서 코일 자체의 갯수를 많이 늘리는 방식으로 와트상승을 이뤘습니다. 듀얼코일이나 쿼드코일같은 방식이요. 그런데 요즘은 가변기기의 발달로 전압증가가 쉬워졌죠. 그래서 와트상승을 전류에만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된거죠. 그래서 클랩튼 코일같은 전압의존형 코일들이 유행하게 된거죠. 가변기기란건 전압을 바꾸는 기기입니다. 전압바꾸라고 만든 기기가 전압 바꾼다고 터지면 좀 웃기겠죠? |
지나펫님의 댓글

|
|
eesh님의 댓글

![]() |
@지나펫아.. 전 모드를 만들어서 써서 예열기능같은 고급기능은 경험해보지 못했어요 ㅡ.ㅡ;;;; |
지나펫님의 댓글

|
@eesh아.....근데 대단하시네요 만들어서 쓰시다니ㄷㄷ능력자!!그면 고볼트로지지고복던 안전하다는 말씀으로 용기를 얻고 고볼트로힘차게 뿜해보겠습니다!! |
eesh님의 댓글

![]() |
@지나펫위에도 썼듯이 전압은 속도와 관계가 깊습니다.자세히 보신적은 없겠지만 고전압으로 사용을 하게되면 솜이 액상을 빨아들이는 속도를 능가할때가 있어요. 코일 중심부터 시작해서 웰(액상 담는곳)쪽으로 말라가는 현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액상을 아주 넉넉하게 적셔놔도 그렇게 되죠. 그렇게 되면 탄맛이 나게 됩니다. 모 그정도의 전압까지만 올리지 않는다면 전압 조절하는건 그냥 취향이에요. 고전압을 받쳐줄 여건을 조성하는건 개인의 능력이겠죠. |
지나펫님의 댓글

|
@eesh감사합니다 점점 볼트 올려가면서하니깐 좋네여 벌써6볼트까지해봣어여ㅎㅎ6볼트도 맛이미미하게느껴지네요ㅠㅠ |
muzavi님의 댓글

|
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