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리퍼 관련 질문이요!!:)
본문
안녕하세요. 회원님들!
늘 기성코일 달린 무화기만 쓰다가
요즘 드리퍼로 급 눈돌아가고있는 유저입니다 ㅎㅎ
제가 몇가지 궁금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올립니다!
1. 드리퍼 입문을 해볼까하는데, 초보에게는 어떤 제품이 딱 적당할까요? 어떤분들은 군lp를 많이 추천하시던데 입문자가 쓰기 좋을런지요 ㅎㅎ
(현재 피코 + 클레이토 0.2옴 사용중입니다!)
2. 요즘 생긴 궁금증인데, 같은 저항이라는 조건에
드리퍼와 기성코일이 무화량이 많이차이나나요?
3. 리빌드는 한번도 안해봤지만 , 인터넷 돌아다니며 공부한고는 있는데
리빌드 하려면 리빌드 키트?인가? 그 도구들만 사면 괜찮나요?ㅎㅎ
그리고 보통 선을 칸탈선?인가 쓰시던데, 에일리언 클랩튼인가?ㅠ 그건 어떤가요?ㅎㅎㅎ
이제 슬슬 날씨도 풀리고있는 것 같네요! 환절기에 더더욱 몸 조심하시고 회원님들의 안전하고 즐거운 베이핑 기원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기성코일 달린 무화기만 쓰다가
요즘 드리퍼로 급 눈돌아가고있는 유저입니다 ㅎㅎ
제가 몇가지 궁금점이 있어서 이렇게 글올립니다!
1. 드리퍼 입문을 해볼까하는데, 초보에게는 어떤 제품이 딱 적당할까요? 어떤분들은 군lp를 많이 추천하시던데 입문자가 쓰기 좋을런지요 ㅎㅎ
(현재 피코 + 클레이토 0.2옴 사용중입니다!)
2. 요즘 생긴 궁금증인데, 같은 저항이라는 조건에
드리퍼와 기성코일이 무화량이 많이차이나나요?
3. 리빌드는 한번도 안해봤지만 , 인터넷 돌아다니며 공부한고는 있는데
리빌드 하려면 리빌드 키트?인가? 그 도구들만 사면 괜찮나요?ㅎㅎ
그리고 보통 선을 칸탈선?인가 쓰시던데, 에일리언 클랩튼인가?ㅠ 그건 어떤가요?ㅎㅎㅎ
이제 슬슬 날씨도 풀리고있는 것 같네요! 환절기에 더더욱 몸 조심하시고 회원님들의 안전하고 즐거운 베이핑 기원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0
댓글 6건
slugang님의 댓글

|
1.군이 단점없는 완벽한 드리퍼이나
입문이시고 리빌드도 안해보셨으니 클론이나 가격저렴한 드리퍼 벨로시티 추천 2.딱히 큰 차이가 없어요 기성코일중에서도 tfv8이상은 드리퍼 못지 않은 무화량 3.리빌드 관련해선 입문게시판 까시나무님 글 추천 |
베이비베이퍼님의 댓글

|
1. 저도 입문자입니다. 드리퍼는 군LP, 군 로스트아트, 트위스티드메시스24. 이렇게 세개 가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군류 빌드덱보단 트메가 편하더라구요. 군의 클램프 빌드덱이 저같은 초보한테는...... 처음에 빌드하다가 땀흘리고 코일 꼬다리 끊어먹고 위치조정하다가 물려놓은거 빠지고 난리 부르스 췄네요. 벨로시티 덱이 편한거 같아요.
2. 같은 저항이라도 몇게이지 선인지 싱글코일인지 듀얼인지 매크로엔지 스페이싱인지 솜양은 어떤지 액상vg농도는 어떤지. 변수가 너무 많더라구요. 해보시는게 답인듯. 저도 아직 찾아가는중. 3. 저는 코일마스터 리빌드 킷 그냥 시원하게 질러버렸어요. 아무래도 코일 말으라고 있는 공구들이라 기존 상품들 보다는 최적화된 느낌이구요. 저는 아직 니켈 티타늄선은 무서워서 도전은 못하겠고 칸탈선 쓰고 있어요. 클랩튼이나 에일리언 클랩튼도 칸탈선 여러개로 만들더라구요. 다른 와이어도 사용하는지는 저도 잘 ㅠ 드리퍼 입문 같이 화이팅해요 |
커피곰님의 댓글

|
1. 군 LP 등 플레이트 접합식 RDA는, 생각보다 초반에 코일 고정에 익숙해지는 데 어려운 편입니다.
미리 길이를 재단해야 하고, 그 재단한 길이를 클램프 위에 정확하게 올려놓아야 하고, 양쪽 코일 다리들의 배치, 즉 클램프 위의 코일 배치도 신경써야 합니다. 게다가 군 LP는 빌드덱이 일반 군 보다 많이 좁아서, 이후 코일 배치 및 에어홀 위치로의 이동 등도 신경써야 합니다. 입문 하시기엔 썩 좋은 드리퍼는 아니라고 판단합니다. 2. 단순히 '무화량' 이라고 표현하셔서 뭐라고 더 설명드릴 방법이 없습니다만.... 같은 저항이라는 조건에도, 히트 플럭스 및 히팅레인지 등 다양한 다른 조건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0.3옴은 22게이지 2.5가이드 5바퀴로도 나오고, 24게이지 2.5가이드 듀얼 7바퀴로도 나오고, 28게이지 쿼드 8바퀴로도 나오는 저항값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 모든 빌드들에서 발열되는 최고점 온도 및 발열하는 면적이 같다고 볼수는 없잖습니까? 이 부분은, 리빌드를 하면서 조금씩 배워 나가시면 금방 이해하시지 싶습니다. 3. 리빌드키트가 있으면 편합니다. 없어도 못하지는 않습니다만, 분명 아쉽습니다. 필요한 도구들을 하나하나 사모으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리빌드 키트에 포함된 드라이버보다, 유명한 베셀 사의 드라이버 들을 모은다던지.. 각 육각렌치 별로 더 좋은 툴을 이용한다던지.. 뭐 선택은 다양합니다만 필요한 특정 도구의 세트가 필요한 것은 사실입니다. 에일리언 클랩튼은, 칸탈선 혹은 칸탈선과 다른 재질의 와이어 (Ni80, 스뎅 등) 을 이용하여 코일끼리 여러 바퀴를 겹치게 감아, 저항수치 및 발열 계수를 더 쎄게 만든 코일을 말합니다. 클랩튼 와이어, 퓨즈드 클랩튼 와이어, 에일리언, 스태거드, 트레드밀.. 뭐 다양한 이름의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이 부분도 조만간 도전 해보시는 것도 좋은 경험입니다. 전 몇개월간 주력으로도 이용했습니다. :) |
욱이1004님의 댓글

![]() |
@slugang아 그렇군요 ㅎㅎㅎㅎ
답변감사드립니다! |
욱이1004님의 댓글

![]() |
@베이비베이퍼ㅎㅎ일단 더욱 고민해보고 공부해봐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ㅎㅎ |
욱이1004님의 댓글

![]() |
@커피곰이베이프 사이트를 구석구석뒤져서 공부해야겠습니다!ㅎㅎ
조망간 실제로 공부도해보구요 ㅎㅎ 답변 감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