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모드 통전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본문
안녕하세요, 고수님들!
얼마전까지 피코로 베이핑하다가 멕모드에 관심이 생겨서 저렴한 클론 하나를 들여왔습니다.
그래서 이벺에서 이것저것 자료를 찾아보며 공부하고 써보는 중였는데, 멕모드의 중요한 요소가 통전! 이더라구요.
도선에서 저항 없이 전류가 쭉쭉 잘흘려준다는 의미일테니 가지고 있던 미터기로 저항을 측정해봤습니다.
숫자를 보니 스위치를 닫기전에는 대략 1.5~2M 옴이 찍히고 스위치를 닫으니 0.3옴이 찍혔습니다.
그런데 0.3옴 정도면 거의 코일의 저항 값이나 다름이 없는데, 이런 부분도 멕모드의 통전 특성에 영향을 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0
댓글 13건
eesh님의 댓글

![]() |
미터기를 어떤걸 쓰셨는지 모르겠지만 실제 0.3옴일수도 있고 그 이하를 못재서 그렇게 나왔을수도 있어요.
어떤 모더가 테스트를 해봤을때 상당히 통전성이 좋다는 모드를 재봤을때 대략 0.07옴 정도 나왔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보통 0.1옴은 나온다고 봐야겠죠? 배터리 자체의 저항이 대략 0.025에서 0.04정도 나올거고요. 그렇다면 만약 0.3옴 정도의 코일을 꼽은 기기라면 그 기기의 총 저항은 적어도 0.425옴 정도 나온다는 말이 되요. 배터리에서 나오는 전류의 양은 만충전압 4.2볼트일때를 기준으로 9.9A정도 흐릅니다. 실제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2.97볼트 대략 3볼트가 걸립니다. 분압회로의 특성상 코일을 제외한 기기의 저항이 낮을수록, 코일을 포함한 전체저항에서 코일저항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전압이 걸립니다. 메크모드의 저항이 높으면 우선 전류의 양이 줄죠. 거기에 총 저항(메크모드의 저항 + 코일의 저항)에서 코일저항의 비율이 적어지므로 코일에 걸리는 전압이 적어집니다. 한마디로 와트가 줄죠. |
코코나미님의 댓글

|
잘못 측정하신거 같은데요..
어떻게 측정 하셨어요..? 플러스 마이너스 접점부를 굵은 도선으로 연결하고 측정하셨나요..? 510 컨텍터로 측정하신건가요...? 단차된 회로에 저항이 있을리가...? |
코코나미님의 댓글

|
@eesh잘못 설명하셨네요
코일과 멕의 전체저항은 전체 전류량에 영향을 주지만 각각 코일과 멕의 저항에 따른 전압은 서로 틀립니다. |
십이지장님의 댓글

|
@코코나미그런가요?? 스위치와 510 커넥터가 연결되는 위치 두군데를 미터기로 직접 찍었습니다
제가 알고싶었던건 -쪽 도선 역할을 하는 경통의 저항값이 얼마나 되는지 였거든요 허허 |
십이지장님의 댓글

|
@eesh으어 어렵네요 몇번 다시 읽어봐야겠습니다...답변 감사드립니다! |
코코나미님의 댓글

|
@십이지장일단 어지간해선 그냥 쓰시는데 문제 없습니다.
자동차로 따지면 연비와 출력 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통전 좋은 멕모드라도 저옴 몇번 빨면 베터리 그지 되서 그넘이 그넘이에요 |
십이지장님의 댓글

|
@코코나미그렇군요..멕모드로 뭔가 엄청난걸 기대하면 안되겠다는걸 느끼는 요즘입니다...ㅠㅠㅠ
아, 멕모드 사용할 때에는 저옴보다는 무난한 정도??음...0.5 안팎으로 쓰는게 그냥 속편할까요..?ㅋㅋㅋ |
코코나미님의 댓글

|
@십이지장네 0.5 서브옴이 표준이에요 |
십이지장님의 댓글

|
@코코나미크흡..답변 감사드립니다!! |
eesh님의 댓글

![]() |
@코코나미모가 틀리죠? 아주 기초적인 voltage divider에 대한 설명이잖아요. |
eesh님의 댓글

![]() |
@십이지장메크모드는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에요. 우선 배터리를 나와서 센터핀을 거쳐 무화기의 코일을 지난 다음 모드기의 몸통을 거쳐 다시 배터리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전체의 저항이 직렬의 형태를 띠고 있어요. 직렬회로에서 총 저항값은 모든 저항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배터리에도 자체적으로 저항이 있는데 고방전 배터리의 경우 대략0.025옴에서 0.04옴 정도 나와요. 센터핀을 포함한 모드기의 몸통까지 퉁쳐서 대략 0.1옴 정도 된다고 치고 코일을 0.3옴짜리 달았다고 치면 이 기기의 총 저항은 0.025+0.1+0.3해서 0.425옴이 된다는 말입니다. 배터리의 전압이 4.2볼트일때라고 치면 전류의 값은 4.2/0.425 해서 9.88...A가 나와요. 전류의 값은 회로의 어느 부분을 재던 똑같이 나와요. 직렬회로는 전압은 달라져도 전류의 양은 항상 같습니다. 그럼 각 부분에 걸리는 전압을 알아보면..
우선 배터리에서 감소되는 전압은 9.88*0.025해서 0.247V가 떨어집니다. 모드기에서 감소되는 전압은 0.988V가 되고 코일에서 감소되는 전압은 2.964V가 되요. 3개 부분의 전압의 합은 원래 배터리의 전압과 같아집니다. 0.247+0.988+2.964=4.199가 나와요. 전류계산할때 소숫점 떨군것땜에 4.2V는 아니었지만 정확히 계산한다면 4.2가 나옵니다. 만약 0.3옴 대신 1옴짜리 코일을 꼽는다면.. 전체저항은 1.125옴이 되요. 전류의 값은 3.73A가 나옵니다. 이때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3.73볼트가 되요. 0.3옴의 코일을 꼽았을때보다 1옴의 코일을 꼽을때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더 높아집니다. 만약에 코일을 0.3옴을 그대로 꼽았는데 모드기의 저항이 좀 높아서 0.2옴이었다고 치면.. 전체 저항은 0.525옴이 됩니다. 전류의 값은 8A가 나와요. 이때 0.3옴의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2.4V가 됩니다. 전체 저항에서 코일을 제외한 부분의 저항이 높아지면 코일에 걸리는 전압은 더 떨어지죠. 실제 사용에서는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서 배터리 자체의 저항이 올라가거나 모드기의 오염으로 모드기 자체의 저항이 올라가는 경우 저런 식으로 전압강하가 진행되곤 합니다. |
코코나미님의 댓글

|
@eesh제가 글을 잘못 이해 했네요.
뒷에말을 잘못 이해했네요 맞습니다. ^^ |
eesh님의 댓글

![]() |
@코코나미ㅎㅎ 저도 적으면서도 좀 아리까리하게 적었나 싶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