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할때요..
본문
보통 보키님꺼 프리믹스30ml구매해서베이스에 섞어서 100ml만들어서 먹어보고 맛있으면 90ml사서 300만드는데요.
권장비율이 pg3 vg7이라는데요 프리믹스가 90ml이면 프리믹스=pg니까 vg만 대량구매해서 vg210ml에 향료(프리믹스)전부 섞으면 300ml이 되는거 맞나요? 여기에 읍읍이를 300ml다섞은것에 9.3ml넣어서 총 309.3ml되게끔 만들면 3mg농도의 309.3ml맞는거죠? 베이스살필요가없어지는게 맞는거죠? vg만 뭉텅뭉텅 살까봐서요 제가 생각한게맞으면요.
권장비율이 pg3 vg7이라는데요 프리믹스가 90ml이면 프리믹스=pg니까 vg만 대량구매해서 vg210ml에 향료(프리믹스)전부 섞으면 300ml이 되는거 맞나요? 여기에 읍읍이를 300ml다섞은것에 9.3ml넣어서 총 309.3ml되게끔 만들면 3mg농도의 309.3ml맞는거죠? 베이스살필요가없어지는게 맞는거죠? vg만 뭉텅뭉텅 살까봐서요 제가 생각한게맞으면요.
추천 0
댓글 6건
새벽님의 댓글

|
읍읍이만 제외하면 맞습니다.
읍읍이의 경우 저도 님이 계산한 방식으로 넣긴하는데 읍읍이 투하량이 9.3이면 vg는 200.7ml를 넣기도 해요.. 님의 경우는 후자를 추천합니다.. |
쌔뵹님의 댓글

|
@새벽프리믹스를 pg로 볼때 vg70되게끔 넣으면 맛이없다고 그래서 pg6에 vg4를 권장한다고 하는데 어찌해야할지 모르겠어요 ㅜㅜ 보키님은 권장량을 vg7로 하라하시던데 ㅠ |
연상운님의 댓글

|
아... 제가 답변 드렸던 내용이네요.
3:7 비율액상을 만들 때 향료 프리믹스의 비율이 꽉 차 있어서 뺄 PG가 없는 경우에는 적으신대로 전체 300ml에서 9.3ml의 희석니코를 넣어 완성액상 309.3ml로 만들기도 하구요. 이때는 PG의 비율이 약간 늘면서 향이 희석되는데 맛이 느껴질정도로 큰 변화는 없더라구요. 아니면 VG 210ml에서 9ml를 빼면... 프리믹스 90ml + VG 201ml + 희석니코 9ml 이렇게 니코가 포함된 완성액상 300ml를 만들기도 합니다. 이 경우는 PG와 VG의 비율이 좀 더 벌어지는데 솔직히 블라인드 테스트 하면 차이를 구분하긴 어렵더라구요. 일단 저는 첫번째 방법을 선호합니다. 물론 위의 두가지 방법 모두 니코농도는 3mg으로 동일합니다. 중요한건 100mg/ml 농도의 희석니코를 사용한다는 전제 하에서 입니다. |
쌔뵹님의 댓글

|
@연상운프리믹스를 pg로 볼때 vg70만들때요 vg210ml달구 프리믹스90넣으면 맛이 떨어진다거나 그런가요..? 다른분들이 그러시는데.. 생각엔 똑같을거같아서요 ㅜㅜ |
연상운님의 댓글

|
@쌔뵹향료의 %가 동일해도 PG와 VG의 비율에 따라서 입에서 느껴지는 맛의 농도나 느낌이 다릅니다. PG가 맛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는데 혹시 입호흡을 하신다면 PG의 비율을 높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액상에 따라서 다른데 저는 입호흡용으로는 평균적으로 5:5의 비율이 많습니다. 개인차가 있는 부분이라서 딱히 어떻게 권장해드리기가 쉽지 않네요. 여유를 두고 경험하시면서 만들어보세요.
그리고 아래서 새벽님의 말씀대로 레시피 원작자의 의도가 중요한데 레시피 설명이나 댓글에서 폐호흡 입호흡용 비율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새벽님의 댓글

|
@쌔뵹원작자가 제시한 비율이 7:3이고 그 비율에 따라서 만드는것이므로 해당없는 사항입니다..
다만 권장비율이 5:5등등에서 7:3비율로 만들때 vg비율이 원래의 의도보다 높아지면서 맛이 조금 흐려지는 현상으로인해 향료 비율을 높이고 프리믹스의 경우는 100ml 만들것을 90ml로 만든다던지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