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 체크하는법
본문
핑크색 피복에 흠집이 있나 없나만 체크해주면될까요?
추천 0
댓글 12건
옴보이님의 댓글

|
+,-극 체크해보시구요
자연 방전율이 높다면 내부저항이 높은 배터립니다 수명이 다했죠.. |
늅베이프님의 댓글

![]() |
@옴보이방전율은 허준충전기 그런거에 꽂아야 알수있나요? |
옴보이님의 댓글

|
@늅베이프네 모드버튼 누르셔서 ir 기능으로 충전중 확인가능합니다
100이하로 나와야 합니다 |
엑셀파워님의 댓글

|
우선 올려주신 제품은 일반방전용 배터리로 전자담배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제품입니다. 전담에 사용하시려면 고방전 배터리를 사용하시는것을 권장드립니다. |
티벳여우님의 댓글

|
@엑셀파워사진상에 나와있는 건 비보호 고방전 배터리가 맞는데요? |
아요유님의 댓글

![]() |
저도 똑같은 배터리 사용중인데 너무 빨리 방전이 되서 이게 지금 배터리 문제인지, 기기 탓인지 아니면 베이핑 습관인지 고민중입니다..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엑셀파워사진상 배터리 26F 는 최대방전전류 스펙이 5.2 A 로 분류 상으로는 고방전이 맞긴한데...
이걸 전담용으로 쓰기는 확실히 무리가 있습니다.. |
엑셀파워님의 댓글

|
@티벳여우해당 배터리의 스팩상 최대방전전류 5.2A를(2C 방전율) 고방전배터리라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5.2A 최대 방전전류 사용시 소비전력이 공칭전압기준 20W가 조금 부족한데 모드기에서 코일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60~80W 정도 셋팅해서 사용하시기 때문에 전담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배터리 스팩이라고 생각합니다. |
엑셀파워님의 댓글

|
@세리아크음~~위에 티벳여우님 댓글에 남겼듯이 2C 방전율을 고방전이라 분류하지는 않거든요. |
엑셀파워님의 댓글

|
@아요유의외로 26F를 고방전으로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시군요. 기기에서 셋팅한 소비전력을 참고해 보시면 해당 배터리로 원활한 전력을 공급하기엔 무리가 있을것 같아요.
아요유님이 경험하신 것처럼 빠른 전압강하로 방전이 빨리 되는것처럼요. |
세리아크님의 댓글

|
@엑셀파워좀 찾아보니 2-5 C 를 중방전으로 분류해 놓은 글이 한개 있긴 하네요.
제가 검색 능력이 부족한 건지 모르겠지만 국내/해외 열심히 찾아봐도 몇 이상이면 고방전이다 확실히 말해주는 곳이 없어서요. 해서 나름 내린결론이 1C 위면 나름 고방전이라 불러도 되겠다, 였는데 아닌가 보네요. 어디에서는 드론등에 쓰는 70C 짜리 LiPo 배터리를 고방전이라고 적어놓은 곳이 있고, 쇼핑몰 등에서는 사진상에 있는 26F 나 35E 도 고방전으로 등록된 곳이 있어서 무슨 기준이 있나 찾아봤는데, 보이질 않네요. 배터리 업계 분이시니 더 확실한 답을 주실 수 있겠네요. |
엑셀파워님의 댓글

|
@세리아크기준의 차이가 조금씩 있긴 하지만 방전율 기준 1~2C(일반방전), 5~8C(중방전), 10C 이상을 고방전으로 분류하는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예전에 비해 배터리 기술이 많이 발전되면서 배터리가 지원하는 방전전류가 중요한 포인트가 되었는데요. 우선 사용하시고자 하는 제품에 안전하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지 방전전류를 확인하시고 배터리를 선택하시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일반방전용인데 기기에서 높은 전류를 요청하면 배터리 입장에서는 우선 공급을 합니다. 당연히 가지고 있는 한계치를 오버해서 공급하겠죠. 그럼 발생하는 1차적인 증상이 발열입니다. 한계치를 오버해서 공급하니 힘겨운거죠. 발열이 심해지면 사용자는 안전을 위해서 우선 작동을 멈추어야 합니다. 이렇게 지속으로 사용하다 보면 배터리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서 완충 후에도 얼마사용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전담같은 경우 히팅할때만 2초이내 짧은시간 전력을 사용하니 위와 같은 증상을 경험하긴 드물겠지만 배터리 입장에서는 순간순간 무리하게 공급하는 중인거죠. 그래서 고방전배터리를 사용하시는것이 안전에도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말이 길어졌네요^^ 위에 말씀주신 26F는 일방방전 / 35E는 중방전으로 구분하시는게 맞을듯 합니다. 그리고 현재 기술적한계로 방전율이 높을수록 용량의 한계가 있는것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가 개발되면 개선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상용화되려면 앞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요..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