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손상 정도
본문
멕 바텀에 Gorge RDA를 올리려고 원래 있던 센터핀을 빼고 동봉된 BF 핀으로 교체했습니다.
올리고나서 파이어 했는데 파이어가 안되고 배터리가 순간적으로 엄청 뜨거워졌습니다.
급히 뺐다가 이것저것 점검해보고 다시 파이어 했는데 또 뜨거워졌습니다.
그러다가 원래 있던 센터핀을 보니 핀과 커넥터 사이에 절연체가 있더군요.
이 절연체를 BF 핀에 꽂아서 커넥터에 삽입하니 그제서야 배터리 과열없이 정상 파이어가 되었습니다.
여기서 질문은 이 배터리는 얼마나 손상을 입었을까 하는 점입니다.
배터리는 30Q를 쓰고 있고 과열됐을 때 얼른 빼긴 했는데, 배터리 음극 접점 부위를 보니 배터리에서 분출된
것으로 보이는 하얀 가루가 보여서 닦아내기도 했습니다.
배터리 양극 쪽이면 모를까 음극 쪽에는 이런 게 분출될만한 무언가가 없는데 무슨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요?
추천 0
댓글 2건
라온베이프님의 댓글

|
쇼트나면서 배터리가 최대 출력을 내 버린 경우인 것 같네요.
충방전이 원활하지 않을꺼에요. 아쉽지만 버리고 새로 구입하시는 게 좋으실꺼에요 |
평민님의 댓글

|
허연가루는 뭘까요..
1. 배터리의 온도 상승 만약 쇼트가 일어난 것이면 님이 생각하거나 배터리에 기재된 방전 전류보다도 더 큰 전류가 흐릅니다. 강한 전류가 흐르거나 고온 상태에서 전자가 이동하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더 높은 열이 납니다. 더 나아가서 열폭주 상태가 되어 폭발 할 수도 있습니다. (만약에 보호회로 있어도 열폭주나면 다 터질때까지 기다려야함 못막음.) 2. 배터리 양극 가루 이건 솔직히 모르겠네요.. 배터리에서 나온건지 아닌지 추측인 부분인지라.. 배터리에서 나왔다고 해도 뭔지 모르겠네요 ㅋㅋ 왠지 추측상 합제에서 세어나올수도있겠는데.. 팽창하면서 전해액이 흘러나와서 굳을리가 있나.. 일단 세어나왔다고 한다면 배터리 내부압력 및 알루미늄 캔 손상입니다. 나오면 안될곳에서 나와버린거겠죠 만약 진짜로 배터리에서 나온거면 사용하지마세요. 배터리는 한번 문제가 터지면 서로 다른 현상에 원인을 제공해 줌으로써 악순환이 계속 적으로 생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