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da 빌드하는데 저항값이 이상해요
본문
듀얼빌드 했더니 계속 shorted가 뜨는 겁니다. 지금까지 이런 적이 없었는데 42피스 코일(6개씩 7가지 코일이 든 제품)세트를 구매해서 듀얼 빌드시 2.1 옴 값이 나온다는 코일 두개로 빌드했더니 숄트가 나는 겁니다. 이상해서 빼고 다시 같은 종류의 새로운 코일로 했는데도 또 숄트가 나요.
제가 한 거라고는 그 코일의 다리 길이가 너무 길어서 1cm 정도로 만든다음 빌드한 것 뿐입니다.
혹시나 해서 코일 하나 빼고 싱글 빌드로 해보았더니 숄트가 안 뜨는데 문제는 옴수가 0.1 옴으로 나옵니다. 0.1옴이 싱글 빌드로 맞는 건가여? 2개 사용시 0.21옴 짜리가 어떻게 한개 사용하는데 0.1옴이 뜨지요? 원래 같은면 한개 사용시 0.42옴이 떠야 하는 거 아닌가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처음 이런 일이 벌어져서 너무 무섭네여..
제가 한 거라고는 그 코일의 다리 길이가 너무 길어서 1cm 정도로 만든다음 빌드한 것 뿐입니다.
혹시나 해서 코일 하나 빼고 싱글 빌드로 해보았더니 숄트가 안 뜨는데 문제는 옴수가 0.1 옴으로 나옵니다. 0.1옴이 싱글 빌드로 맞는 건가여? 2개 사용시 0.21옴 짜리가 어떻게 한개 사용하는데 0.1옴이 뜨지요? 원래 같은면 한개 사용시 0.42옴이 떠야 하는 거 아닌가요?
답변 부탁드릴게요. 처음 이런 일이 벌어져서 너무 무섭네여..
추천 0
댓글 11건
고래베이프님의 댓글

![]() |
빌드사진보여주시면 이유를 찾아볼수 있지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NICSON님의 댓글

|
사진을 올려주시면 좀 더 원인 분석이 쉬울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자면 중간에 어딘가 다른 경로로 전기가 흐를 만한 통로가 생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코일 자체의 불량(하지만 이경우는 구조가 단순한 RDA상 원인이라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무화기 덱 내부 어딘가 코일을 자른 잔해물이 닿아있다 캡을 씌웠을때 코일이 캡에 닿았다 코일 다리가 포스트가 아닌 다른 부분이 맞닿았다 절연체 부분이 손상되었다 제가 생각나는건 일단 이정도거든요 자세히 여기저기 보시고 원인이 될만한 부분을 찾아보세요 |
우나기님의 댓글

![]() |
아 제가 잘못 알았네요. 싱글 빌드시 0.21옴 짜리였네여. 근데 다리를 제가 짧게 하면서 0.1옴이 되었나봐요. 싱글빌드 0.21옴으로 나온 제품을 다리 자른다고 0.1이나 줄어들지는 몰랐어요..
그리고 숄트 난 것은 tda 돌려서 본체와 분리해 보니 액상이 흠뻑 젖어있네여.. |
고래베이프님의 댓글

![]() |
@우나기저항이 낮게 나오는게 다리를 잘라서가 아니고 핫스팟을 잡기 전이라서 그럴거에요
핫스팟 잡고나면 저항값이 올라갑니다 |
우나기님의 댓글

![]() |
답변 감사합니다~ |
우나기님의 댓글

![]() |
@고래베이프코일이 감아져 있는 제품이라 핫스팟 안 잡았는데 잡아야 하는가봐요… 늘 직접 감아서는 사용하다가 정교하게 말려있는 제품을 구입해서 핫스팟 안 잡았어요.. |
고래베이프님의 댓글

![]() |
@우나기핫스팟은 꼭 잡으셔야해용~~ |
우나기님의 댓글

![]() |
@고래베이프핫스팟 안 잡고 0.1옴으로 써도 되나요? |
우나기님의 댓글

![]() |
@고래베이프아 넵! 감사합니다 ^^ |
고래베이프님의 댓글

![]() |
@우나기저항값을 떠나서 핫스팟은 꼭잡으세요
핫스팟안잡으면 열이 골고루 안퍼져서 솜이 끊어지거나 코일에 손상이 갈수 있습니다 |
NICSON님의 댓글

|
@우나기고래베이프님이 거의 다 말해주셨지만 추가로 말씀드리면
프리빌트 그러니까 미리 말아놓은 제품을 쓰더라도 체결하면서 조금씩 틀어지기 때문에 핫스팟이 생깁니다 핫스팟, 말그대로 뜨거운 곳이라는 뜻인데 특정 부분에 열이 몰리기 때문에 액상이 아무리 많이 젖어 있어도 그 부분의 솜이 타거나 너무 타서 끊어져 버립니다 그리고 코일 자체 또한 해당 열로 인해서 끊어지는 일이 발생합니다 그러니까 핫스팟은 꼭 잡아주셔야 합니다 콜드옴 이라는 말도 있는 만큼 핫스팟을 잡기 전과 잡은 후 저항값은 차이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