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SA WYE 200W 안정적인 볼트(V) 질문드립니다. 전기 고수분들 답변 요청…
본문
안녕하세요
TESLA WYE 200W 쓰고 있는 유저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칩에 무리 가지 않으면서 최적의 조건을 찾고 싶거든요.
스펙에 보면 MAX OUTPUT CURRENT &VOLTAGE가 각각 45A, 8.4V라고 되어 있는데요.
자동차로 비유하자면, 시속 220km/h까지 가능하지만 그 속도로 계속 달리면 위험하니 120~130정도 달리잖아요. 이것 또한 MAX 스펙으로 계속 사용하면 위험할 거 같습니다.그래서, 궁금한 것이 칩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CURRENT&VOLTAGE를 알고 싶습니다. 그거에 맞춰서 저항값(옴)을 최대한 낮춘 후 무화량을 많이 하고 싶거든요.
보통 폐호흡 할 때 칸탈 24게이지 0.26,27 옴 맞춰서 쓰고 있는데요.
0.15옴, 120w 쓰게되면, 전류 28.28A, 4.24V로 max 스펙에서 60%정도로 쓰게 되거든요?
MAX 스펙이라 함은 칩에 무리 가기 직전이니깐 60%정도 사용하게되면 딱 괜찮을 거 같은데요.
그리고 배터리도 18650는 20A니깐 저 스펙에 안되니, 20700 30A를 써야 되는데
그러면 tesla wye가 아닌 20700이 적용되는 기기를 사야겠네요?
제가 놓친 부분이 있나 해서 여쭤봅니다. 이런 얘기 하고 싶은데 어디 말할데가 없네요 ㅜ
혹시 고수 분들 이 내용에 대해서 아시는 거 있으시면 답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
댓글 11건
세화님의 댓글
|
|
와이200은 두발가변이예요.
그런데 계산을 배터리 한발로 계산하셨어요. :D 제가 글을보면서 느낀건데 코일옴값,본인의 베이핑 습관인 장타연타,그로인한 발열 등등 을 종합해서 생각하시는게 좋지, 기기의 스펙에만 기준을잡아서 생각하시는건 좋지않다라고 생각이되요. 보통 3.5~4.2v 사이에서 베이핑을 많이 하셔요. |
왕이님의 댓글
|
|
배터리에 무리가는게 싫으시면 20700쓰시는게 맞고
기기를 오래쓰고싶으시면 자체중전, 충격, 발열관리 하시면됩니다. 굳이 기기스팩따져서 무리안가는 마지노선을 찾아서 최대한끌어올려서 사용할 필요없습니다.. |
규딩님의 댓글
|
|
마자요 그정도 안하고 무리안주려면 rx300으로 세발로 100w정도쓰면...될거같아요 0.15옴은 8090 사이에서도 맛잇게먹엇습니다
더높이면 액튐이나 증기가너무뜨겁드라구요 |
물한잔할래님의 댓글
|
|
답변 감사해요 ^^ 다들 같은 생각이시네요.
제가 하나 빼먹은게 하나만 배터리 하나로 계산 했으니 2발이니 40A 한계로 보고, tesla wye 200w를 0.15옴으로 하면 120w만 해도 전류가 28.28A니깐 18650 2*20A에 들어가서 사용은 가능하네요. 아하!! 그래서 mech mode 할 때 한 발로 하면서 21700,20700을 쓰시는 구나!! 보니깐 기기 자체의 스펙은 어차피 높아서 괜찮고, 배터리 스펙이 맞추면 되겠더라고요. 18650이 3.7v에 충전을 4.2v로 하니깐 그 사이에 내 입맛에 맞는 w찾아서 베이핑 하면 되는거죠? 감사합니다^^ |
eesh님의 댓글
|
|
가변기의 컨버터가 전압을 변환하기 때문에 맥스스팩이라고 적으신 스팩은 배터리를 사용할때 배터리에서 뽑아내는 스팩(?)과 달라요. 120와트라는 "출력와트"를 낼때 4.24볼트라는 "출력전압"과 28.28암페어라는 "출력전류"를 사용하잖아요.
그런데 그 28.28암페어라는 전류량이 배터리에서 뽑아내는 "입력전류량"이 아닙니다. 계산을 해보죠. 4.24*28.28해서 120와트가 나왔어요. 손실이 아~주 적다고 가정하고 배터리도 120와트라는 "입력와트"를 내준다고 가정하면 "입력전류"가 28.28암페어일까요? 그러면 "입력전압"은요.. "입력전압"은 4.24볼트가 아닙니다. 배터리의 사용량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략 공칭전압을 써서 계산해도 직렬 2발이기 때문에 7.4볼트가 나옵니다. "입력전압"은 7.4볼트라고 하고 "입력전류"가 28.28암페어라면 와트로 계산하면 209와트가 나옵니다. 배터리에서 209와트를 뽑아내서 출력을 120와트만 한다면 나머지 89와트는요..너무 손실이 큰 가변기죠. 못써먹는 기기에요. 결론은 가변기의 출력스팩과 배터리의 입력스팩은 와트로만 대응합니다. 와트로만 대응한다는건 입력전압이 올라가면 그만큼 입력전류값은 내려가요. 120와트라는 출력와트를 내기위한 입력전류값은 입력전압이 7.4볼트로 높아졌기 때문에 입력전류는 16.22암페어로 내려가게 됩니다. 만약 배터리가 3직렬이라면..120/11.1해서 10.8암페어정도로 낮아진 전류량을 배터리에서 뽑아내게 됩니다. 열심히 따옴표까지 써가면서 썼는데 출력과 입력은 구분되야 합니다. 기기의 안전한 스팩은 손실도 따져봐야하고 배터리의 컷오프전압도 따져봐야하고 그래요. |
물한잔할래님의 댓글
|
|
@eesh와우 제가 정말 궁금했던 부분을 지적해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
그런데, 기기에 3.7v로 표시 되어있는데, 입력전압이 7.4v가 되는건가요? 그리고 배터리가 직렬연결로 되어있는가요? 분해를 안해봐서 모르겠는데 보통 병렬 연결아닌가요? 병렬로 생각해서전압 그대로라고 생각했거든요. 그리고 안전한 스펙을 알고 싶은데, 손실과 컷으포 전압도 알고 싶습니다. 귀찮으시겠지만, 간곡히 부탁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
윙꾸님의 댓글
|
|
@물한잔할래모드기는 직렬연결입니다 병렬연결을 하려면 체결할때 극성이 같아야합니다
배터리가 들어갈때 왼쪽에 +극이 위쪽을 향하고 있다면 오른쪽도 마찬가지여야 하죠 모드기에 칩셋이 탑재된 이유가 뭘까요? 손쉽게 와트조절하면서 출력을 조절하기위해서죠 직렬연결은 전압이 3.7x2 그러니까 7.4V로 쏘게되는데요 만약 7.4V를쏘고 나머지 전류를 그냥 흘려보내버린다면 배터리소모량이 엄청나겠죠? 하지만 두발기기가 한발기기보다 오래가잖아요? 그렇다는건 무조건 7.4V로 출력이 일정한게 아니라 그때 그때 필요한 만큼만 전류를 끌어서 사용한다는겁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전류입니다 질문자님께서 원하는건 안전한 선에서 최대출력을 원하시는 것 아닙니까? 건전지의 지속방전률이 20a짜리를 두개 사용해서 40a라고칩시다 그럼 40a까진 안전하다는말이죠 최대방전률이아니라 지속방전률이니까요 그럼 최대를 원하니 전류와 전압을 최대치로 두구요 저항 R값을 구해보면 r=v/r = 7.4/40 = 0.185 0.185옴으로 사용하시면 안전한 범위 내에서 최대출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드기기 칩셋의 원리를 보시면 기본적으로 도체저항과 전지의 내부저항 등을 어느정도 의식해서 출력을 올리게됩니다 그래서 매키니컬모드기와 가변기와의 느낌이 다른 것 입니다 결론적으로0.185옴으로 7.4V를 맞추고 베이핑하셔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칩셋의 제작자가 아닌지라 출력을 어느정도 높여놨는지도 알 길이 없습니다 그래서 확실한 답변은 그 누구도 드릴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냥 적당하게 쓰시는게 좋지 않을까요? |
윙꾸님의 댓글
|
|
@윙꾸옴의법칙 R=V/I로 정정합니다 |
eesh님의 댓글
|
|
출력방전량은 배터리의 방전량과 상관이 없어요. 컨버터 내부에 있는 부품중에 인덕터라는 부품과 커패시터라는 부품에 의해 출력방전량이 결정됩니다. 그 부품 다 에너지를 충전했다 방전하는 충전지같은 특성이 있어요. 아주 빠르게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면서 마치 끊임없는 전류(DC)를 보내주는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충전중엔 조금씩 전압이 오르고 방전중엔 조금씩 전압이 떨어지죠. 그래서 유튜버들이 보여주는 출력 그래프들을 보면 톱니모양처럼 물결모양이 나타납니다. 리플이라고 하죠. 가까이서(?) 보면 출렁거리지만 멀리서 보면 직선으로 보이기 때문에 직류라고 하고요. 그 리플을 최대한 줄여주기 위해 커패시터가 쓰이게 됩니다. 보통 가변기를 까보면 가장 커다란 벽돌같은게 인덕터라는 부품이에요. 대부분 한개가 꼽히지만 DNA250같은 경우 두개가 꼽히죠. 두개가 싱크로 작동하면서 다른 기기에 비해 더 많은 전류량을 감당하게 됩니다. DNA250의 최대출력전류량이 50A정도니 개당 25A씩 감당하는 거죠. 인덕터를 마냥 늘리기에는 크기도 커지고 가격도 오릅니다. 둘다 제조하는 입장에선 안좋죠.
안전한 스팩은 보통 모드를 만들어 쓰는 사람들이나 전기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이 암묵적으로 정한 스팩이에요. 보통 CDR이 20A인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20A를 기준으로 설명할게요. 제가 위에 쓴 글을 이해하셨다면 아시겠지만 배터리의 방전량은 배터리의 전압이 최고일때 가장 적고 배터리의 전압이 가장 낮을때 가장 커져요. 모드기에선 컷오프 전압 바로 전이 가장 방전량이 커지는 시점입니다, 32와트를 내기 위해 배터리의 전압이 4볼트일때는(한발이나 병렬의 예시입니다) 8A의 전류가 필요해요. 그런데 배터리가 방전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다가 배터리의 전압이 기기의 컷오프 전압인 3.2볼트에 근접하게 되면 10A의 전류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런 식으로 기기의 스팩을 고려할땐 배터리의 최저전압인 컷오프 전압을 고려해야해요. 전압 높을때야 널널하지만 전압 낮을땐 배터리에게 무리가 오는 전류량을 방전할수도 있거든요. 그래서 배터리 한발당 3.2V * 20A해서 64와트 정도가 배터리가 가장 안전하게 낼수 있는 와트수라고 봐요. 그런데 배터리가 64와트를 내줬다고 해서 순수하게 기기가 64와트를 다 써먹는게 아닙니다. 배터리에서 64와트를 내줬다고 해도 기기에서 여러가지 부품을 거치는 동안 열로서 날아가는 손실이 발생하게 되요. 부품들과 컨버터 자체의 효율 등을 다 고려해보면 대략 평균 90프로 정도의 효율을 보입니다. 이볼브같은 회사처럼 데이터쉬트를 공개하는 곳에선 알기 쉽지만 다른 곳은 데이터쉬트를 공개를 안하니 일반적인 컨버터의 효율을 대입시키게 되죠. 광고에선 90중후반의 효율이라고 자랑하지만 사실 같은 기기라도 컨버터가 내는 전압에 따라서도 효율이 변해요. 그래서 대략 보는 효율을 90프로 정도로 잡죠. 그럼 64와트의 입력으로 써먹을수 있는 출력은 대략 58와트정도 되요. 두발이면 116와트 정도. 그냥 가장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다 싶은 가이드라인이니 참고만 하세요. |
물한잔할래님의 댓글
|
|
@eesh집에 와서 이제 글 읽습니다.
먼저, 장문의 답글 달아주셔서 너무나 감사드리고요. 내용에 대해서 100%는 아니지만 하고자 하시는 말씀은 이해한 거 같습니다. 이 글을 몇 번 읽어보겠습니다. 결론은 0.2옴 언저리에서 쓰고 3.7v 맞춰서 그냥 써야겠네요... mech mode는 어떤 메커니즘으로 돌아가는지 몰라서 좀 더 공부해보고 접해야 할 거 같아요. 무화량 늘리려고, 칸탈에서 니크롬으로 바꿔 쓰려합니다. 매우 긴 글 쓰시느라 수고하셨습니다. 많이 배웠습니다. 고마워요 ~~ ^^ |
eesh님의 댓글
|
|
@물한잔할래많은 사람들이 가변기에서도 저항을 따지는데 사실 가변기에서 배터리의 안전스팩같은걸 따질때 저항은 거의 관련이 없다고 보심 됩니다. 가변기에서 허용 저항은 가변기가 소화할수 있는 전류량에 가변기가 소화할수 있는 전압에 의해 결정이 되요. 배터리의 스팩이 아니라요. 배터리는 그냥 가변기가 필요로 하는 와트만 맞춰주면 끝입니다. 수치로 예를 들어보자면 32와트로 맞춰서 베이핑을 한다쳐보죠.
0.5옴의 코일을 꼽아서 32와트를 맞추면 4볼트에 8암페어로 출력이 됩니다. 배터리는 32와트(보다 조금 높지만)만 맞춰주면 되요. 배터리의 전압이 4볼트라면 8암페어를 뽑아낼것이고 직렬이라 8볼트라면 4암페어를 뽑아내겠죠.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좀 미쳐서 고옴세팅을 해보자 하고 2옴의 코일을 꼽고 32와트를 맞춘다 가정을 해보면 8볼트에 4암페어의 출력값을 가지게 되요. 그런데 그때도 배터리는 결국 32와트만 내주면 됩니다. 가변기에서 배터리는 가변기에 꼽힌 코일의 저항이 몇이던 간에 결국 와트수만 맞춰주면 끝입니다. 전에도 말씀드렸지만 와트로만 대응해주면 되거든요. 배터리가 몇와트를 전해주면 가변기의 컨버터는 그 와트를 가지고 필요로 하는 전압과 전류로 다시 재조립(?)을 하게 되요. 가변기는 전해진 와트로 세팅한 전압과 꼽혀있는 저항에 의해 결정된 전류의 양으로 출력을 한다는거죠. 메크모드라고 불리는 언레귤 모드는 가변기와는 조금 다르긴 합니다. 가장 기초적인 형태의 회로죠. 언레귤 방식은 우리가 조정할수 있는게 저항밖에 없어요. 전압은 사용함에 따라 변하긴 하지만 우리가 임의대로 올리고 내릴수 없습니다. 전류는 그 당시의 전압과 꼽혀있는 저항에 의해 결정나는 것이고요. 그래서 저항의 값을 변화시켜서 출력을 조정하게 됩니다. 언레귤 방식의 출력은 분압회로라는 것을 이해하셔야 확실하게 이해할수 있어요. 분압회로를 거치면서 떨어져 나가는 전압(전압강하)를 알아야 정확한 출력전압을 이해할수 있거든요. 분압회로에서 저항의 구성방식(저항의 비율)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