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 충격적인 사실 질문합니다..
본문
2년밖에 되지않은 짧은 칸탈끈이지만, 모 회원님의 질문글에서 충격적인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2년동안 알아오던 정보가 잘못된건지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주변 입문하시는 지인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마구 퍼뜨렸네요 ㅡ,.ㅡ..
동일상태의 배터리, 무화기, 메카니컬기기의 조건으로 봤을때
한쪽 세트는 24칸탈 3mm직경 7바퀴 0.6옴 싱글빌드 세팅
한쪽 세트는 24칸탈 3mm직경 7바퀴 0.3옴 듀얼빌드 세팅
이라고 가정했을때 둘의 램프업속도가 왜 다르죠....??
옴에따라 와트수가 달라질지라도, 볼트값이 같은경우인데... 0.3옴 듀얼빌드가 램프업이 더 빠르고 0.6옴 싱글빌드가 램프업이 더 느리다는게 이해가 안갑니다...
이게 사실이라면, 가변기기에서도 0.6옴을 4v로 파이어했을경우와, 0.3옴을 4v로 파이어했을경우 램프업속도 차이가 있다고 봐야하나요...?
추천 0
댓글 8건
eesh님의 댓글
|
|
원칙적으로는 같아야하죠.
같은 저항이 병렬로 구성이 되면 전류는 반으로 나뉩니다. 정확히 반으로 나눠지지 않았다면 핫스팟이 일어나겠죠. 병렬구성은 전류의 양은 변해도 전압의 양은 변하지 않아요. 그래서 1/2한 전류에 전압을 곱해서 나온 와트에 2를 곱하거나 싱글이나 같아야하죠. 그런데 차이가 난다면 바로 옆에 열원이 있어서 더 빨리 데워지는게 아닐까요? 코일이 꽤 가깝잖아요. |
매기님의 댓글
|
|
@eesh포트리스가아닌 다른 클램프덱이나 다른덱들은 반대편코일에 열영향에의해 램프업차이가 나기란 힘들지않나요??
이론적으론 옴이달라진다고하여 램프업은 같은것이 맞지요?? 제가 잘못알고있는건줄 알았습니다.. |
웰시뭉뭉님의 댓글
|
|
@eesh또 나타나셨군요. 전기이야기에는 빠질수없는 전기박사님 ㅎㅎ 덥긴해도 좋은 날들 보내고 계신지요 |
eesh님의 댓글
|
|
@매기동일코일로(거의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병렬구성해서 듀얼을 만들시 듀얼의 각각의 코일은 싱글의 와트와 동일할수밖에 없어요. 싱글 * 2 해서 듀얼의 와트가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코일 하나에 걸리는 전류와 전압 다 싱글일때와 같아요. |
eesh님의 댓글
|
|
@웰시뭉뭉죽을맛입니다. 펠티어 소재로 냉방장치 diy해볼려고 재료모으는 중이에요 ㅠ.ㅠ |
매기님의 댓글
|
|
@eesh그쵸..? 나름 공대라서 당연한것으로 알고있었는데 전기쪽이 아니다보니 뭔가다른게있나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
eesh님의 댓글
|
|
@매기ㅎㅎ 어떤 글을 보고 그리 충격을 받으셨는지 아래글을 살펴보니 상황이 이해가 가네요.
메크모드라는 분압회로에서 코일의 저항에 따라 전압이 달라지는걸 잘 모르시는 글이 있고.. 다른 댓글은 예전글 읽어보니 저항을 구성할때 코일이 달라요. 코일의 구성(굵기나 길이)를 바꿔서 비교하는건 이 질문에서 그리 의미는 없다고 봐요. 어차피 히트플럭스가 달라지니.. |
매기님의 댓글
|
|
@eesh^0^ 야밤에 강의 감사드립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