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에서의 A는
본문

멕에서의a는 밀어주는힘같은개념이아니라 안정성의 차이인가요?
그럼 같은 안전범위내세팅에서 20a와 30a배터리의 차이는 밀어주는느낌은 같고 20a보다 30a가 더 무리를안받는정도뿐인거네요?
그럼 같은 안전범위내세팅에서 20a와 30a배터리의 차이는 밀어주는느낌은 같고 20a보다 30a가 더 무리를안받는정도뿐인거네요?
추천 0
댓글 5건
eesh님의 댓글
|
|
우리는 흔히 밀어준다는 표현을 쓰지만 외국애들은 "push가 아니라 pull이다"라고 하죠.
전류의 양은 그 당시의 전압과 저항에 의해 결정이 되고 그 결정된 전류만 흐르게 되있습니다. 보통 지속방전량을 표시하는 20A 같은건 무화기만 꼽으면 무조건 20A로 쏴주는게 아니라 그냥 20A까지는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다는 한계치입니다. |
끽연마스터님의 댓글
|
|
전류를 뽑아쓰는 개념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뭐 그렇다고 0.15옴 동일한 상황에서 30A 와 20A 베터리가 동일하게 뽑아주는건 아닐거고... 자세한 메카닉적 지식은 없어서 답변은 못드리지만.. 베터리에서 안정적으로 뽑아먹을 수 있는가의 문제가 첫번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펄스방전량을 초과하는 전류를 요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밀어줄 것 같지는 않습니다. |
eesh님의 댓글
|
|
아 제가 질문을 잘못이해했군요 ^^;;
안전범위상이라면 대략 12~15A 그정도 수준인거죠? 그럼 두 배터리는 거의 비슷한 성능을 냅니다. 두 배터리가 차이를 보이는 시점은 대략 20A이상 방전을 할때에요. CDR 20A짜리 배터리는 슬슬 힘겨워질때고 30A짜리는 아직 여유가 있죠. 차이가 어디서 생기냐면 배터리 자체의 저항차이에서 생깁니다. 20A짜리가 30A짜리보단 저항이 조금 높아요. 저항이 높다는 말은 같은 전류가 흐를때 온도가 더 많이 오른다는 의미에요.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은 더 증가하겠죠. 저항이 더 증가하면 전압은 떨어집니다. 예를 들면.. 삼성 25r같은 경우 20A로 방전을 하면 전압이 3.7볼트정도까지 떨어져요 30A로 방전을 하는 경우 3.5볼트까지 떨어지고요 엘지 HB6같은 경우 20A로 방전을 하면 전압이 3.8볼트로 떨어집니다. 30A로 방전을 하면 3.6볼트 정도로 떨어지고요. 대략 0.1볼트 정도 차이를 보여요. |
TEMPLE112님의 댓글
|
|
@eesh그럼 20a 배터리와 30a의배터리로 25a급 전압을사용하면 20a배터리는 전압강하가 일어나는반면에 30a는 무난하게 푸쉬한다는거네요?? 제대로이해한거맞나요 |
eesh님의 댓글
|
|
@TEMPLE112무난한 정도까진 아니에요. 둘다 전압강하는 심하게 일어나요.
대신 전압이 조금 덜 떨어지고 온도가 조금 덜 올라간다는거죠. 둘다 힘들어하는 방전량대이긴 합니다. HB6같은 제품이 고방전을 위해 심하게 용량을 포기한 면이 있는데 실제 용량은 1500mAh긴 하지만 만약 30A로 방전을 하고 3.2볼트를 컷오프전압으로 설정이 된 경우 실제 사용할수 있는 용량은 600mAh가 안되요. 20A로 방전을 할 경우 1100mAh정도 써먹습니다. (원래 용량을 고려한다면 꽤 많이 써먹죠) 대신 25r을 20A로 방전을 할때 3.2볼트 컷오프 기준으로 자른다면 1100mAh정도까지 용량을 써먹을 수 있습니다. 만약 30A로 방전을 한다면 200mAh도 안되죠. 이런 점도 고려를 해보시길 바래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