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 관련 질문좀 하겠습니다 고수님들 ㅠ
본문
N 베이스 보니깐 pg vg 이렇게 있던데 이건 뭘 의미하는건가요;;
그리고 김장은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안오네요;;
좀 알려주시거나 아니면 정리되어있는 글 링크라도 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천 0
댓글 4건
시코로만님의 댓글
|
|
쉽게 설명드리면 입호흡은 pg50 vg50을 사용하구요 폐호흡은 일반적으로 pg30 vg70을 사용하거나 vg가 고vg입니다 |
CrossXP님의 댓글
|
|
글로만 공부한 1인입니다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몇자 적어봅니다. (내용이 다소 부정확 할 수 있으니 주의바랍니다)
1. 입호흡/폐호흡 액상용도 선정 2. 원하는 향료 선정 (레시피 게시판 참고) 3. 디알OOOO 같은 곳에서 주문 3-1. PG, 고VG, 향료구매 3-2. 혹은 향료와 용도에 맞춰 N베이스 구매 - PG, VG, 니코틴이 미리 ‘혼합’되어 있는 용액 4. 액상통에 혼합 - PG:VG 비율은 입호흡용이면 20;50, 폐호흡용이면 10:70 추천 (개취) - 나머지 20은 향료로 채움 - 니코틴은 1ml당 입호흡은 6-9mg, 폐홉은 3-6mg 비율로 추가 (구하는 경로는 알아서 찾아보시길...) * 향료를 제외한 나머지 두개 항목은 N베이스 사용시 불필요 5. 교반 - 액상통을 닫고 마구 흔들어서 섞어줍니다. 6. 중탕 - 스킵가능. VG가 활성화되어 원할하게 섞일 수 있도록 40-60도 물에 중탕시킨뒤, 다시 흔들어줍니다. 7. 숙성 - 햇볕이 닿지 않고 서늘한 책상서랍에 넣어두고 일주일에 2-3번정도 확인하여 흔들어서 섞어줍니다. 8. 완성 - 한달여정도 숙성이 완료되면 꺼내먹어도 됩니다. |
CrossXP님의 댓글
|
|
@CrossXP추가사항으로, 액상의 구성원과 PG와 VG에 대한 설명자료를 다음 사이트에서 일부 ‘발췌’하여 남겨드립니다.
(출처 - https://www.linkedin.com/pulse/20140610083157-323109215-pg-vs-vg-all-things-you-should-know-about-e-liquid) 액상의 주 구성원 - PG(프로필렌 글리콜): 투명한 무색의 액체로, 식품착향보존제로 사용됨. (즉 많이 넣을수록, 첨가된 향료 본래의 향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는 거죠) - VG(베지터블 글리세롤): 식물성 기름으로 만들어진 천연 유기 액체로, 달콤한 맛을 가지고 있음. (즉 많이 넣을수록, 더 달달한 맛을 낸다는 겁니다.) - 향료: 백여가지가 넘는 식품착향료 (이걸로 사과니 멜론이니 카라멜이니 여러가지 향을 만들어냅니다) - 니코틴 - 정제수: 액상의 점성이 너무 강한 경우 첨가 할 수도 있음 PG와 VG의 차이점 - VG가 PG보다 점성이 높음 (PG는 물같고, VG는 꿀같습니다) - 목넘김: VG보다 PG를 기반으로 제조된 액상이 더 강한 목넘김과 더 진한 향을 냅니다. - 무화량: PG보다 VG를 기반으로 제조된 액상이 더 많은 증기가 생성되며, 끝맛이 살짝 달달합니다. - 유통기한: VG보다 PG를 기반으로 제조된 액상의 습도가 높아 더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 - 끓는점: PG보다 VG를 기반으로 제조된 액상의 끓는 점이 높습니다. 때문에, VG기반 액상을 베이핑하려면 더 높은 전력을 필요로 합니다. PG기반 액상을 높은 전력으로 베이핑할 경우 탄맛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요즘 액상은 PG와 VG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해, 섞어서 제조합니다. PG는 최상의 맛을 전달하고, 강한 목넘김을 제공하며, VG는 더 많은 무화량을 제공해줄 것입니다. PG와 VG의 전형적인 혼합비율은 50/50, 60/40, 70/30 입니다. |
기보찰응딩이님의 댓글
|
|
정말 감사합니다 저같은 초보한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ㅎㅎㅎ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