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모드 저항값 질문 > 질문답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 설문조사
  • 요즘도 리빌드하고 계십니까?

질문답변
회원아이콘

맥모드 저항값 질문

페이지 정보

Lr화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58.200) 작성일 님이 2018년 09월 19일 18시 56분 에 작성하신 글입니다 1,544 읽음

본문

닷 듀얼맥모드를 구입하여 가변기에서 맥모드에 입문하게 된 사람입니다.

가변기와 다르게 배터리 자체만으로 베이핑을 하게 되어 무화기의 저항값을 맞추는데 궁금증이 있어 질문게시판에 글을 올려봅니다.

현재 삼성의 18650 /2500/20A짜리를 사용중인데 병렬에서 0.15~0.18이면 적당하다고 말씀들을 하십니다.

하지만 직렬에서는 안되고.,..

근데 여기서 18650인데 3000에 30A를 2발 사용하게되면 이에 따른 저항 변동 값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그리고 직렬에서는 안되는데 병렬에서는 되는.... 이에 대한 계산은 매우 초보라 안전하게 베이핑 하고 싶어서 관련 정보를 배우고 싶습니다.

계산 법이나 배터리에 따른 저항 계산법 아시는 분 도움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PS. 기성기기에 rda를 끼고 리빌드를 하면 안되는 이유

PS. 크리드rta에 특수코일을 쓸 때 크기로 쇼트가 납니다. 이에 해당 무화기에는 큰 코일을 못쓰는건가요? + 코일 다리도 굵어서 안들어가는....

PS. 쇼트가 몇번 났는데 터지지는 않았었습니다. 쇼트가 급격하게 뜨거워진다는데 쇼트가 나는 이유와 나면 일어나는...현상..?

추천 1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1 2
  • b0
  • b1

댓글 15

왕이님의 댓글

왕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2.*.216.101)
회원아이콘 18650 3000 30A 는 본적없고 뻥스팩일겁니다.
병렬모드로 할시 지속방전률이 2배가 됩니다 20A짜리 두발을 넣으면 40A가 되고
직렬모드시 볼트값이 두배가 됩니다. 만충시 8.4V까지 출력됩니다.

리빌드시 대부분 가변기에 리빌드합니다. 저항값 어느정도 알고 하시는분들은 멕에다도 무리없이 합니다.
기기에 rda꼽고 리빌드하면 안된다는 말은 잘못된 사실입니다.
RTA는 챔버때문에 두꺼운코일은 사용하기 힘듭니다. 챔버에 코일이 안닿게 빌드하셔야됩니다.
쇼트나는 이유는 여러가지입니다. 쇼트나면 탄내가 올라오고 기기에 그으름이 생깁니다.
심하면 배터리 터집니다

Mulgoms2님의 댓글

Mulgoms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1.137)
회원아이콘 기본적으로 맥모드는 배터리의 전압이 고정이라고 가정합니다(실제로는 잔량에따라 전압이 줄어들지만요).
18650의 기본전압인 3.7볼트로 고정이 되어버리기 때문이죠. 또한 질문자님이 쓰고계신 배터리의 전류량 한계값은 20A 입니다. 따라서 V(빠워)= I (전류량A) x R(코일의 저항, 옴값) 이라는 옴의법칙(이것은 과학적 사실입니다)
계산에 의해서 3.7볼트인 배터리가 한계치인 전류량 20A로 버틸 수 있는 최후의 저항값은 -  ‘3.7볼트 나누기 20암페어 = 0.185옴’ - 이 됩니다. 따라서 이 저항값보다 더 낮은 옴의 코일을 사용하게되면 한계치 전류량인 20암페어를 넘기게 됨으로 발열 및 폭발의 원인이 됩니다.
 여기서 이제 또 한가지. 병렬과 직렬의 결과론적 차이를 짚고 넘어가야하는데요. 병렬은 단순히 18650배터리를 두개 연결했을때 3.7볼트 고정 전압에 40암페어를 갖는 하나의 배터리 뭉치가 됩니다. 전압은 고정인데 비해 단순히 버틸 수 있는 전류량이 두배가 되었죠?  따라서 아까의 똑같은 공식에 대입해보면 3.7볼트 나누기 40암페어 즉. 0.0925 옴까지 버틸 수 있는 한계 전류량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번엔 직렬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직렬은 병렬과 반대로 7.4볼트 즉 고정 전압이 두배가 되게 되구요. 안타깝게도 한계전류량은 20암페어에서 고정이 되어버린 배터리 뭉치가 됩니다. 그렇다면 직렬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가 궁금하게 될텐데요. 마찬가지의 옴의법칙 공식에 대입해 풀어보면 7.4볼트 나누기 한계전류량 20암페어. 결과적으로 0.37 옴의 저항을 갖는 코일을 사용하게 됫을때 한계전류량 20암페어에 벌써 다다르게 되어버렸네요. 따라서 직렬의 경우 오히려 병렬보다 더 높은 저항을 사용해야만 배터리가 전류량을 감당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결론적으로 둘의 차이를 정리해보면
병렬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던 3.7볼트 18650 배터리의 기본 파워는 유지되지만 40암페어의 더욱 많은 전류량을 이용해서 많은 무화를 뿜뿜 할 수 있게되는거구요. 또한 이런 방식에선 40암페어를 거의 다 쭈욱 빨아들일 수 있는 저저항 코일을 사용해야만 병렬일때의 최고의 파워를 낼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최대한 낮은 저항값의ㅡ코일을 이용하는 것이구요.
 반대로 직렬의 경우에는 단순히 배터리 파워 자체가 강해져 7.4볼트의 어마어마한 압력으로 코일에 엄청나게 빠른 전류를 흐르게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많은 무화량을 뿜뿜 할 수 있게 되는것입니다. 하지만 배터리가 여전히 최대한으로 흘러보낼 수 있는 전류량은 20암페어 뿐이기 때문에 0.37옴 까지만 이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결과적으로 볼때 18650 두개를 병렬로 연결하던 직렬로 연결하던 최고의 힘을 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방식의 차이가 생길 뿐입니다.
 다만 직렬연결에 대한 베이퍼들의 이해도가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강한 볼트를 기반으로 하는 베이핑이 조금 더 안전에 대한 주의를 요구하기 때문에 많은 베이퍼들이 병렬을 이용하는 것이지요. 제대로만 숙지한다면 사실 직렬과 병렬에서 퍼포먼스의 차이는 뉘앙스의 차이지 수학적으로 볼때는 결국 18650 배터리가 두개가 들어간 것 그 뿐입니다.
 최고의 퍼포먼스를 위해선 병렬에선 저저항 코일 직렬에선 20암페어가 감당 가능한 선 까지만 사용할 것.  그런데 말입니다. 배터리를 한계전류량에 맞춰 사용하는 것 또한 결국 배터리한테 너무 많은 부담을 주는 일이니 최고의 퍼포먼스 보다는 최적의 퍼포먼스를 위한 코일구성을 연구해 보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Mulgoms2님의 댓글

Mulgoms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1.137)
회원아이콘 @왕이가변에서 핫스팟 잡아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저항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코일의 경우에는 0.06옴까지 내려가 잡히기도 하고 그럽니다. 맥모드에서 이와같은 경우에 순간적으로 배터리 전류량의 한계치를 상회하는 전류를 내보내야 해서 배터리의 무리가 올 수도 있고. 코일 다리 컷팅과정중에 미쳐 발견하지 못한 쇳조각들이 쇼트의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되도록 코일체결 및 핫스팟 작업은 가변기기에서 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Mulgoms2님의 댓글

Mulgoms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1.137)
회원아이콘 힘드셔도 두번읽으시고 안전베이핑 하시길 바랍니다. 이해 안되는 부분은 다시 질문해주시면 쉽게 풀어 설명해드리겠습다.  처음 접할때 쉽지 않은 개념이라 저도 많이 애먹고 이해하는데 오래걸렸습니다만 이것들을 전부 이해하고 나니 베이핑이 더 안전해지고 자신의 통제안에 놓을 수 있다는 느낌을 받게되었습니다.  저는 이해하는데 한달도 넘게 걸린 개념이니 괘념치 마시고 천천히 공부해보세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0)
회원아이콘 병렬과 직렬은 방전하는 방식이 조금 달라요.
병렬은 필요한 전류량을 두개가 나눠서 내고 직렬은 필요한 전류량을 둘다 냅니다.
만약 20A의 전류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병렬은 배터리 하나당 대략 10A 정도씩 내고 직렬은 두 배터리 다 20A씩 내는거에요.
조금 생소하게 얘기하자면.. 병렬은 전류의 양은 달라질수 있지만 전압은 같아야 합니다.
두 배터리의 전압이 같을때 각각의 방전량은 반으로 나뉩니다.
직렬은 전압은 달라질수 있지만 전류의 양은 같아야 해요.
배터리 두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은 한개일때에 비해 두배로 늘어나지만 방전하는 전류량은 둘 다 같아요.

그래서 병렬배터리의 경우 가능저항값은 3.7/40 해서 대략 0.09옴 정도 되지만 병렬의 배터리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두 배터리의 컨디션이 정확히 같기는 어렵기 때문에 대략 총방전량의 80프로 정도만 봅니다. 40A의 80%면 32A죠. 가능저항값은 3.7/32 해서 0.11옴 정도 계산이 되요.
그런데 직렬의 경우 전압은 7.4볼트로 늘어납니다. 그런데 방전량이 배터리 한개일때와 같은 20A에요.
7.4/20 해서 0.37옴 정도가 적당한 저항의 한계입니다.
만약에 저항을 병렬과 같이 0.11옴으로 잡는다면 배터리 하나당 내야하는 방전량은 67A나 되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0)
회원아이콘 쇼트에 대해 얘기하자면 좀 긴데..
쇼트라는건 배터리가 감당할수 있는 전류량 이상을 방전하게 만드는 저항값이 연결됐을때 쇼트라고 합니다.
전류의 양은 저항값에 의해 결정이 되요.
우리가 코일을 끼고 작동을 시키면 코일의 저항에 의해 결정된 전류의 양이 방전이 되게 됩니다.
그런데 만약 코일 없이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이 만나 회로가 완성되었다 치면
그때의 방전량은 순수하게 배터리의 내부저항에 의해 결정이 나게 됩니다.
보통 고방전 배터리가 내부저항이 0.025~0.05옴 정도 되요. 전압은 과방전시의 전압강하와 온도상승으로 인한 저항의 증가 등으로 상당히 편차가 크지만 단순히 3.7볼트로 출력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그때의 전류량은 대략 74~148A가 순식간에 방전이 됩니다. 물론 이건 가장 극단적인 경우고 전류가 제대로 코일을 돌아 나오지 않고 중간에 미리 연결이 된다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코일의 저항이 배터리가 감당할만한 전류량 이상을 방전해야하는 낮은 저항이라면 쇼트상태라고 합니다.
배터리의 스팩(방전량)은 온도에 의해 결정이 되요. 20A라는 지속방전량이 결정된 요인은 20A로 지속적으로 방전을 했을때 배터리를 다 사용할때까지 배터리의 안전을 보장할수 있는 온도까지만 상승했을때 그때의 방전량을 지속방전량이라고 합니다. 대략 75도 이하였나 그럴거에요.
물론 전담은 지속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껐다 켰다를 반복하죠.
그런데 사람마다 연타를 하는 사람도 있고 느긋하게 피는 사람도 있고 장타를 하는 사람도 있고..아주 상황이 다양해요. 그런 조건들을 다 포함할만한 방전량이 지속방전량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더 고려해야 하는 점은 전담은 무화기라는 열원을 아주 근처에 두는 기기라는거죠. 연타를 자주 하시는 분은 경험하시겠지만 연타를 하다보면 무화기가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것을 경험할거에요. 무화기가 다 식고 다시 핀다면 항상 일정한 온도까지만 올라가겠지만 연타를 하는 경우 채 식지 못한채 또 가열이 되기 때문에 온도가 가산적으로 늘어납니다. 점점 더 온도가 올라가죠. 이건 배터리도 마찬가지에요. 순간(펄스)방전량을 신뢰하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사람마다 베이핑 하는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누구에게도 맞출수 없는 방전량은 위험소지가 있죠. 그 테스트하는 조건도 통일된게 없기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지는 수치에요.

Mulgoms2님의 댓글

Mulgoms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43.215)
회원아이콘 @Lr화끈당연히 그렇습니다. 직렬이나 병렬 메카니즘은 아무튼 마찬가지로 배터리의 최고사양까지 밀어붙이는 행위는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또한 0.15옴은 상당한 무화량과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Mulgoms2님의 댓글

Mulgoms2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4.*.43.215)
회원아이콘 @eesh한수 배우고갑니다. 배터리 성능은 컨디션에 따라 매우 유동적이므로 안정선을 상당히 잡고 빌드를 계획해야겠네요!

eesh님의 댓글

eesh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4.20)
회원아이콘 @Mulgoms2우리가 배터리 제조업체에서 테스트할때처럼 항상 같은 상황에서만 베이핑을 하는건 아니니까요.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처럼 주변온도가 다르고 모드기가 전도로 인한 방열을 도와줄때도 있지만 무화기에서의 전도열로 더 가열이 되는 상황도 있고해서 테스트와 같은 상황을 만들어줄순 없어요.
프리메이드 코일의 유행으로 너무 과도한 저옴을 선호하시는 경향이 있는데 극저옴의 코일을 받쳐주기 위해선 여러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저항이 낮기 때문에 다른걸 다 거기에 맞춰야하죠.
저항을 조금만 더 높여도 선택의 폭이 많이 넓어져요. 물곰님 말씀처럼 너무 한계로 몰아가는건 좀 무리가 있죠.

질문답변 목록

전체 194,630건 5372 페이지
질문답변 목록
-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1839 김장액상 숙성 어떻게 시켜야 되나요? 댓글+6 인기글 도도1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070  0
81838 춘천전자담배 매장 액상 살만한곳 있을까요? 댓글+2 인기글첨부파일 감성호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532  0
81837 rda 솜양 질문이요 댓글+7 입문자5개월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583  0
81836 pg vg 계산좀 도와주세요 댓글+1 Suzz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50  0
81835 폐호흡 유저중에 입호흡사용하면 댓글+3 alskdjfksdl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448  0
81834 버서커 rda rta 질문 댓글+1 인기글 승식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2022  0
81833 csvape 처음 직구했는데요 ㅠㅠ 첨부파일 znek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64  0
81832 멕모드 배터리 궁금증 댓글+2 첨부파일 후싸찬양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424  0
81831 디알케미스트리 니코세린 질문 댓글+10 인기글 댕냥이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017  0
열람중 맥모드 저항값 질문 댓글+15 인기글 Lr화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545  1
81829 저렴한기기 추천좀해주세요 댓글+10 토실토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516  0
81828 팔콘 레진 경통 질문이요!! 댓글+4 란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761  0
81827 기성코일 질문있습니다! 댓글+11 감기조심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647  0
81826 미국 거주하시는분~~(하와이) 비카판타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56  0
81825 액상가격질무니요 댓글+2 애플노예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417  0
81824 퓨어니코틴 맞는지 확인좀 부탁드려요 댓글+11 인기글첨부파일 질주질주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2262  0
81823 신고에 의해 블라인드 처리된 게시물입니다. 댓글+4 브이갓vgod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14  0
81822 현재 시판되는 21700 가변기기는 무엇이 잇을가용?? 댓글+4 heizen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627  0
81821 검사받으러 왔습니다.. 댓글+8 첨부파일 돼토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390  0
81820 sx mini sl class 펌웨어. 인기글첨부파일 Gnoon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1099  0
81819 만타 서브옴 탱크 사용하시는 분들 계신가요?? 댓글+7 크라스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9 434  0
1 2
  • b2
  • b3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