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린이 질문좀 하겠습니다 30A와 40A의 차이 말인데요
본문
자기가 소화할수있는 옴이 범위가 넓은거지
그렇다고 힘이 다른건 아니죠??
그렇다고 힘이 다른건 아니죠??
추천 0
댓글 12건
Manwe님의 댓글
|
|
힘도 좀 차이날겁니다
다만 전문가가 아니라... |
무쇠잇몸님의 댓글
|
|
0.16옴 정도 사용할때 아마 30A전류가 필요할텐데
그 언저리 정도 저항을 사용하신다고 봤을 때 최대 방전 30A짜리 배터리는 빨리 힘이 빠져서 헤롱헤롱 할때 40A짜리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여유롭게 컨디션 유지가 더 잘되겠져 (전압 저하가 빨리 온다는 뜻) 0.2옴대 이상이면 큰차이 못느끼실 수도 있을듯! |
둥실님의 댓글
|
|
@무쇠잇몸아이조이 20700 잘샀네요
이걸 사 말어 하고있었는데 |
둥실님의 댓글
|
|
@Manwe밑에 상세하게 적어주셨네요 하핳
암튼 감사합니다!! |
무쇠잇몸님의 댓글
|
|
@둥실팁게랑 입문게시판 요즘 배터리관련 좋은글 많이 올라오던데
한번 정독해보시는걸 추천해요 ㅋㅋ 의외로 재밌고 글 잘써주셔서 이해가 쏙쏙되더군요 저도 이쪽이랑 상관없는 예체능 두뇌인데 개념이 이제 어느정도 잡혀써요 |
둥실님의 댓글
|
|
@무쇠잇몸아 뉍 감사합니다 하핳 |
Asdere님의 댓글
|
|
@무쇠잇몸전압강하는 오히려 용량이랑 더 관련이 크고 방전율은 말씀하신대로 클수록 안정적으로 방전가능한 범위가 넓어서 상대적으로 저옴대도 스무스하게 밀어줄 수 있다라고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요..? |
무쇠잇몸님의 댓글
|
|
@Asdere아하 방전율은 단지 발열이나 과부하 관련인가요
20700에서 21700넘어갈때 용량도 큰걸로 구매해서 사용한지라 체감상 전압강하도 늦게온걸수도 있겠네영 |
Asdere님의 댓글
|
|
@무쇠잇몸저는 물탱크비유로 알고있었습니다! 용량이 큰 물탱크일수록 같은양을 사용해도 남아있는 물이 많아 수압이 덜 떨어지게되고 방전률은 수도꼭지면적?정도로 알고있었습니다! 물론 한계방전률이나 지속방전률이 작으면 저옴이면 많이 뿜어내야 하는데 뿜어내는 양이 작으니 볼트도 비실하게찍힐것이구요! |
Asdere님의 댓글
|
|
@무쇠잇몸저도 이과긴하지만 공과전공은 아니라 정확하게 이해한것이 맞나 싶네요ㅜㅠ |
eesh님의 댓글
|
|
소화할수 있는 옴의 범위가 넓기도 하고 힘이 다르기도 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크게 보면 두가지로 나눌수 있어요 고용량 배터리에 주로 쓰이는 ICR(lithium cobalt oxide cylindrical cell) 배터리가 있고 고방전 배터리에 주로 쓰이는 IMR(lithium manganese oxide cylindrical cell) 배터리가 있습니다. 물론 요즘은 IMR의 고방전에 용량을 보완한 INR 배터리가 많이 쓰입니다. 아마 기억으로는 망간에 니켈을 섞었나 그럴거에요. ICR만큼 고용량은 아니고 IMR만큼 고방전은 아니지만 용량이나 방전률 둘다 왠만큼은 만족시켜주는 배터리죠. ICR은 고용량에 특화된 배터리인데 에너지밀도(energy density)가 높아서 용량이 큽니다. 대신 방전률은 낮은 편이에요. 비유를 하자면 배터리 안에 꽉꽉 담은 모양입니다. IMR은 고방전에 특화된 배터리인데 에너지밀도는 ICR에 비해 20%정도 낮기 때문에 용량이 좀 작아요. 대신 고방전에 유리합니다. 비유를 하자면 좀 설렁설렁 담은 모양? 그래서 용량이 높은 배터리는 방전률이 낮은 경향을 보이고 방전률이 높은 배터리는 용량이 낮은 경향을 보입니다. 두 배터리는 용량이나 방전률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만 배터리 자체의 내부저항에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ICR은 꽉꽉 눌러담아서 이동할 통로가 별로 없다고 생각하시면 쉬워요. 그래서 저항이 높습니다. IMR은 설렁설렁 담아서 이동할 통로가 넓다고 보심 되고요. 그래서 저항이 낮습니다. 여기서 저항이란걸 왜 이야기하냐면 저항이 높을수록 같은 전류가 흘렀을때 발열이 높아집니다. 공식은 P = I^2 * R입니다. ICR은 0.05옴의 자체저항이 있다고 치고 IMR은 0.02옴의 자체저항이 있다고 친다면.. 두 배터리에서 같은 전류 10A가 흐를때 ICR은 5와트의 발열이 생기고 IMR은 2와트의 발열이 생깁니다. 모든 물체는 저항이 있고(근래 기사를 보니 저항이 없는 초전도체가 나왔다고 하던데 그건 열외로 보죠) 도체에 전류가 흐르면 저항에 의해 열이 발생해요. 열이 발생하면 저항이 상승합니다. 저항이 상승한다는 말은 전압강하가 더 커진다는걸 의미하죠. 열이 발생하기 전 최초의 상태에서 ICR의 전압강하는 10 * 0.05 해서 0.5볼트가 떨어집니다. IMR의 전압강하는 10 * 0.02 해서 0.2볼트가 떨어집니다. V = I * R에서 저항이 올라가면 전압도 올라갑니다. 아무래도 저항이 높은 ICR이 온도상승이 더 크다보니 저항상승도 커지겠죠. 그래서 그만큼 전압하강도 커집니다.IMR은 그 반대고요. 방전량이 결정되는 요소는 온도입니다. 몇 A까지 방전했을때 어느정도까지 온도가 상승하냐에 따라 방전량이 결정이 되요. 아무래도 40A짜리보단 30A짜리가 저항이 좀 높을거라고 추측이 됩니다. 저항이 높으면 온도상승도 더 높을것이고 온도상승이 더 높으면 전압강하가 더 일어날거에요. 그럼 힘(전압)의 차이가 생기죠. 전압이 떨어지면 당연히 전류도 떨어집니다. 더 떨어지죠. |
무쇠잇몸님의 댓글
|
|
ㄷㄷㄷㄷ...그렇다고합니다 ㅋㅋㅋㅋㅋㅋ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