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 모드 기본원리에 대한 질문
페이지 정보
cannon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0-12 16:30 614읽음본문
선생님들 안녕하십니까?
멕 모드 입문자 입니다.
베이핑을 최대한 안전하게 즐기기위해 기초에 관해 공부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합니다.
현재 기기는 닷 스퀑크 + 닷 RDA 24mm + 배터리 30A 3000mAh (20700) 사용 예정입니다.
1. RDA 빌드시 저항은 병렬연결 형태인가요?
2. 닷 RDA에 같이 오는 코일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0.3옴 2ea
저항이 병렬연결인 경우 듀얼빌드시 0.15옴이 나오는데, 배터리 전류량이 30A로 고정이기에 전압은 4.5V가 나오는게 맞나요?
3. 전압이 4.5V라면 0.15옴 저항시 베이핑을 135W로 한다는 계산이 나오는데 이렇게 고와트로 베이핑하는게 맞나요?
4. 이렇게 계산을 한들 베터리에는 허용치가 있는데 그 허용값이 얼마인지 궁금합니다.
몇 볼트를 넘으면 안된다 이런게 있다면 얼마인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 마지막으로 위의 조합에서 코일을 몇 옴으로 해야 안전한 베이핑을 즐길 수 있을까요?
뉴비에게 친절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댓글 4건
왕이님의 댓글

|
닷스퀑크라면 1발이기 때문에 직렬입니다.
지속방전량은 코일세팅에따라 출력이 다르기때문에 30A 고정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전압은 만충시 4.2부터 쓸때마다 서서히 떨어집니다. 고와트이긴 하나 0.15옴 코일이라 그정돈출력해줘야 코일이 달궈져서 적정와트입니다. 4.2 / 코일저항값 = A (지속방전률) 값입니다. 배터리가 지속방전률이 30A라면 30미만으로 옴세팅하셔서 쓰시면됩니다. 0.16~0.3옴 사이로 쓰시면 될거 같고 배터리 피복이 까졌는지 찍힘이 있는지 잘보고 쓰셔야됩니다. RDA 리빌드할시 가변기나 옴체커기로 쇼트 체크하셔야되구요 |
eesh님의 댓글

![]() |
기초부터 공부하셔야겠어요.
거의 대부분의 무화기가 병렬저항 형태입니다. 직렬저항 형태의 무화기는 몇개 안나온걸로 알고있어요. 3포스트 형태로 예를 들면 병렬형태는 가운데 포스트가 +극이고 양쪽이 -극인데 직렬형태는 양쪽중 한개는 +, 한개는 -극을 이룹니다. 대신 가운데 포스트가 극이 없어요. +도 -도 아닙니다. 그냥 절연체로 분리되어진 중립이죠. 단순하게 코일을 연결시켜주는 역할만 합니다. 그래서 직렬이 가능해지죠. 전압과 전류, 저항에서 전압과 저항은 우리가 임의로 바꾸는 것이지만 전류는 임의로 바꾼다기 보다는 정해진 전압과 저항에 의해 결정되어집니다. 수동적이라고 해야할까요? 가변기에서 전압을 바꾼다던지 배터리의 전압이 떨어진다던지 해서 전압은 변하게 되고 무화기의 코일의 저항을 바꾼다던지 해서 저항이 바뀌면 그에 따라 전류의 양은 결정이 됩니다. 배터리가 30A 지속방전 배터리라고 무조건 30A를 내주는게 아니에요. 그래서 위에서 계산하신 방법은 거꾸로 계산을 한게 됩니다. 전류와 저항으로 전압을 구하는게 아니라 전압과 저항으로 전류를 구해야하는거죠. 3번 물음은 가정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틀립니다. 배터리는 종지전압이 2.7볼트 정도부터 만충전압인 4.2볼트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변기들은 3.2볼트 정도를 컷오프 전압으로 잡고 있고 멬모드의 경우 그 이전(3.4볼트정도)부터 무화량의 감소를 느껴서 배터리 교체를 하게 됩니다. 잘 모르시면 너무 낮은 저항의 코일은 쓰지마세요. 열심히 저항 낮춰도 폐활량 딸리면 별 차이도 안납니다. |
공머생님의 댓글

|
|
공머생님의 댓글

|
|